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1)정 2)기 3) 신
3.결론
2.본론~ 1)정 2)기 3) 신
3.결론
본문내용
백(魄)은 정기를 바로잡도록 도와주며, 간의 혼은 신기를 도와준다. 의(意)란 기억하여 잊지 않는 것이며, 지(志)란 마음을 온전히 하여 변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마음의 상태가 오장의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마음이 편하고 고요하여 변하지 않는 것이 올바른 양생이라고 하겠다.
3) 원신(元神)과 식신(識神)
원신은 부모로부터 받아 태아 때부터 이미 지니고 있는 것을 말하며, 선천의 신이 라고도 한다. 식신은 세상에 태어나서 학습과 경험, 기억에 의해서 생겨난 것으로 대뇌의 작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식신은 사람의 대뇌활동, 의식의 사유 활동 대부분을 가리킨다.
원신은 정신, 의식 사유 활동의 지배를 받지 않고 사람의 생명활동을 주재한다. 그러나 식신은 주로 사람의 정신과 의식, 사유 활동의 영향을 받으며 생명 과정에 관여한다. 이 두 가지가 통일성을 가지고 상호 작용할 때 사람은 정상적인 생명활동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Ⅲ. 결 론
동양의 기론(氣論)적 우주관의 견해로는 인체는 기(氣)이다. 정 기 신은 생명체를 수성하고 생명을 발현하고 유지시키는 기능이다. 기(氣)인 인체를 그 기능에 따라 나눈 것이 정기신이다. 정(精)은 형체를 이루고, 기능을 하는 물질적인 개념이며, 기(氣)는 정신과 신체적인 생리 심리적인 활동을 하는 생명에너지이고, 신(神)은 생명의 정화(精華)로서 마음 또는 정신을 가리키는 것이다. 유기체(有機體)로서의 인간의 생명의 유지는 정기신 3자가 합동으로 이루어 내는 것이며 각각 하나로는 독립하여 생명을 유지할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인간은 신명나는 삶을 살기 위하여 정기신 3자를 고르게 성장 발달시키고 부단히 바르게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인간은 정(精)의 자양을 위해서 바르게 먹고, 바르게 호흡하며, 바르게 생활하여야 한다. 그리하여야 기(氣)는 정(精)에 의하여 생성이 되어 인체의 모든 생리 대사기능이 활성화되어 바른 건강을 유지하며, 이 기(氣)에 의하여 건강한 신(神)이 생성되어 신명(神明)나는 삶을 살 수 있어 양생(養生)의 목적인 무병장수(無病長壽)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이동현(1990),건강기공 서울: 정신세계사
이광준(2002),한방심리학 서울: 학문사
이현수(2004),성경의 양생학적 문헌연구 명지대학교 석사논문
홍원식(1992),황제내경 소문 영추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황무연(1993),한의학과 인체의 신비 서울: 고려의학
3) 원신(元神)과 식신(識神)
원신은 부모로부터 받아 태아 때부터 이미 지니고 있는 것을 말하며, 선천의 신이 라고도 한다. 식신은 세상에 태어나서 학습과 경험, 기억에 의해서 생겨난 것으로 대뇌의 작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식신은 사람의 대뇌활동, 의식의 사유 활동 대부분을 가리킨다.
원신은 정신, 의식 사유 활동의 지배를 받지 않고 사람의 생명활동을 주재한다. 그러나 식신은 주로 사람의 정신과 의식, 사유 활동의 영향을 받으며 생명 과정에 관여한다. 이 두 가지가 통일성을 가지고 상호 작용할 때 사람은 정상적인 생명활동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Ⅲ. 결 론
동양의 기론(氣論)적 우주관의 견해로는 인체는 기(氣)이다. 정 기 신은 생명체를 수성하고 생명을 발현하고 유지시키는 기능이다. 기(氣)인 인체를 그 기능에 따라 나눈 것이 정기신이다. 정(精)은 형체를 이루고, 기능을 하는 물질적인 개념이며, 기(氣)는 정신과 신체적인 생리 심리적인 활동을 하는 생명에너지이고, 신(神)은 생명의 정화(精華)로서 마음 또는 정신을 가리키는 것이다. 유기체(有機體)로서의 인간의 생명의 유지는 정기신 3자가 합동으로 이루어 내는 것이며 각각 하나로는 독립하여 생명을 유지할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인간은 신명나는 삶을 살기 위하여 정기신 3자를 고르게 성장 발달시키고 부단히 바르게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인간은 정(精)의 자양을 위해서 바르게 먹고, 바르게 호흡하며, 바르게 생활하여야 한다. 그리하여야 기(氣)는 정(精)에 의하여 생성이 되어 인체의 모든 생리 대사기능이 활성화되어 바른 건강을 유지하며, 이 기(氣)에 의하여 건강한 신(神)이 생성되어 신명(神明)나는 삶을 살 수 있어 양생(養生)의 목적인 무병장수(無病長壽)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이동현(1990),건강기공 서울: 정신세계사
이광준(2002),한방심리학 서울: 학문사
이현수(2004),성경의 양생학적 문헌연구 명지대학교 석사논문
홍원식(1992),황제내경 소문 영추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황무연(1993),한의학과 인체의 신비 서울: 고려의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