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수 있다.
① 아내의 역할은 돕는 배필이다. 즉 어떤 사람으로 하여금 어떤 일을 이루도록 지탱해 주는 사람 또는 어떤 사람을 구조해 주는 사람을 가르킨다. ② 남편의 리더십에 순종하는 것, 이는 명령이나 요구 또는 의사에 그대로 따라서 쫓음을 말해주는데, 즉 남편의 질서 밑에서 질서를 세우는 것이다. ③ 남편을 존경하는 것, 성경 상 의미는 자발적으로 그리고 즐겁고 기쁘게 추켜세우는 것이다. ④ 집안 일에 최선을 다하는 일이다. 이는 하나님께서 아내들에게 집안 일을 특전으로 여기길 원하기 때문이다.결혼과 가정 세미나 황성철 교수님 1998년 4,14. 강의안
바울과 마찬가지로 베드로도 결혼생활에 있어서의 아내의 역할이 수행자와 내조자의 역할이라고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이 여성의 지위를 떨어뜨리지도 않으며 또한 어떠한 가치 판단을 제시하지도 않는다. 베드로의 권면이 그들에게는 설령 그들의 남편들이 그들의 말의 증거를 좋아하지 않을 수 있을지라도 그들이 아내들의 경건한 행실을 통해 확신을 얻게되어 그리스도에게로 회심될 것이므로 그들이 순수한 기독교 은혜의 정신에 입각해서 행동해야 된다는 것이었다.
(2) 남편들에 대한 권면
그는 그들에게 그들의 아내들에 대해 인정이 있고, 사려 깊고, 그리고 예의 바르게 대하도록 가르쳤다. 남편은 자기 아내의 여성적인 연약함을 인정해야 한다. 그리고 그녀가 그를 필요로 하는 만큼 그도 그의 아내를 필요로 한다는 사실을 인해해야 한다. 베드로가 남편과 아내는 ‘생명의 은혜를 유업으로 함께 받을 자’라고 강조했던 것도 실제로 이 점에 있어서였다.
사도 베드로는 벧전 3:7에서 남편들에게 살아가는 세 가지 원칙적 교훈을 주고 있다.
첫째, 남편은 이해력이 있어야 한다.
둘째, 남편은 보호자가 되어야 한다.
셋째, 베드로는 아내들이 남편들과 같은 영적인 권리를 갖고 있는 것을 기억하도록 남편들에게 말하고 있다.
만일 남편들이 베드로전서 3장에 있는 교훈을 따르지 않는다면 “너희 기도가 막히지 아니하게 하려 함이니라”라고 경고하고 있다. 이는 사람과의 관계가 올바르지 않는다면 하나님과의 관계도 올바르지 못함을 지적한다. H. Norman Wright key of Lore 오정현, 난영. 공역 “사랑의 열쇠” (서울 : 나침반 출판사 1990년 pp55-56)
4. 결 론
우리가 알고 있는 결혼은 두 사람이 함께 만나 한 가정을 이루어 서로 사랑하며, 생활하는 것이다, 그러나 결혼은 하나님의 계획이며, 실현인 것이다.. 지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하나님의 계획은 결혼을 통해서 남녀가 가정을 이루는 것이며, 또한 육체적, 정신적, 영적 연합을 의미한다.(창 2:24) 더 나아가 육체적 영적 재생산을 의미한다. 즉 종족 보존의 의미도 들어 있음을 뜻한다.(창1:28) 태의 열매는 그의 상급이로다(시127:3) 자녀를 잘 양육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릴 수가 있다. 그리고 한 몸으로 존재하다가 둘이 합하여 하나가 되는 것이다. 즉 교회가 하나되기를 원하는 것과 같다.(요17:21-23) 결국 결혼은 사랑으로 가득 찬 천국의 기쁨을 땅에서 미리 체험이나 아니면, 연습한다고 말할 수 있다. 즉 천국의 맛을 누릴 수 있는 최상의 제도가 바로 가정이라는 울타리이다. 비록 완전한 즐거움은 아니지만 둘이 온전히 하나가 될 수 있다면, 천국에 가장 근접할 수 있는 기쁨을 체험하게 된다.
