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관계이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PROCESS, STYLE, AND STRATEGY(과정, 유형, 전략)

■ LEARNING STYLES(학습유형)

■ Left and Right Brian Functioning(좌뇌와 우뇌 기능)

■ Ambiguity Tolerance(애매 모호성에 대한 관용도)

■ Reflectivity & Impulsivity(심사숙고형과 충동형)

■ Visual & Auditory Styles(시각적 유형과 청각적 유형)

■ Strategies(전략)

■전략의 2가지 종류

■제 2언어 학습 전략의 역사적 흐름

■ Learning Strategies(학습 전략)

■학습 전략의 3가지 범주

■ Communication Strategies(의사소통 전략)

■ Avoidance Strategies(회피 전략)

■ Compensatory Strategies(보상 전략)

■ Strategies-Based Instruction(전략 중심 지도법)

■ 교실 상황 : 학습 유형과 전략의 실제

본문내용

얻고, 정보를 공동 출자하고 언어 활동의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동료와 함께 일함.
확인 질문
(question for clarification)
교사나 다른 원어민에게 반복, 바꿔 말하기, 설명이나 예를 요청함.
■ Communication Strategies(의사소통 전략)
학습전략은 흡입, 기억, 저장, 회상이란 수용적 영역에 관한 것이지만, 의사소통 전략은 정보의 생산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수단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언어의 이해와 표출은 대부분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 두 전략을 구분하기는 것은 쉽지가 않다. 그러나 교수적 목적을 위해서 이 두 전략을 구분하는 것을 유용하다.
Faerch & Kasper(1983a: 36)는 의사소통 전략을, “특정 의사소통 목표에 도달해 가는 데 있어서 한 개인이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잠재적으로 의식적인 계획을 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의사소통 전략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를 이해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이런 전략에 대한 전형적인 목록을 살펴보는 것이다. 다음은 수십 년 간의 연구를 통해 받아들여진 의사소통 전략들의 목록을 제시한다.
■ Avoidance Strategies(회피 전략)
회피는 몇 가지 하위 범주로 나누어질 수 있는 의사소통 전략이다. 회피 전략의 표적인 종류는 구문적(syntactic)회피 또는 의미론적 범주 안에 속하는 어휘적 회피가 있다. 다음 대화를 살펴보면,
L: I lost my road.
NS: You lost your road?
L: Uh,..... I lost. I lost. I got lost.
* 이 대화에서 학습자는 way라는 단어를 모르기 때문에 road라는 특정 어휘를 완전히 회피해버렸다. ⇒ lexical avoidance
* 음운론적 어려움 때문에 “계속해서 서로 치다”라는 뜻의 rally라는 단어 사용을 피하고 “hit the ball"이라는 말을 선택한다. ⇒ phonological avoidance
* topic avoidance: 회피의 직접적인 종류로 대화의 전체 화제를 완전히 피하는 것이다. 그 예로, 과거 시제가 친숙하지 않을 때 어제 일어났던 일에 대해 말하는 것을 완전히 피하는 경우, 주제를 바꾸거나, 이해가 안 되는 것처럼 꾸미거나, 응답을 하지 않거나, 생각을 표현하는 것이 너무 어렵게 느껴질 때는 말을 중단하는 경우 등이 있다.
■ Compensatory Strategies(보상 전략)
보상 전략은 부족한 지식을 보상하기 위한 것이다.
* 조립식 문형(prefabricated patterns): 제 2언어 수준이 낮은 초보 학습자들이 특정한 상투적인 문구가 어떤 구조인지도 모르면서 이를 암기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해외여행을 가려는 사람이 소책자를 사서 몇 가지 일상적으로 쓰이는 문장을 통째로 외우는 것이다. 예를 들어, "How much does this cost?, Where is the toilet?" 같은 문장을 적절한 상황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암기하는 것이다.
* 언어 전환(code-switching): 제 2언어 발화에서 제 1 또는 제 3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언어 전환은 제 1언어가 같은 성인 학습자가 대화를 나눌 때 무의식적으로 자주 일어난다. 습득의 초기 단계에서 학습자는 청자가 모국어를 알든 모르든 부족한 지식을 메우기 위해 자신의 모국어를 사용한다. 때때로 학습자는 청자가 자신이 말의 요지를 이해하기를 바라면서 모국어로 한두 단어를 슬쩍 말한다.
* 직접 도움을 요청하는 것: 특정 단어나 문구가 떠오르지 않을 때, “How do you say...?"라는 질문으로 원어민이나 교사에게 직접 뭐라고 말하는지 물어보거나/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 추측하여 말한 뒤 자신의 말이 맞는지 원어민에게 확인하거나/ 학습자가 이중 언어 사전을 찾아보는 경우가 있다.
유용한 의사소통 전략들은 위 표에 있는 13개로 국한 된 것이 아니다.
- Cohen과 Aphek(1981)은 성공적인 학습자는 단어 연상을 활용하고 자신들만의 규칙을 만들어 낸다는 것을 알아냈다.
- Chesterfield와 Chesterfield(1985)는 학습자가 제 2언어를 연습하기 위해 혼자 이야기하는(self talk) 경우가 있다는 것을 보고했다.
- Rost와 Ross(1991)는 학습자가 반복을 요청하거나 여려 형태로 메시지를 확인하려는 시도를 해보는 것이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 Huang과 Van Naerssen(1987)은 학습자의 구두 발화 성공은 의사소통을 위해 언어를 사용하는 기능적 연습과 독해 연습 덕분이라고 보았다.
■ Strategies-Based Instruction(전략 중심 지도법)
학습 전략과 의사소통 전략 모두를 교실 학습에 적용하려는 교사나 연구가들의 노력은 전략 중심 지도법(strategies-based instruction: SBI)으로 또는 학습자 전략 훈련으로 알려져 왔다. 이는 학습자에게 스스로 어떻게 학습해야 하는 가를 가르치는 것이 핵심이며 Wenden(1985)에 의하면 학습자 전략은 학습자 자율성의 핵심이며 언어 지도에서 가장 중요한 목표는 자율성을 촉진시켜 주는 것이다. 교사는 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통해 성공적인 전략 사용을 위한 환경을 교실 환경에 구축할 수 있다.
■ 교실 상황 : 학습 유형과 전략의 실제
교실 수업에서 여러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전략 중심 지도법이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보여주는 예를 보여주기 위한 3가지 제안
1. 학습 유형 점검표를 사용하라: 교사가 좋은 언어 학습 전략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학생 스스로 자신에 대한 등급을 매겨 볼 수 있도록 점검표를 작성하게 한다.
2. 성공적인 학습 및 의사소통 전략에 대한 힌트를 자주 자연스럽게 주라: 언어 수업에 두려움이나 억압 상태로 임하는 학생에게 건설적인 피드백을 주기 위한 학습자를 위한 10계명 형식으로 서술할 수도 있다.
3. 전략적 기술을 길러주라: 지도 방식을 학생들이 좋은 언어 학습 행위를 배울 수 있는 방향으로 가능한 확실하게 맞추는 것.

키워드

교육,   사범,   교수,   학습,   지도,   학교,   교과,   국제관계이론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6.03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31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