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코마코스 윤리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가 있고 또 친애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사람들이 공동으로 생활하는 한도는 곧 그들의 친애의 한도. 정의도 마찬가지.
모든 친애와 정의 가운데도 더 친밀한 것이 있고 덜 친밀한 것이 있다.
-국가는 그보다 약소한 모든 공동체를 내포한다.
사람들은 어떤 특정한 이익을 바라보고 어떤 것을 서로 공급할 것을 염두에 두고 함께 살아가는데 국가공동체도 역시 이익 때문에 결성되고 또 지속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런데 국가 이외의 모든 공동체들은 부분적으로 이익을 구한다.
제 10장 국가체제의 분류. 가족관계와의 유배
- 국가체제의 3가지 형태
군주제 - 가장 좋은 것
귀족제 - 군주제와 유산자제의 중간
유산자제(공화제) - 가장 나쁜 것
- 타락한 3형태
참주제 - 군주제가 타락한 것
과두제 - 귀족제가 타락한 것
민주제 - 유산자제가 타락한 것
- 가정에서 찾아볼 수 있는 국가체제의 모형
부친과 아들의 공동체 - 군주제의 형태
부부의 공동체 - 귀족제의 형태
형제들의 공동체 - 유산자제와 비슷함
제 11장 여기 대응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우애 및 정의
군주와 신민들 사이의 친애 = 부친의 친애
남편과 아내의 친애 = 귀족제의 친애
형제들 간의 친애 = 동료들 간의 친애 = 유산자제적인 국제의 경우의 친애
- but. 이상의 모든 타락형태에는 정의가 거의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친애도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참주제 속에는 친애가 거의 없거나 혹은 전혀 없다
왜냐하면 지배자와 피지배자, 노예와 주인 사이에는 공동적인 것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제 12장 친족간의 우애의 가지각색 형태
친족 간의 친애와 동료들 간의 친애를 다른 모든 친애와 특별히 구별하여 생각할 수 있다.
- 공동체적 친애 : 같은 국민, 동업자, 동선자들 및 이 밖에 이와 비슷한 사람들 간의 친애가 띔
- 혈연적 친애 : 부자적(父子的) 친애에 연유.
(왜냐하면 부모는 자식을 자기의 일부인 것처럼 사랑하고, 자식은 부모를 거기서 자기들이 나온 그 어떤 것으로서 사랑하기 때문이다.)
- 형제들의 친애 : 형제는 서로 분리된 개인들이지만, 어느 의미에서는 같은 것. 함께 교육을 받은 것과 나이가 비슷한 것도 친애에 크게 이바지함. 이런 까닭에 형제들의 친애는 아주 가까운 친구들의 친애와 닮음.
- 이외의 혈연관계 (남편과 아내 사이의 친애)
: 남편과 아내 사이에는 친애가 본성에 의하여 존재. 왜냐하면 인간은 본성상 짝을 이루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음.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5.26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14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