그러므로 결혼은 충분한 자기 사랑의 표현이며, 서로를 위로하는 것이다. 사랑하기 때문에 서로 아끼며, 돌보기를 즐겨한다. 사랑을 하고 또 사랑한다 할지라도 사랑하고픈 대상이 바로 부부 이여야 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영광의 표출을 의미하며, 더 나아가 하나님께서는 교회를 통해 자신의 영광을 드러내시는 것처럼, 가정을 통하여 하나님의 영광을 가장 아름답게 빛낼 수 있다. 때문에 우리는 성경에서 말하는 가정으로 돌아가야 할 것이다.
▣ 참고도서
두산 대 백과 사전 C D
홍일권, 준비된 결혼이 아름답다(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97)
김인자, 아내들이여 돕는 배필이 됩시다. (도서출판 나침판사 1994년 제25판)
로렌스 J 크렙, 윤종석 역, 결혼 건축가(서울 : 두란노 1990)
황성철 교수님, 결혼과 가정 세미나 (강의안 6번 )
강경호, 조성춘 공저, 결혼과 부부상담(서울: 요나 1996)
존 윌리암스, 김영배 역, 결혼과 가정생활(서울 : 신망애출판사,1988)
H. Norman Writht, 오정현, 난영 공격, 사랑의 열쇠(서울 : 나침판사,1990)
① 아내의 역할은 돕는 배필이다. 즉 어떤 사람으로 하여금 어떤 일을 이루도록 지탱해 주는 사람 또는 어떤 사람을 구조해 주는 사람을 가르킨다. ② 남편의 리더십에 순종하는 것, 이는 명령이나 요구 또는 의사에 그대로 따라서 쫓음을 말해주는데, 즉 남편의 질서 밑에서 질서를 세우는 것이다. ③ 남편을 존경하는 것, 성경 상 의미는 자발적으로 그리고 즐겁고 기쁘게 추켜세우는 것이다. ④ 집안 일에 최선을 다하는 일이다. 이는 하나님께서 아내들에게 집안 일을 특전으로 여기길 원하기 때문이다.결혼과 가정 세미나 황성철 교수님 1998년 4,14. 강의안
바울과 마찬가지로 베드로도 결혼생활에 있어서의 아내의 역할이 수행자와 내조자의 역할이라고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이 여성의 지위를 떨어뜨리지도 않으며 또한 어떠한 가치 판단을 제시하지도 않는다. 베드로의 권면이 그들에게는 설령 그들의 남편들이 그들의 말의 증거를 좋아하지 않을 수 있을지라도 그들이 아내들의 경건한 행실을 통해 확신을 얻게되어 그리스도에게로 회심될 것이므로 그들이 순수한 기독교 은혜의 정신에 입각해서 행동해야 된다는 것이었다.
(2) 남편들에 대한 권면
그는 그들에게 그들의 아내들에 대해 인정이 있고, 사려 깊고, 그리고 예의 바르게 대하도록 가르쳤다. 남편은 자기 아내의 여성적인 연약함을 인정해야 한다. 그리고 그녀가 그를 필요로 하는 만큼 그도 그의 아내를 필요로 한다는 사실을 인해해야 한다. 베드로가 남편과 아내는 ‘생명의 은혜를 유업으로 함께 받을 자’라고 강조했던 것도 실제로 이 점에 있어서였다.
사도 베드로는 벧전 3:7에서 남편들에게 살아가는 세 가지 원칙적 교훈을 주고 있다.
첫째, 남편은 이해력이 있어야 한다.
둘째, 남편은 보호자가 되어야 한다.
셋째, 베드로는 아내들이 남편들과 같은 영적인 권리를 갖고 있는 것을 기억하도록 남편들에게 말하고 있다.
