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상병 조리비위 기 원문 및 해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내상병 조리비위 기 원문 및 해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조리비위

본문내용

고 기를 보하지 않으면 무엇을 연유하여 시행하겠는가?
且如 喘嗽氣鳴에, 以 枳 梗 姜[薑] 橘 蘇 桂로 調其氣하고, 以星 半 細辛으로 豁其痰, 而終不下降者는, 氣之所藏이 無以收也니, 必佐以補骨脂하야 補腎, 則氣始歸元이라.
차여 천수기명에 이 지 경 강 귤 소 계로 조기기하고 이성 반 세신으로 할기담 이종불하강자는 기지소장이 무이수야니 필좌이보골지하야 보신 즉기시귀원이라.
또한 만약 숨참과 기침 천명이 남에 지각 길경 생강 귤피 소엽 계지로 그 기를 조절하고 남성 반하 세신으로 그 담을 분할하여 마침내 하강하지 못하는 사람은 기가 저정하여 수렴할 것이 없으니 반드시 보골지로 보좌하여 신을 보하고 기가 비로소 원기로 돌아가게 한다.
經에 曰: 結者行之하고, 散者益之라 하니 是也니라.
경에 왈 결자행지하고 산자익지라 하니 시야니라.
내경에 말하길 울결한 사람은 시행케 하고 흩어지는 사람은 더한다고 하니 이것이다.
走注眩暈呑酸이라,
주주현훈탄산열이라.
기가 붙으면 유주하고 현훈하고 탄산하고 열격하게 된다.
素無積者면, 濁氣가 入榮衛, 則攻刺 肩背 四肢하다.
소적자면 탁기가 입영위 즉공자 견배 사지하다.
평소에 적이 없으면 탁기가 영위에 들어가고 어깨와 등 사지를 공격하여 찌른다.
有積者면, 濁氣가 滯胸 腹 腸胃 脅肋하야, 著於一處則眩暈 嘔吐, 反酸 膈, 痺 泄瀉, 心腹絞痛이니, 流氣飮子로 主之라,
유적자면 탁기가 체흉 복 장위 협륵하야 착어일처즉현훈 구토 반산 열격 비비 설사 심복교통이니 유기음자로 주지라.
적이 있으면 탁기가 흉부 복부 위장 옆구리 갈비에 정체하여 한 곳에 붙으면 현훈 구토 탄산 열격 속 답답한 저림, 설사와 심복부가 쥐어짜듯 아프니 유기음자로 주치한다.
或木香勻氣散 梔姜[薑]飮 古萸連丸 梔萸丸 淸膈蒼莎丸을 選用이니라.
혹목향균기산 치강음 고유연환 치유환 청격창사환을 선용이니라.
혹은 목향균기산, 치강음, 고유련환, 치유환, 청격창사환을 선택 사용한다.
胸 腫 二便難이니라,
흉비 비종 이변난이니라.
가슴이 답답하고흉비와 부종 소변 대변 곤란이 있다.
胸膈이 塞이면, 枳梗湯이오.
흉격이 비색이면 지경탕이오.
흉격이 속 답답하고 막히면 지경탕이다.
胸痺 氣塞이면, 枳橘湯이오.
흉비 기색이면 지귤탕이오.
가슴이 저리고 기가 막히면 지귤탕이다.
浮腫이면, 木香流氣飮이오.
부종이면 목향유기음이오.
부종이면 목향유기음이다.
大便難이면, 三和散 四磨湯 秘傳降氣湯이오.
대변난이면 삼화산 사마탕 비전강기탕이오.
대변곤란이면 삼화산 사마탕 비전강기탕이다.
燥者면, 麻子仁丸이오.
대변이 마르면 마자인환이다.
熱者면, 小承氣湯이니라.
열자면 소승기탕이니라.
열증환자는 소승기탕이다.
如壯盛人이, 氣閉胸滿하야, 百藥이 不效者면, 五香連翹湯이오.
여장성인이 기폐흉만하야 백약이 불효자면 오향연교탕이오.
만약 건장하고 성대한 사람이 기가 막히고 가슴이 그득하여 모든 약이 효과가 없으면 오향연교탕이다.
小便閉者면, 五散이니라.
소변폐자면 오령산이니라.
