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선도의 행공(行功) [A++]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선도의 행공(行功)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수도의 사실
1) 국선도 수도의 특성 및 효과 : 충일한 생명체 유지에 그 목적을 둠
2) 돌단자리 숨쉬기의 3가지 효력
3) 자인자득 방법에 관한 부연
(2) 수도의 규범
1) 신체적, 정신적, 건강적 수도
2) 천인묘합(天人妙合)의 수도
(3) 수도의 준행 : 국선도 수도자는 여기에 제시하는 것을 지키고 따라서 행하여야 하는 것
(4) 정기신(精氣神)의 보양
- 하단전의 정(精)
- 상단전의 기(氣)
- 중단전(中丹田)의 신
- 삼재(三의才) 도
(5) 정기신(精氣神)의 순성(順成)
(6) 호흡의 중요성
(7) 조신(調身)과 기
(8) 수도의 주의사항

3. 결론

본문내용

아랫배에서 위로 올리고, 위에서 아래로 내리고를 해 보는 것을 무리하지 않게 시도하는 것이다. 이것도 3회 정도하고, 처음에는 언제나 숨을 마시고 하다가 숙달되면 내쉬고도 하여 주는 것이니, 이 모두가 행공을 돕는 몸 동작이다.
이외에도, 사람이 자고나면 반드시 해야 할 일이 있으니 이는 자고 나서 그대로 일어나지 말고 반듯이 누워 척추를 아래 위에서 당기는 듯이 생각하고, 손끝 발끝에 은은히 힘을 보내며 기지개를 크게 키는 것이다. 이때 척추를 움직이며 숨은 마시고 멈춘 상태에서 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2회 정도 한다.
그 다음에 서서히 엎드려서 똑같은 방법으로 2회 정도하고서 편안히 잠시 엎드려 있다가, 양손 어깨 부위에 대고 목 척추 마디 마디를 순서대로 손을 뻗쳐 들어올리되 배꼽이 바닥에서 떨어져서는 안 된다. 완전히 든 다음 왼쪽으로 상체 틀어 왼쪽을 바라보고 서서히 다시 숨을 내쉬며 가운데에서 토하고, 다시 숨을 마시고 오른 쪽으로 몸을 틀면서 오른쪽 바라보고 숨을 내쉬며 고개를 반듯이 하고 순서대로 몸을 낮추는 것이다.
그리고 난 다음에 천천히 일어나 몸의 상체를 앞으로 숙였다 뒤로 젖혔다 옆으로 왼쪽과 바른 쪽으로 2회 정도하고, 몸에서 힘을 빼고, 손을 축 늘어뜨린 채 왼쪽 오른쪽으로 가볍게 돌려주고 크게 숨쉬기를 하고 난 다음에 각자 나름대로 자기가 할 일을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그리고 옛 분들은 한결같이 무거운 물건을 들 때 아랫배에 힘을 주라고 하였다. 아랫배란, 배꼽 밑을 아랫배라 하는 것이니, 이는 정충의 원리에 두고 한 말이다.
Ⅲ. 결론
수도(修道)의 올바른 마음자세인 도심(道心) 없이 도에 들어갈 수 없다.
마음 자세가 올바른 도심에 들 때 비로소 올바른 단전행공을 하고 올바른 굴신동작을 하게 되는 것이니, 마음의 조심과 숨쉬기의 조식과 몸 움직임의 조신이 될 때 조화가 되어, 이는 승화하여 대자연의 조화로 천인묘합의 경지에 들게 되는 까닭이다.
결국, 국선도 행공의 성패를 가름하는 꾸준한 마음의 자세로서의 조심과 도심 몇 항목을 결미에서 다루며, 그 중요성을 각인시켜 보고자 한다.
1. 대효지심(大孝之心)을 가져야 한다.
우선, 대효(大孝)의 마음이란, 사람은 발생적 입장에서 보면 분명히 자연의 아들이요, 우주의 아들인 것으로, 인간은 자기존재 근원이 되는 부모와 선조, 나아가서는 인류에까지 감사하는 마음을 간직해야 한다는 것이다.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면 나 자신의 마음이 편해져 맥박 등 신체의 기혈순환이 편해지는 것으로, 이는 마음을 안정시키는 접근법 중 한가지이다.
다음으로, 주는 마음을 가져야 함인데, 이는 받는 것보다 베푸는 미학을 논한 것으로 마음을 안정시키는 두 번째 접근법이 된다.
2. 대욕지심(大慾之心)을 가져야 한다.
인간은 생물학적으로 볼 때 유기체인데, 이 유기체는…
