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규약
2. 규약 기재 사항
3. 제정과 변경
4. 규약의 해석
2. 규약 기재 사항
3. 제정과 변경
4. 규약의 해석
본문내용
도 이상 기간 동안 조합활동에 참여하여만 조합을 자주적이고 민주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는 자격 요건을 정한 규정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규약 제정 당시에는 전혀 예상하지 못한 보궐 선거를 실시하게 된 때에는, 규약의 규정에 따르면 그 누구도 임원이 될 수 없게 되는데 그런 상황에서도 위 규정의 적용을 적용하여 임원이 없는 상태를 조합과 조합원이 원하여 그러한 규정을 만들었다고 보기 어렵다. 그렇다면, 3년의 규정은 보궐 선거에서는 직접 적용하기에 곤란한 규정이라고 볼 수 없다고 해석해야 한다.
이렇듯, 그 규정의 목적과 취지가 밝혀지지 않는다면 그 해석 근거를 찾아 결론을 내는 것은 무척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규약을 제정하거나 변경할 때에는 그 목적과 취지를 분명히 해두고 문서로 만들어 두어야 한다.
이렇듯, 그 규정의 목적과 취지가 밝혀지지 않는다면 그 해석 근거를 찾아 결론을 내는 것은 무척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규약을 제정하거나 변경할 때에는 그 목적과 취지를 분명히 해두고 문서로 만들어 두어야 한다.
추천자료
계약직 근로자와 노사관계 (한국통신)
법외노조의 법적지위에 대하여 논하라
쟁의행위의 정당성 요건
[비정규직근로][비정규직노동][비정규직]비정규직근로(비정규직노동) 현황, 비정규직근로(비...
노조에 대한 행정관청의 개입
노조대표자의 단체협약체결권
단체협약의 체결 및 체결권의 문제에 대한 노조법상 연구
노조활동에 대한 행정관청의 개입에 대한 법적 검토
산별노조 전반의 이해와 필요성 및 실천 과제
단체교섭 당사자 관련 판례 연구
단체교섭 당사자와 담당자에 대한 검토
산별노조의 운영과 회의 전반 개요
단체교섭의 주체와 관련한 판례 태도 검토
도메인이름의 사이버스쿼팅행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