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사찰음식의 개요
Ⅱ. 사찰음식의 특징
Ⅲ. 사찰음식에 사용하는 천연양념
Ⅳ. 사찰음식의 종류
1). 주식
2). 국류
3). 나물류
4). 쌈
5). 전
6). 버섯류
7). 조림
8). 찜
9). 튀김
10). 김치
Ⅴ. 아침․점심․저녁의 사찰음식
1). 아침 - 부드러운 죽으로 뇌를 깨운다.
2). 점심 - 딱딱한 음식으로 위장운동 활기차게
3). 저녁 - 과일즙과 국수로 가볍게
Ⅵ. 주요 사찰별 대표 음식
Ⅶ. 사찰음식 만들기
1). 잡곡밥
2). 표고버섯밥
3). 냉이 죽
4). 배추김치
5). 동치미
6). 김치찌개
7). 무국
8). 오이나물
9). 콩나물모자반무침
10). 두릅튀김
11). 우엉지짐
< 참고자료 >
Ⅱ. 사찰음식의 특징
Ⅲ. 사찰음식에 사용하는 천연양념
Ⅳ. 사찰음식의 종류
1). 주식
2). 국류
3). 나물류
4). 쌈
5). 전
6). 버섯류
7). 조림
8). 찜
9). 튀김
10). 김치
Ⅴ. 아침․점심․저녁의 사찰음식
1). 아침 - 부드러운 죽으로 뇌를 깨운다.
2). 점심 - 딱딱한 음식으로 위장운동 활기차게
3). 저녁 - 과일즙과 국수로 가볍게
Ⅵ. 주요 사찰별 대표 음식
Ⅶ. 사찰음식 만들기
1). 잡곡밥
2). 표고버섯밥
3). 냉이 죽
4). 배추김치
5). 동치미
6). 김치찌개
7). 무국
8). 오이나물
9). 콩나물모자반무침
10). 두릅튀김
11). 우엉지짐
< 참고자료 >
본문내용
굵은 소금 1컵, 꽃소금 1/2컵, 설탕 1큰술, 양념(무 1개, 미나리 1/3단, 다진 생강 2큰술, 고춧가루 1컵, 찹쌀 풀 1/2컵)
(2) 만드는 법
① 배추는 세로로 4등분해 굴은 소금에 담가 절인 후 물기를 뺀다.
② 무는 깨끗이 씻은 후 채 썰어 꽃소금에 절였다가 씻은 뒤 물기를 빼준다. 미나리는 5cm 길이로 잘라둔다.
③ 분량의 재료로 양념장을 만든 후 꽃소금과 설탕으로 간을 맞춘다.
④ 절인 배추의 잎사귀 사이사이에 양념을 넣고 겉잎으로 싼 후 용기에 담는다.
5). 동치미
(1) 재료
무 10개, 배 2개, 실파 1/2단, 갓 1/2단, 홍고추 5개, 삭힌 청고추 10개, 소금물(물 30컵, 굵은 소금 2컵), 굵은 소금 2컵
(2) 만드는 법
① 무는 깨끗이 씻어 소금물에 담가 하룻밤 숙성시킨 다음 실파를 같이 넣어 30분 정도 더 절인다. 실파는 절인 후 2~3줄기씩 돌돌 말아둔다.
② 배는 껍질째 깨끗이 씻어 4등분해 가른다.
③ 갓은 푸르고 어린잎을 골라 소금에 절였다가 한 줄기씩 돌돌 싸놓는다.
④ 소금물을 고운체에 밭쳐 깨끗한 국물을 만든다.
⑤ 용기에 무와 실파, 배, 홍고추, 삭힌 청고추, 갓 등을 켜켜이 놓고 돌로 눌러놓은 다음 소금물을 붓는다.
6). 김치찌개
(1) 재료
신김치 1포기, 산사 죽염된장 1/2큰술, 소금
(2) 만드는 법
① 신김치를 적당한 크기로 썰어서 냄비에 물을 붓고 끓인다.
② 한소끔 끓었을 때 된장을 약간만 넣고 소금으로 간을 한다.
③ 김치가 푹 익을 때까지 끓인다.
(3) 포인트
① 김치는 이미 양념이 다 되어 있는 음식이므로 다른 양념을 넣으면 김치찌개의 참맛을 잃을 수도 있다.
② 기호에 따라 두부를 넣어 먹어도 좋다.
③ 된장을 넣는 것은 김치찌개의 신맛을 약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④ 찌개를 끓일 때 된장 대신 식용유 한 큰술을 넣고 끓이면 맛이 순하고 고소하다.