첫째, 자체 내에서 생명유지가 어려워 외부로부터 생명에너지를 받아들이려는 것이고,
둘째, 환경의 지배를 받는 것이므로 우주와 인간을 볼 때 자연의 흐름에 합치하는 방법으로 움직여야 생명연장에 도움이 된다...
결국 첫째에 따르기 쉬운 인간은 의식주와 권력, 명예 등 사욕을 갖기 쉬움이나, 둘째로 향하는―― 자연과 합치되는 공욕인―― 커다란 욕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3. 도인도송(導引道頌)하여야 한다.
도인도송(導引道頌)이란 도로 인도하는 소리란 뜻으로서 대자연의 참 뜻이 담긴 소리를 듣고 그 속으로 인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대자연의 소리를 들으며 도(道)로 들어간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국선도 수도에 있어 선도주를 녹음하여 수도자에게 계속 들려주어 도인도송의 효과를 내고 있는 것이다.
선도주란,
“正覺道源 體智體能 天道一和 救活蒼生” ( : 정각도원 체지체능 천도일화 구활창생) 16자를 말한다.
4. 심신의 수도를 한다.
몸은 마음을 담는 그릇이요, 마음은 몸에 담겨져 있는 것이다.
신(神)과 육체라 하여도 마찬가지다. 육체 즉 몸은 정신을 담고 있는 겉으로, 몸이 음이라 하면 마음은 양이다. 이 양자를 함께 수도해야 몸과 마음이 하나가 되어 움직인다는 것을 알게 되고, 이에 따라 몸을 움직이고 정신을 통일하여야 한다.
또한 이러한 마음이 도심인 것이다.
5. 자신의 능력만으론 도력이 없다.
자기의 능력만으로는 성도(成道)하여 도력을 체득하지 못하고 대자연 또는 우주의 힘에 참여해야 된다는 원리를 믿어야 한다. 이 역시 도심이다.
6. 국선도는 체득으로 성립된 것이다.
이 국선도는 일시적으로 조작한 것이 아니라 선인들의 체험과 자각과 자증의 체득으로 이어져 내려온 우리민족 고유의 극치적인 수도 방법임을 알고 수도에 임해야 하는 것이다.
국선도에 입문하게 되면, 마음의 자세, 몸 움직이는 자세, 숨쉬기의 자세 등을 일주일 이상 수련시키고 난 다음에 중기단법부터 수도를 하게 된다. 이것을 조심(調心), 조신(調身), 조식(調息)이라 해도 무방하다. 마음은 생각을 담는 그릇이요, 몸은 마음을 담는 그릇이요, 숨은 생명의 통로로 보아도 좋을 것이며, 이러한 것들은 서로 연결되어 보이기도 한다. 마음이 고요하면 몸놀림도 서서히 움직이게 되고 숨결도 고르고 고요해지며, 숨결이 거칠면 마음도 거칠어지고 행동도 거칠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심(調心)이 조신(調身)이요, 조신(調身)이 곧 조식(調息)이므로 소우주적인 사람이 먼저 대우주 앞에 음정적 자세에 서기 위하여 마음의 고요와 몸의 고요함이 숨의 고요함으로 나타나 모든 생각을 여의는 경지에 들 때, 대우주의 품에 안기는 듯한 안정감을 가지는 자세가 수도자의 바람직한 태도이다.
이러한 자세는 겉으로 보면 무(無)나 허(虛)나 공(空)과 같으나 그 사고 속에 동정(動靜)의 흐름이 들어 있고, 음양의 율려(律呂)가 있고 조화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사상 속에는 아무런 생각이 없는 것이라 할지라도 대우주에 참여하는 감사와 희열의 흔쾌한 기분이 잠재한 무형무색의 광명심이 차 있는 듯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 역시 바람직하다.
이러한 마음의 자세가 갖추어진 후에야 국선도의 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이요, 이러한 마음 자세로 또한 국선도의 행공을 해야 마땅한 것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4.19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50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