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익의 생애 및 가계
2. 성호사설
1) 성호사설의 시대적 배경
2) 성호사설의 구성과 내용
3. 성호사설의 전래와 판본
4. 최근의 연구 결과
2. 성호사설
1) 성호사설의 시대적 배경
2) 성호사설의 구성과 내용
3. 성호사설의 전래와 판본
4. 최근의 연구 결과
본문내용
간목법(井間目法)을 쓰면 정확하게 그릴 수 있다는 인식, 단군과 기자조선의 강역이 요서지방에까지 미쳤다는 주장, 과거제도에 국사(國史)를 시험보도록 하자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 밖에 학문에서 문학보다 실용적인 현실 구제책이 중요하다는 것, 당시 유교 이외의 다른 사상의 의미를 인정한 점, 생존이 어려운 하층민의 생활 보장을 적극 주장한 점, 붕당의 원인에 대한 현실적인 분석 등도 그 한 예라 할 수 있다.
저자가 조선시대의 실무를 잘 아는 사람으로 이이(李珥)와 유형원(柳馨遠)을 들었는바, 그는 유형원의 학문 태도를 계승해 차원을 한 단계 더 넓고 깊게 발전시켰다. 이후의 안정복·정약용(丁若鏞)·이중환(李重煥)·박제가(朴齊家)·박지원(朴趾源)의 학문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성호사설≫에 담긴 사상은 하나의 호수에 비겨 말하기도 한다. 즉 유형원 이래 발전되어 온 실학이 그의 저술에 이르러 모두 통합되었다가 그 뒤 각 분야의 전문학자에 의해 더욱 분화되어 심층적으로 연구된 것을 뜻한다.
≪성호사설≫은 이익의 사회개혁안인 ≪곽우록≫의 내용과 깊은 관련을 가진다. ≪성호사설≫에 담긴 내용을 현실개혁안 중심으로 다시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 ≪곽우록≫이다. 그러므로 이익의 사상을 이해하는 데에는 ≪성호사설≫이 ≪곽우록≫보다 더 중요한 기본 자료이다.
[ 참 고 문 헌 ]
▷ 성호이익시선 (예문서원, 2004)
▷ 성호사설정선 (이익 저, 정혜렴 옮김, 현대실학사, 1998)
▷ 성호사설·곽우록해제(洪以燮, 韓國의 思想大全集, 1977).
▷ 星湖僿說解題(韓佑劤, 국역성호사설 1집, 民族文化推進會, 1977)
이 밖에 학문에서 문학보다 실용적인 현실 구제책이 중요하다는 것, 당시 유교 이외의 다른 사상의 의미를 인정한 점, 생존이 어려운 하층민의 생활 보장을 적극 주장한 점, 붕당의 원인에 대한 현실적인 분석 등도 그 한 예라 할 수 있다.
저자가 조선시대의 실무를 잘 아는 사람으로 이이(李珥)와 유형원(柳馨遠)을 들었는바, 그는 유형원의 학문 태도를 계승해 차원을 한 단계 더 넓고 깊게 발전시켰다. 이후의 안정복·정약용(丁若鏞)·이중환(李重煥)·박제가(朴齊家)·박지원(朴趾源)의 학문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성호사설≫에 담긴 사상은 하나의 호수에 비겨 말하기도 한다. 즉 유형원 이래 발전되어 온 실학이 그의 저술에 이르러 모두 통합되었다가 그 뒤 각 분야의 전문학자에 의해 더욱 분화되어 심층적으로 연구된 것을 뜻한다.
≪성호사설≫은 이익의 사회개혁안인 ≪곽우록≫의 내용과 깊은 관련을 가진다. ≪성호사설≫에 담긴 내용을 현실개혁안 중심으로 다시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 ≪곽우록≫이다. 그러므로 이익의 사상을 이해하는 데에는 ≪성호사설≫이 ≪곽우록≫보다 더 중요한 기본 자료이다.
[ 참 고 문 헌 ]
▷ 성호이익시선 (예문서원, 2004)
▷ 성호사설정선 (이익 저, 정혜렴 옮김, 현대실학사, 1998)
▷ 성호사설·곽우록해제(洪以燮, 韓國의 思想大全集, 1977).
▷ 星湖僿說解題(韓佑劤, 국역성호사설 1집, 民族文化推進會,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