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금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소금이란

소금의 장단점

소금이 종류
◉ 천일염
♠ 만드는 방법
♠ 중국 천일염
♠ 멕시코.호주 천일염
◉ 구운 소금
◉ 맛소금
◉ 죽염
♠ 제조방법
♠ 효능
◉ 암염
가공방법에 따른 분류
◎ 소염
◎ 용염
◎ 천염
◎ 죽염
◎ 가공염(정제염)

간 수

본문내용

웨버 박사의 분석에 의하면 바닷물에 들어 있는 미네랄의 화학적 조성과 인간 체액의 조성은 매우 유사한 면이 있다고 한다. 따라서 인간에게는 생리상 바닷물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미네랄이 필요하다. 신진대사 과정에서 소모되는 미네랄을 보충해 두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천일염에는 미량의 비소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것을 그대로 먹으면 인체에 해롭다고 한다. 염화마그네슘이 주성분인 간수는 두부를 만들 때 사용하는 데 원래는 유독해서 먹으면 설사를 하게 된다. 그러나 염화마그네슘은 열을 가하면 분해되어 염소는 증발하여 무독하게 되고, 마그네슘은 산화마그네슘이 된다.
미네랄 성분을 피괴시키지 않고 유해성분을 여과조에서 여과시켜 재결성한 후 용해로에서 고열로 용해하여 불순물을 제거시킨 소금이 천염이다
천염에는 물에 녹인 용염의 방식으로 추출해 낸 것과 불에 볶아 소염의 방법으로 추출해 낸 것이 있는데 녹인소금은 건강식용, 피부 마시지용, 치아 건강용으로 사용하면 좋고, 볶은 소금은 조리용, 식탁용, 김장용으로 사용하기 좋게 만들어져 있다.
◎ 죽염 : 오운(五運), 육기(六氣)적으로 만들어 낸 동양의학의 최대 비약이다.대나무, 소금, 황토, 소나무 화목과 송진의 기운을 모아 한꺼번에 압축시켜 만든 가장 양질의 소금이다. 따라서 그 효능 또한 매우 크며 인체의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사용이 안 되는 곳이 없을 정도로 다양하다.
◎ 가공염(정제염) : 시중에 나와 있는 것 중 `정제염(화학염)', 재제염(꽃소금), 맛소금(조미료를 첨가한 소금)등이 있는데 모두 화학처리를 한 소금들로 조리용으로 쓸 수 있는 유익한 소금이라고는 할 수 없다. 이것은 소금이라기 보다는 화학약품이라고 하는 것이 더 적합한 명칭이다.
화학염은 99.9%의 염화나트륨(NaCl)이다. 이것은 식염이 될 수 없다. 엄격한 의미에서 나트륨, 염소의 2종이 원소로 된 화학물질이다.
간 수
간수는 바닷물에서 소금을 석출(析出)할 때 남는 모액(母液)을 말한다.
고염(苦鹽) 노수라고도 한다. 소금을 제조할 때 부산물로서 얻을 수 있고, 또 조염(粗鹽)을 저장할 때, 그 조해작용(潮解作用)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성분은 염화마그네슘이 15~19%, 황산마그네슘이 6~9%, 염화칼륨이 2~4%, 염화나트륨이 2~6%, 브롬화마그네슘이 0.2~0.4% 등으로 되어 있다. 옛날부터 두부를 만들 때 응고제로 이용되었으나,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간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현재는 무기약품의 중요한 자원으로 이용된다. 간수처리공업은 칼륨공업 및 칼륨비료 제조공업 등 하나의 부문이 되어 있고, 또 간수를 이용하여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금속마그네슘 등을 제조하려는 연구도 있다. 간수는 직접적으로 두부 제조와 마그네시아시멘트 등에 쓰이고, 그 밖에 정미용(精米用) 씨가리기(選種) 등에도 소량이지만 옛날부터 이용되고 있다.
간수란 천일 제염으로 만든 굵은 소금에 함유되어 있는 염화 마그네슘이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끈적끈적 해져서 녹아 나온 것을 모은, 아주 떫은 액체를 가리키는데 이 떫은 맛은 마그네슘 때문이다. 이것은 두부를 응고시키는 데에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지금은 이온 교환 제조법으로 거의 바뀌었기 때문에 이제 끈적끈적한 굵은 소금은 볼 수 없게 되었는데 야채를 절일 때에는 그것이 필요하다는 소비자의 요구가 있어 정제식염에 염화마그네슘을 첨가한 '야채 절임용 소금'을 따로 판매하는 곳도 있다.
지금의 두부는 간수를 쓰는 대신에 화학 응고제를 쓰기 때문에 두부의 맛은 변하지 않았다지만 영양가 면에서는 못하다고 할 수 있다.
간수는 소금이 습기에 녹아 저절로 흐르는 물이다. 즉 소금물이라고 한다고 한다..

키워드

소금,   양념,   조미료,   나트륨,   간수,   죽염,   천일염,   구운소금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9.29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55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