7). 무국
(1) 재료
무(작은 것) 1/3개, 참기름 1큰술, 산사 간장 1/2큰술, 소금 1/2큰술
(2) 만드는 법
① 무는 깨끗이 껍질을 깍아 준비한다.
② 준비해 놓은 무를 칼로 저민다.
③ 저며 놓은 무를 냄비에 넣고 참기름을 넣어서 볶는다.
④ 무와 참기름이 어울릴 때까지 볶다가 물을 뭇고 산사 간장으로 색을 낸다.
⑤ 무가 충분히 익을 때까지 약한 불에서 서서히 끓인다.
⑥ 소금으로 간을 해서 한소끔만 더 끓이면 된다.
(3) 포인트
① 무는 배추, 고추와 함께 3대 채소 가운데 하나이다. 특히 무에는 비타민 C가 많이 들어 있기 때문에 겨울철 부족하기 쉬운 비타민의 공급원 역할을 한다.
② 무생채를 할 때 무심코 곁들이는 것이 오이인데 오이와 무를 잘라 서로 섞으면 무속에 들어 있는 비타민 C를 파괴하는 성분이 있으므로 주의하는 것이 좋다.
8). 오이나물
(1) 재료
청오이2개, 녹차소금약간, 맛기름 약간, 통깨약간
(2) 만드는 법
① 오이는 원형으로 잘라 녹차소금에 살짝 절여준다. (이때 냉수에 다시 헹궈 줄 것이 아니므로 살짝 싱겁다 할 정도로 절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② 오이를 꼭 짜 수분을 빼준다. (이때는 면 행주를 이용해 수분을 짜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유: 오이는 그 오이의 몸 윤곽을 살려주는 것이 종요한데 손을 이용해 꽉 짜게 되면 오이원형이 망가져 미운 오이나물이 된다)
③ 달군 후라이팬에 맛 기름을 두르고 볶아주다 통깨를 뿌려 완성한다.
9). 콩나물모자반무침
(1) 재료
말린 모자반, 콩나물, 집간장, 참기름, 고춧가루, 깨소금.
(2) 만드는 법
① 소금을 조금 넣은 물에 씻은 콩나물을 넣고 금방 삶아 건진 다음 물기가 없도록 해서 식힌다.
② 말린 모자반을 잘게 찢어 질긴 줄기와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찬물에 금방 조물 거려 씻고 물기를 꼭 짜낸다. 3. 콩나물이 다 식으면 모자반과 콩나물을 골고루 섞어 주며 집 간장과 고춧가루, 깨소금, 참기름으로 간을 맞춰 무쳐 준다.
(3) 맛내기 힌트
① 콩나물을 너무 오래 삶거나 물기가 있게 하면 아삭한 맛이 나지 않는다.
② 모자반을 씻을 때 금방 조물 거려 물기를 꼭 짜내야 특유의 모자반 향기가 살아 있다.
③ 모자반무침에 끓인 국물을 뜨거운 상태에서 부어 주면 바로 모자반국(몸국)이 된다.
10). 두릅튀김
(1) 재료
두릅 200g, 밀가루 ½컵, 녹말가루 ⅓컵 , 물 ½컵, 진간장 1큰술, 통깨 약간, 식초 ½작은술, 고춧가루 약간, 식용유 약간
(2) 만드는 법
① 두릅은 통통하고 싱싱한 것으로 선택하여 손질한 다음 깨끗이 씻어서 굵은 것은 밑동에 +자로 칼집을 넣어 둔다.
② 그릇에 밀가루와 녹말을 섞어 차가운 냉수로 걸죽하게 반죽하여 튀김옷을 만든다.
③ 두릅을 하나씩 잡고 튀김옷을 얇게 입혀서 섭씨 180도의 끓는 기름에 튀겨낸다.
④ 진간장에 식초, 고춧가루, 통깨를 넣어 양념장을 만들어 두릅튀김과 곁들인다.
11). 우엉지짐
(1) 재료 : 우엉200g, 밀가루1/2컵, 식초 작은술, 식용유2큰술, 물1/2컵, 설탕1작은술, 소금약간, 진간장1큰술, 고춧가루약간, 참깨약간.
(2) 만드는 법
① 우엉은 중가 크기로 선택하여 흙을 깨끗이 씻어 껍질을 벗긴다.