만일 남편들이 베드로전서 3장에 있는 교훈을 따르지 않는다면 “너희 기도가 막히지 아니하게 하려 함이니라”라고 경고하고 있다. 이는 사람과의 관계가 올바르지 않는다면 하나님과의 관계도 올바르지 못함을 지적한다. H. Norman Wright key of Lore 오정현, 난영. 공역 “사랑의 열쇠” (서울 : 나침반 출판사 1990년 pp55-56)
4. 결 론
우리가 알고 있는 결혼은 두 사람이 함께 만나 한 가정을 이루어 서로 사랑하며, 생활하는 것이다, 그러나 결혼은 하나님의 계획이며, 실현인 것이다.. 지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하나님의 계획은 결혼을 통해서 남녀가 가정을 이루는 것이며, 또한 육체적, 정신적, 영적 연합을 의미한다.(창 2:24) 더 나아가 육체적 영적 재생산을 의미한다. 즉 종족 보존의 의미도 들어 있음을 뜻한다.(창1:28) 태의 열매는 그의 상급이로다(시127:3) 자녀를 잘 양육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릴 수가 있다. 그리고 한 몸으로 존재하다가 둘이 합하여 하나가 되는 것이다. 즉 교회가 하나되기를 원하는 것과 같다.(요17:21-23) 결국 결혼은 사랑으로 가득 찬 천국의 기쁨을 땅에서 미리 체험이나 아니면, 연습한다고 말할 수 있다. 즉 천국의 맛을 누릴 수 있는 최상의 제도가 바로 가정이라는 울타리이다. 비록 완전한 즐거움은 아니지만 둘이 온전히 하나가 될 수 있다면, 천국에 가장 근접할 수 있는 기쁨을 체험하게 된다.
그러므로 결혼은 충분한 자기 사랑의 표현이며, 서로를 위로하는 것이다. 사랑하기 때문에 서로 아끼며, 돌보기를 즐겨한다. 사랑을 하고 또 사랑한다 할지라도 사랑하고픈 대상이 바로 부부 이여야 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영광의 표출을 의미하며, 더 나아가 하나님께서는 교회를 통해 자신의 영광을 드러내시는 것처럼, 가정을 통하여 하나님의 영광을 가장 아름답게 빛낼 수 있다. 때문에 우리는 성경에서 말하는 가정으로 돌아가야 할 것이다.
▣ 참고도서
두산 대 백과 사전 C D
홍일권, 준비된 결혼이 아름답다(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97)
김인자, 아내들이여 돕는 배필이 됩시다. (도서출판 나침판사 1994년 제25판)
로렌스 J 크렙, 윤종석 역, 결혼 건축가(서울 : 두란노 1990)
황성철 교수님, 결혼과 가정 세미나 (강의안 6번 )
강경호, 조성춘 공저, 결혼과 부부상담(서울: 요나 1996)
존 윌리암스, 김영배 역, 결혼과 가정생활(서울 : 신망애출판사,1988)
H. Norman Writht, 오정현, 난영 공격, 사랑의 열쇠(서울 : 나침판사,1990)
추천자료
원효사상에서의 일심에 대한 고찰(철학과 학사 졸업논문)
조선후기 문헌소재 열녀전의 변이양상과 의미분석
가정과 교육에 대한 소논문
<주제 : 잡지나 tv드라마에서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에 관한 내용 분석 조사>
[신학적인간학-데칼로그] 제 9 계명 - 네 이웃의 아내를 탐내지 말지어다
변강쇠가 (작품분석, 특징, 상징적 의미, 미학적 특질)
임지룡,'국어의 의미'에서 '관용어'
전통 혼례에 관한 논문
여러분 주변에서 접할 수 있는, 주한 외국인에 대하여 한국인이 갖는 고정관념, 편견 및 차별...
[인간관계]인간관계(대인관계)의 개념, 종류, 인간관계(대인관계)의 중요성, 인간관계(대인관...
성역할태도 의미, 성역할태도 상동적 태도제거, 성역할태도와 주부안녕감, 성역할태도와 강간...
현대가족에 대한 일반적 체계와, 현재 새롭게 만들어지고 있는 가족체계에 대해 자세히 각각 ...
공통교양=사회문제론=한국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 가족에 대한 고정관념이 어떤 사회문제를 ...
사회문제론B형>> 한국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가족에 대한 고정관념이 만들어내는 사회문제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