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대기의 기준과 기술방법
2. 그리스도교
3. 그리스
4. 중국
5. 일본
6. 인도
7. 이집트
8. 메소포타미아
9. 유대
10. 로마
11. 이슬람
12. 아메리카
2. 그리스도교
3. 그리스
4. 중국
5. 일본
6. 인도
7. 이집트
8. 메소포타미아
9. 유대
10. 로마
11. 이슬람
12. 아메리카
본문내용
설된 시점을 기준으로 연대를 계산하는 방법도 있었지만, 여러 학자들은 해마다 바뀌는 행정관의 명단을 통해 거꾸로 햇수를 세는 방법으로 연대를 다르게 산출했다. BC 1세기 이후에는 기록화 작업이 보다 진전되었지만 제국의 여러 지역에서는 여전히 다양한 연대 구분 방식이 사용되었는데, 15년을 주기로 세금을 부과한 것은 그 좋은 예이다.
11. 이슬람
이슬람교도들은 예언자 마호메트가 622년 9월 20일 메카에서 메디나로 도망친 '헤지라'가 일어난 직후에 그 사건을 기원으로 하는 이슬람 연대를 제정했다. 그러나 헤지라의 정확한 연대나 우마르 1세가 이슬람력을 선포한 연대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유럽과 접촉이 많은 지역에서는 역(曆)을 바꾸었지만 오늘날까지 '헤지라'는 대부분의 중동 지역에서 공식적인 기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12. 아메리카
마야족은 시간을 여러 신으로 표현했고 수백만 년의 세월을 과거와 미래로 나누어 계산했다. 그들은 '툰'(360일)과 그것의 20배수를 단위로 연대를 계산했다. 콜럼버스 발견 이전에 아메리카 대륙에 존재했던 그밖에 문명도 역사적·천문학적 사건들을 기록했지만 정확한 연대 체계에 관심을 가진 민족은 마야족뿐이었다.
11. 이슬람
이슬람교도들은 예언자 마호메트가 622년 9월 20일 메카에서 메디나로 도망친 '헤지라'가 일어난 직후에 그 사건을 기원으로 하는 이슬람 연대를 제정했다. 그러나 헤지라의 정확한 연대나 우마르 1세가 이슬람력을 선포한 연대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유럽과 접촉이 많은 지역에서는 역(曆)을 바꾸었지만 오늘날까지 '헤지라'는 대부분의 중동 지역에서 공식적인 기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12. 아메리카
마야족은 시간을 여러 신으로 표현했고 수백만 년의 세월을 과거와 미래로 나누어 계산했다. 그들은 '툰'(360일)과 그것의 20배수를 단위로 연대를 계산했다. 콜럼버스 발견 이전에 아메리카 대륙에 존재했던 그밖에 문명도 역사적·천문학적 사건들을 기록했지만 정확한 연대 체계에 관심을 가진 민족은 마야족뿐이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