목차
1. 과학적 관리론
☞ Talyor의 과학적 관리의 기본 원리
☞ Bobbitt의 과학적 관리
2. 행정관리론
☞ Fayol의 관리원리
☞ Gulick의 POSDCoRS(행정관리 7요소)
3. 관료제론
1) 관료제의 개념
2) 관료제의 특징
3) 관료제의 기능
4. 참고문헌
☞ Talyor의 과학적 관리의 기본 원리
☞ Bobbitt의 과학적 관리
2. 행정관리론
☞ Fayol의 관리원리
☞ Gulick의 POSDCoRS(행정관리 7요소)
3. 관료제론
1) 관료제의 개념
2) 관료제의 특징
3) 관료제의 기능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록 동기를 유발시켜 준다. 그러나 관료제에서 승진은 연공서열과 업적에 근거해서 이루어지는데, 이 두 기준을 양립시키기가 어렵다.
학교도 일종의 관료적 조직으로 개념화될 수 있다. Abbott는 학교조직이 관료제적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① 학교는 전문화와 과업의 세분화의 필요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 즉, 초·중등학교의 분리, 교과목 및 지원활동의 구분, 수업과 행정의 분리 등은 학교의 전문화 요구에 따른 것이다.
② 학교조직도 조직기구표 내지 직제표상 명확하고도 엄격하게 규정되어 있는 권위의 계층을 가지고 있다.
③ 학교조직은 조직구성원들의 행동을 통제하고 과업수행의 통일성을 기하기 위하여 규칙사용에 크게 의존한다.
④ 학교조직은 인화단결을 자주 내세우지만 조직관계에서 보면 몰인정성의 원리가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⑤ 교사들의 채용은 전문적 능력과 기초해서 이루어지며, 대부분의 경우 전문적 경력으로 이어진다. 승진은 연공서열과 업적에 의해 결정되고 고정된 급여를 받는다.
그러나 Bidwell은 학교가 관료제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그것은 초보적 형태에 불과하며 관료제보다는 구조적으로 느슨하게 결합되어 있어 특수한 조직이라고 하였다. 학교에서는 행정가의 일사불란한 통제가 어렵고, 교사들은 스스로 전문가임을 자부하면서 상당히 큰 자유재량권과 수업에 대한 의사결정권을 행사했다.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도 몰인정적이라기보다는 인간적으로 맺어져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학교는 관료적 특징과 전문적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관료성과 전문서의 정도가 다를 뿐이다.
과학적 관리론과 행정관리론 및 관료제론 모두가 교육조직의 능률을 올리는 것을 강조한다. 과학적 관리론은 표준산출을 할 수 있는 통제체제의 개발을 강조하고 행정관리론은 조직 내의 부서간의 구조적 관계를 강조하며 관료제는 조직을 적절히 구조화하여 역할을 규정하고 직능을 부가하는 것을 강조한다. 세 이론이 각각 조직과 행정의 어느 측면을 강조하고 잘 이해하고 있지만 다른 측면 즉 교육조직에서 생활의 인간적 측면을 무시하거나 부차적인 것으로만 생각한 결함이 있다. 예컨대 개인의 인격·인간의 욕구·직무만족·동기·사기와 같은 조건들을 명백히 2차적인 것으로 보는 결함이 있다.
4. 참고문헌
敎育行政 및 敎育經營. 한공우 저. 1998. 동우사.
교육경영 및 교육행정. 이상기·옥장흠 공저. 1995. 형설출판사.
학교도 일종의 관료적 조직으로 개념화될 수 있다. Abbott는 학교조직이 관료제적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① 학교는 전문화와 과업의 세분화의 필요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 즉, 초·중등학교의 분리, 교과목 및 지원활동의 구분, 수업과 행정의 분리 등은 학교의 전문화 요구에 따른 것이다.
② 학교조직도 조직기구표 내지 직제표상 명확하고도 엄격하게 규정되어 있는 권위의 계층을 가지고 있다.
③ 학교조직은 조직구성원들의 행동을 통제하고 과업수행의 통일성을 기하기 위하여 규칙사용에 크게 의존한다.
④ 학교조직은 인화단결을 자주 내세우지만 조직관계에서 보면 몰인정성의 원리가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⑤ 교사들의 채용은 전문적 능력과 기초해서 이루어지며, 대부분의 경우 전문적 경력으로 이어진다. 승진은 연공서열과 업적에 의해 결정되고 고정된 급여를 받는다.
그러나 Bidwell은 학교가 관료제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그것은 초보적 형태에 불과하며 관료제보다는 구조적으로 느슨하게 결합되어 있어 특수한 조직이라고 하였다. 학교에서는 행정가의 일사불란한 통제가 어렵고, 교사들은 스스로 전문가임을 자부하면서 상당히 큰 자유재량권과 수업에 대한 의사결정권을 행사했다.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도 몰인정적이라기보다는 인간적으로 맺어져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학교는 관료적 특징과 전문적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관료성과 전문서의 정도가 다를 뿐이다.
과학적 관리론과 행정관리론 및 관료제론 모두가 교육조직의 능률을 올리는 것을 강조한다. 과학적 관리론은 표준산출을 할 수 있는 통제체제의 개발을 강조하고 행정관리론은 조직 내의 부서간의 구조적 관계를 강조하며 관료제는 조직을 적절히 구조화하여 역할을 규정하고 직능을 부가하는 것을 강조한다. 세 이론이 각각 조직과 행정의 어느 측면을 강조하고 잘 이해하고 있지만 다른 측면 즉 교육조직에서 생활의 인간적 측면을 무시하거나 부차적인 것으로만 생각한 결함이 있다. 예컨대 개인의 인격·인간의 욕구·직무만족·동기·사기와 같은 조건들을 명백히 2차적인 것으로 보는 결함이 있다.
4. 참고문헌
敎育行政 및 敎育經營. 한공우 저. 1998. 동우사.
교육경영 및 교육행정. 이상기·옥장흠 공저. 1995. 형설출판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