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잠재적 교육과정의 논의Ⅰ- 보수적 관점
2. 잠재적 교육과정의 논의Ⅱ- 급진적 관점
3. 잠재적 교육과정의 공헌 : 교육과정의 개념 확장
2. 잠재적 교육과정의 논의Ⅱ- 급진적 관점
3. 잠재적 교육과정의 공헌 : 교육과정의 개념 확장
본문내용
: 잠재적 교육과정은 부정적이더라도 유한한 인간이 만든 제도의 어쩔 수 없는 한계로 받아들여야 한다.
나. 잠재적 교육과정의 공헌
-잠재적 교육과정에 관한 논의가 학교 교육과 교육학의 발전에 기여한(할 수 있는)점
①교육과정과 교육평가의 개념 확장에 기여 : '교육과정 이해'의 패러다임이 강조, '탈 목표 평가'관점 등장
②잠재적 교육과정은 '학교 교육이 이러이러해야 한다'라는 '당위적 진술'보다는 '학교 교육이 이러이러하다'라는 '사실적 진술'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 함 : 학교 교육에 관한 문화기술지적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한 질적 연구 방법을 확산
③잠재적 교육과정은 학교 교육과 교육과정의 효율성 제고에 기여
*참고문헌 : 교육과정과 교육평가<제3판>/ 교육과학사/ 김재춘 외 3명/ 129~147
나. 잠재적 교육과정의 공헌
-잠재적 교육과정에 관한 논의가 학교 교육과 교육학의 발전에 기여한(할 수 있는)점
①교육과정과 교육평가의 개념 확장에 기여 : '교육과정 이해'의 패러다임이 강조, '탈 목표 평가'관점 등장
②잠재적 교육과정은 '학교 교육이 이러이러해야 한다'라는 '당위적 진술'보다는 '학교 교육이 이러이러하다'라는 '사실적 진술'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 함 : 학교 교육에 관한 문화기술지적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한 질적 연구 방법을 확산
③잠재적 교육과정은 학교 교육과 교육과정의 효율성 제고에 기여
*참고문헌 : 교육과정과 교육평가<제3판>/ 교육과학사/ 김재춘 외 3명/ 129~14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