② 5㎝길이로 썰어 얇게 저며서 소금물에 살짝 삶아낸 후 식초, 소금, 설탕물에 담가 2시간 정도 간이 배도록 한다.
③ 밀가루에 소금으로 간하여 반죽을 해둔다.
④ ②의 재료에 마른 밀가루를 묻히고 ③의 반죽을 묻혀서 달구어진 팬에 노릇노릇 지져낸다.
⑤ 진간장, 고춧가루, 참깨로 양념장을 만들어 함께 곁들인다.
(3) 우엉의 효능
우엉은 신장과 이뇨(오줌을 잘 나오는 것)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위장, 흉통(가슴이 아픈 증세),피부병 등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엉은 뿌리뿐만 아니라 잎을 뜯어서 쑥떡을 만들 때 쑥 대신 푸른 빛깔을 내기 위해 쓰이기도 한다. 대체로 칼로리가 높은 식품으로 통하고 있다.
< 참고자료 >
「한국음식과 문화」, 김은실 외, 문지사, (2002)
「전통 사찰음식」, 적문, 우리출판사 (2000)
붓다뉴스, http://news.buddhapia.com/
불교총지종, http://chongji.or.kr/
(2) 만드는 법
① 배추는 세로로 4등분해 굴은 소금에 담가 절인 후 물기를 뺀다.
② 무는 깨끗이 씻은 후 채 썰어 꽃소금에 절였다가 씻은 뒤 물기를 빼준다. 미나리는 5cm 길이로 잘라둔다.
③ 분량의 재료로 양념장을 만든 후 꽃소금과 설탕으로 간을 맞춘다.
④ 절인 배추의 잎사귀 사이사이에 양념을 넣고 겉잎으로 싼 후 용기에 담는다.
5). 동치미
(1) 재료
무 10개, 배 2개, 실파 1/2단, 갓 1/2단, 홍고추 5개, 삭힌 청고추 10개, 소금물(물 30컵, 굵은 소금 2컵), 굵은 소금 2컵
(2) 만드는 법
① 무는 깨끗이 씻어 소금물에 담가 하룻밤 숙성시킨 다음 실파를 같이 넣어 30분 정도 더 절인다. 실파는 절인 후 2~3줄기씩 돌돌 말아둔다.
② 배는 껍질째 깨끗이 씻어 4등분해 가른다.
③ 갓은 푸르고 어린잎을 골라 소금에 절였다가 한 줄기씩 돌돌 싸놓는다.
④ 소금물을 고운체에 밭쳐 깨끗한 국물을 만든다.
⑤ 용기에 무와 실파, 배, 홍고추, 삭힌 청고추, 갓 등을 켜켜이 놓고 돌로 눌러놓은 다음 소금물을 붓는다.
6). 김치찌개
(1) 재료
신김치 1포기, 산사 죽염된장 1/2큰술, 소금
(2) 만드는 법
① 신김치를 적당한 크기로 썰어서 냄비에 물을 붓고 끓인다.
② 한소끔 끓었을 때 된장을 약간만 넣고 소금으로 간을 한다.
③ 김치가 푹 익을 때까지 끓인다.
(3) 포인트
① 김치는 이미 양념이 다 되어 있는 음식이므로 다른 양념을 넣으면 김치찌개의 참맛을 잃을 수도 있다.
② 기호에 따라 두부를 넣어 먹어도 좋다.
③ 된장을 넣는 것은 김치찌개의 신맛을 약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④ 찌개를 끓일 때 된장 대신 식용유 한 큰술을 넣고 끓이면 맛이 순하고 고소하다.
7). 무국
(1) 재료
무(작은 것) 1/3개, 참기름 1큰술, 산사 간장 1/2큰술, 소금 1/2큰술
(2) 만드는 법
① 무는 깨끗이 껍질을 깍아 준비한다.
② 준비해 놓은 무를 칼로 저민다.
③ 저며 놓은 무를 냄비에 넣고 참기름을 넣어서 볶는다.
④ 무와 참기름이 어울릴 때까지 볶다가 물을 뭇고 산사 간장으로 색을 낸다.
⑤ 무가 충분히 익을 때까지 약한 불에서 서서히 끓인다.
⑥ 소금으로 간을 해서 한소끔만 더 끓이면 된다.
(3) 포인트
① 무는 배추, 고추와 함께 3대 채소 가운데 하나이다. 특히 무에는 비타민 C가 많이 들어 있기 때문에 겨울철 부족하기 쉬운 비타민의 공급원 역할을 한다.