소변이 막히면 오령산이다.
兼血兼痰을 宜審別하라.
겸혈겸담을 의심별하라.
혈과 담을 의당 살펴 구별하라.
血凝則氣亦滯니, 四物湯에 加香附 側柏葉하라.
혈응즉기역체니 사물탕에 가향부 측백엽하라.
혈이 응체하면 기 또한 울체하니 사물탕에 향부자 측백엽을 더한다.
挾瘀血이면 加桃仁 紅花나, 或復元通氣散이라.
협어혈이면 가도인 홍화나 혹복원통기산이라.
어혈을 끼면 도인과 홍화를 가미하나 혹은 복원통기산이다.
○痰壅則氣逆이니, 順氣導痰湯 蘇子降氣湯이오,
담옹즉기역이니 순기도담탕 소자강기탕이오.
담이 막히면 기가 상역하니 순기도담탕 소자강기탕이다.
甚者면 稀涎散으로, 微微吐之니라.
심자면 희연산으로 미미토지니라.
심하면 희연산으로 미미하게 토하게 한다.
治分痰積 少與多요, 降火淸心이 尤妙訣이라.
치분담적 소여다요 강화청심이 우묘결이라.
담 울적은 적음과 많음으로 구분하여 치료하고, 화를 내리고 심열을 맑게 함이 더욱 오묘한 비결이다.
不問內傷 外感하고, 久皆 鬱熱이면 滯爲痰積이어늘, 七情之火는, 無日不起하고, 五味之偏은, 無日不積이리오,
불문내상 외감하고 구개 울열이면 체위담적이어늘 칠정지화는 무일불기하고 오미지편은 무일부적이리오.
내상과 외감을 막론하고 오래되면 모두 울열이면 정체하여 담적이 되거늘 7감정의 화는 하루가 아니면 생기지 않고, 5미의 치우침은 하루가 안되면 쌓이지 않는다.
此丹溪와, 河間이 力主爲火也라.
차단게와 하간이 력주위화야라.
이는 주단계와 유하간이 힘써 화를 위주로 하였다.
雖然이나 七情은 總發於一心하고, 七氣는 總隷於一氣하니, 氣는, 陽也라, 動則爲火라,
수연이나 칠정은 총발어일심하고 칠기는 총예어일기하니 기는 양야라 동즉위화라.
비록 그러나 7감정은 모두 한 마음에서 발생하고, 7기는 모두 한 기에 예속되니 기는 양이고, 동요하면 화가 된다.
故로 以降火, 化痰 消積으로 分治하대, 量其所稟厚薄하야 而加減之니라.
고로 이강화 화담 소적으로 분치하되 량기소품후박하야 이가감지니라.
그래서 화를 내리고, 담을 화하게 하고, 적을 소멸케 함을 나눠 치료하되, 그 품부의 후박을 헤아려 가감한다.
大 氣虛면, 四君子湯이오, 氣實이면, 古烏附湯으로 爲主하다.
대개 기허면 사군자탕이오 기실이면 고오부탕으로 위주하다.
대개 기가 허하면 사군자탕이고, 기가 실하면 고오부탕으로 위주로 한다.
火多면 合黃連解毒湯에, 加知母 枳殼하라,
화다면 합황련해독탕에 가지모 지각하라.
화가 많으면 황련해독탕에 지모 지각을 더해 합방한다.
痰多면 合二陳湯하고, 積多면 合平胃散이오,
담다면 합이진탕하고 적다면 합평위산이오.
담이 많으면 이진탕을 합방하고, 적이 많으면 평위산을 합방한다.
痛이면 加玄胡索 靑皮 蒼朮하고, 寒이면 加官桂 吳萸하고, 便閉면 加木香 檳이오,
통이면 가현호색 청피 창출하고 한이면 가관계 오유하고 변폐면 가목향 빈랑이오.
통증이면 현호색과 청피 창출을 더하고, 한증이면 관계 오수유를 더하고, 대변이 막히면 목향과 빈랑을 더한다.
男子血虛와 及婦人胎産의 氣疾에, 合四物湯이니라.
남자혈허와 급부인태산의 기질에 합사물탕이니라.
남자의 혈허증과 부인의 태아 출산과 기의 질병에 사물탕을 합방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2.13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68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