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처럼 혜강 최한기는 유학의 치인(治人)을 드러내려 서구의 사상을 도입하여 이론 체계화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조선 말기 새로운 학풍에 의해 유학을 연구한 사람들은 과학적 탐구 방법을 통해 유가 사상의 치인적 측면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외래 사상 자체에 관심을 집중했을 뿐, 주체성의 회복과 그것을 바탕으로 하는 주체적 수용이라는 문제를 간과하여 결국 실패할 수밖에 없었다.
동학은 민족 주체성의 회복을 종교적인 측면에서 해결하고자 최제우가 창시하였다. 이것은 서학과 다르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동학이 동양 전통 사상을 계승했다는 것을 표방하기 위하여 동학이라 이름 붙여졌다. 수운이 천도를 받는 과정을 살펴보면 선도적 성격을 읽을 수 있지만, 동학에는 유가적 성격도 드러나 있다. 내적으로는 유가적 요소를 갖고 있으면서도 외적으로는 선도의 형태를 띠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동학은 천주를 섬기는 일이 인간을 섬기는 일이며, 도덕적 자아의 완성을 통해 천주의 세계에 도달하고자 한 것이 동학의 전통적 요소이다.
정역은 역수원리를 내용으로 하는 천도를 천명한 역학서이다. 즉 하도와 낙서에 담긴 역수원리를 천명하여 역도의 전모를 밝힌 저작이 바로 정역이다. 천도의 구체적 내용인 역수원리는 십오존공원리와 사역 변화 원리이다. 이와 같이 정역에 의해 역수원리가 천명되어 유가 사상의 존재론적 근거가 밝혀지고 역도의 본래적 내용 또한 밝혀지게 되었다. 즉 정역을 통해 한국 사상의 성가가 가능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신도 사상을 바탕으로 형성된 한국 유학 사상의 특징을 정리해보면, 첫째, 한국 유학은 천도 중심의 사상이다. 하지만 인도와 무관한 천도 가 아닌 자신의 본래성과 일체화되어 지각된 천도이다. 둘째, 한국 유학은 인간 주체적 자각을 바탕으로 형성된 학문이다. 셋째, 한국 유학이 추구하는 세계는 천도와 지덕이 합덕하여 일체화된 도덕 세계이다. 이것은 한국 유학만의 특징이 아닌 한국 고유 사상의 특징이기도 하다. 넷째, 한국 유학은 현실적 사상이다. 한국 유학 사상은 시간적으로 영원한 현재적 사상이고, 동시에 공간적으로 인간 중심의 사상이라는 것이다. 다섯째, 한국 유학은 실학이다. 형이상하가 원융된 세계를 타구 대상으로 하는 유학은 참다운 세계를 추구하는 학문이다. 여섯째, 한국 유학은 유학의 열매이다. 불교에서와 같이 유학도 마찬가지로 중국유학이 꽃이라면 한국 유학은 씨앗과 열매라는 것이다.
조선 말기 새로운 학풍에 의해 유학을 연구한 사람들은 과학적 탐구 방법을 통해 유가 사상의 치인적 측면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외래 사상 자체에 관심을 집중했을 뿐, 주체성의 회복과 그것을 바탕으로 하는 주체적 수용이라는 문제를 간과하여 결국 실패할 수밖에 없었다.
동학은 민족 주체성의 회복을 종교적인 측면에서 해결하고자 최제우가 창시하였다. 이것은 서학과 다르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동학이 동양 전통 사상을 계승했다는 것을 표방하기 위하여 동학이라 이름 붙여졌다. 수운이 천도를 받는 과정을 살펴보면 선도적 성격을 읽을 수 있지만, 동학에는 유가적 성격도 드러나 있다. 내적으로는 유가적 요소를 갖고 있으면서도 외적으로는 선도의 형태를 띠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동학은 천주를 섬기는 일이 인간을 섬기는 일이며, 도덕적 자아의 완성을 통해 천주의 세계에 도달하고자 한 것이 동학의 전통적 요소이다.
정역은 역수원리를 내용으로 하는 천도를 천명한 역학서이다. 즉 하도와 낙서에 담긴 역수원리를 천명하여 역도의 전모를 밝힌 저작이 바로 정역이다. 천도의 구체적 내용인 역수원리는 십오존공원리와 사역 변화 원리이다. 이와 같이 정역에 의해 역수원리가 천명되어 유가 사상의 존재론적 근거가 밝혀지고 역도의 본래적 내용 또한 밝혀지게 되었다. 즉 정역을 통해 한국 사상의 성가가 가능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신도 사상을 바탕으로 형성된 한국 유학 사상의 특징을 정리해보면, 첫째, 한국 유학은 천도 중심의 사상이다. 하지만 인도와 무관한 천도 가 아닌 자신의 본래성과 일체화되어 지각된 천도이다. 둘째, 한국 유학은 인간 주체적 자각을 바탕으로 형성된 학문이다. 셋째, 한국 유학이 추구하는 세계는 천도와 지덕이 합덕하여 일체화된 도덕 세계이다. 이것은 한국 유학만의 특징이 아닌 한국 고유 사상의 특징이기도 하다. 넷째, 한국 유학은 현실적 사상이다. 한국 유학 사상은 시간적으로 영원한 현재적 사상이고, 동시에 공간적으로 인간 중심의 사상이라는 것이다. 다섯째, 한국 유학은 실학이다. 형이상하가 원융된 세계를 타구 대상으로 하는 유학은 참다운 세계를 추구하는 학문이다. 여섯째, 한국 유학은 유학의 열매이다. 불교에서와 같이 유학도 마찬가지로 중국유학이 꽃이라면 한국 유학은 씨앗과 열매라는 것이다.
추천자료
한국종교의 이해
한국 사상의 흐름
한국의 철학적 사유와 그리스 철학의 도움
어울림이 있는 한국 조경(한국의 전통 조경에 대해)
한국인에게 종교의 의미 - 한국의 교회
한국의 종교 상황과 특징 - 다종교의 정의, 한국의 다종교 상황과 특징, 다종교현상의 배경
한국의 국제정치사상 - 20세기 한국 민족주의의 흐름
한국 무용의 종류 - 시대별 종류 및 궁중 무용과 민속무용 정의,특징,종류 정리
한국의 역사와 문화 완전 정리.
[세계종교][종교][세계종교의 변동][세계종교의 종류][세계종교의 분쟁][세계종교의 신][세계...
[정관 김복진][근대 조각가][한국근대문예운동]근대 조각가 정관 김복진의 일생, 근대 조각가...
그리스도교의 이해 <현대 한국 그리스도교의 왜곡> (그리스도교의 한국 전래, 천주교의 수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