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동양적(東洋的)인 학(學)의 성격
2. 중국적(동양적) 사유에 있어서의 상징성
2. 중국적(동양적) 사유에 있어서의 상징성
본문내용
하고 본질에 접근해 나간다. 그리고 이러한 인지(認知) 과정에서, 상징성으로 인해서 어쩌면 애매모호 할 수도 있는 상황을 유추(類推)를 이용하여 극복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한다. 유추(類推)란 동류(同類)의 것들을 모아서 그 공통되는 성격을 도출해내고 결과적으로 그 본질에 다가가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중국에서 이용되는 유추(類推)의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음양(陰陽)이 있고, 구체적으로는 사상(四象), 오행(五行), 팔괘(八卦), 64괘(六十四卦)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방법을 기준으로 우주만물을 유(類)로 분류하고, 결과적으로 그 본질을 이끌어 낸다.
끝으로, 동양의 학문적 특성인 상징성은 서양의 학문적 특성인 논리성에 비교해 볼 때 반드시 우월하다고도 또는 반드시 보잘 것 없다고도 볼 수 없다. 각각이 서로 장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상징성은 언어의 한계를 극복하고 우주만물의 본질에 한걸음 더 다가갈 수 있는 방법이지만, 반대로 그러한 상황에서 벌어지는 난해함을 문제점으로 가진다. 결국, 위에서 밝혔다시피, 동양의 학문과 서양의 학문은 서로 상호보완 해나가야 하며, 그렇게 되도록 하는 것이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이자 주어진 임무이다.
끝으로, 동양의 학문적 특성인 상징성은 서양의 학문적 특성인 논리성에 비교해 볼 때 반드시 우월하다고도 또는 반드시 보잘 것 없다고도 볼 수 없다. 각각이 서로 장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상징성은 언어의 한계를 극복하고 우주만물의 본질에 한걸음 더 다가갈 수 있는 방법이지만, 반대로 그러한 상황에서 벌어지는 난해함을 문제점으로 가진다. 결국, 위에서 밝혔다시피, 동양의 학문과 서양의 학문은 서로 상호보완 해나가야 하며, 그렇게 되도록 하는 것이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이자 주어진 임무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