② 무생채를 할 때 무심코 곁들이는 것이 오이인데 오이와 무를 잘라 서로 섞으면 무속에 들어 있는 비타민 C를 파괴하는 성분이 있으므로 주의하는 것이 좋다.
8). 오이나물
(1) 재료
청오이2개, 녹차소금약간, 맛기름 약간, 통깨약간
(2) 만드는 법
① 오이는 원형으로 잘라 녹차소금에 살짝 절여준다. (이때 냉수에 다시 헹궈 줄 것이 아니므로 살짝 싱겁다 할 정도로 절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② 오이를 꼭 짜 수분을 빼준다. (이때는 면 행주를 이용해 수분을 짜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유: 오이는 그 오이의 몸 윤곽을 살려주는 것이 종요한데 손을 이용해 꽉 짜게 되면 오이원형이 망가져 미운 오이나물이 된다)
③ 달군 후라이팬에 맛 기름을 두르고 볶아주다 통깨를 뿌려 완성한다.
9). 콩나물모자반무침
(1) 재료
말린 모자반, 콩나물, 집간장, 참기름, 고춧가루, 깨소금.
(2) 만드는 법
① 소금을 조금 넣은 물에 씻은 콩나물을 넣고 금방 삶아 건진 다음 물기가 없도록 해서 식힌다.
② 말린 모자반을 잘게 찢어 질긴 줄기와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찬물에 금방 조물 거려 씻고 물기를 꼭 짜낸다. 3. 콩나물이 다 식으면 모자반과 콩나물을 골고루 섞어 주며 집 간장과 고춧가루, 깨소금, 참기름으로 간을 맞춰 무쳐 준다.
(3) 맛내기 힌트
① 콩나물을 너무 오래 삶거나 물기가 있게 하면 아삭한 맛이 나지 않는다.
② 모자반을 씻을 때 금방 조물 거려 물기를 꼭 짜내야 특유의 모자반 향기가 살아 있다.
③ 모자반무침에 끓인 국물을 뜨거운 상태에서 부어 주면 바로 모자반국(몸국)이 된다.
10). 두릅튀김
(1) 재료
두릅 200g, 밀가루 ½컵, 녹말가루 ⅓컵 , 물 ½컵, 진간장 1큰술, 통깨 약간, 식초 ½작은술, 고춧가루 약간, 식용유 약간
(2) 만드는 법
① 두릅은 통통하고 싱싱한 것으로 선택하여 손질한 다음 깨끗이 씻어서 굵은 것은 밑동에 +자로 칼집을 넣어 둔다.
② 그릇에 밀가루와 녹말을 섞어 차가운 냉수로 걸죽하게 반죽하여 튀김옷을 만든다.
③ 두릅을 하나씩 잡고 튀김옷을 얇게 입혀서 섭씨 180도의 끓는 기름에 튀겨낸다.
④ 진간장에 식초, 고춧가루, 통깨를 넣어 양념장을 만들어 두릅튀김과 곁들인다.
11). 우엉지짐
(1) 재료 : 우엉200g, 밀가루1/2컵, 식초 작은술, 식용유2큰술, 물1/2컵, 설탕1작은술, 소금약간, 진간장1큰술, 고춧가루약간, 참깨약간.
(2) 만드는 법
① 우엉은 중가 크기로 선택하여 흙을 깨끗이 씻어 껍질을 벗긴다.
② 5㎝길이로 썰어 얇게 저며서 소금물에 살짝 삶아낸 후 식초, 소금, 설탕물에 담가 2시간 정도 간이 배도록 한다.
③ 밀가루에 소금으로 간하여 반죽을 해둔다.
④ ②의 재료에 마른 밀가루를 묻히고 ③의 반죽을 묻혀서 달구어진 팬에 노릇노릇 지져낸다.
⑤ 진간장, 고춧가루, 참깨로 양념장을 만들어 함께 곁들인다.
(3) 우엉의 효능
우엉은 신장과 이뇨(오줌을 잘 나오는 것)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위장, 흉통(가슴이 아픈 증세),피부병 등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엉은 뿌리뿐만 아니라 잎을 뜯어서 쑥떡을 만들 때 쑥 대신 푸른 빛깔을 내기 위해 쓰이기도 한다. 대체로 칼로리가 높은 식품으로 통하고 있다.
< 참고자료 >
「한국음식과 문화」, 김은실 외, 문지사, (2002)
「전통 사찰음식」, 적문, 우리출판사 (2000)
붓다뉴스, http://news.buddhapia.com/
불교총지종, http://chongji.or.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