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 개발 사례『금강산 관광 개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광 개발 사례『금강산 관광 개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금강산 관광 개발 배경

2.금강산 관광 개발 계획
1)자연조건
2)지역현황
3)관광개발여건
(1)관광자원
(2)관광지 접근성
4)개발방법
5)개발의 특징
6)향후 개발 계획

3.금강산 관광개발의 의의와 효과
1) 경제적 의의와 효과
2) 사회 문화적 의의와 효과

4.앞으로의 전망

본문내용

점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됨. 사적으로는 현대그룹이 북한주민 전체에 대해 막대한 마케팅 효과를 거두었고 차후의 북한투자에 대해서도 선점하는 효과를 거둠.
(4) 북한과의 경협사업에 대한 경험축적과 사업확대의 가능성 제고: 금강산 관광사업에는 많은 북한인들이 참여하므로 이들과의 교류 및 공동작업의 경험이 향후의 경제협력에 know-how를 제공하고 실제 북한의 자원을 활용하도록 함. 이러한 경험은 향후의 경제협력의 가능성을 제고할 것임.
2)사회 문화적 의의와 효과
북한 관광이 시행된 지 언 5년이 되었다. 많은 시행착오가 있었지만 남과 북을 하나로 묶는 큰 계기가 되었고 조금이나마 통일을 앞당긴다는 의미의 북한관광은 국민 모두에게 기쁨을 주었다. 또한 북한이 2001년 이후 현재의 중국 및 동구권 수준으로 개방되면 북한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이 급증, 연간 225만~6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이에 따른 관광수입도 1인당 관광소비액을 1081달러로 가정할 때 적게는 24억달러에서 많게는 65억달러에 이르러, 개방이 어느 정도 진전되면 남한 관광수입을 훨씬 초과할 것으로 전망됐다.
그리고 1998년 11월 18일 금강산 관광선이 첫 출항한 이래 지난해까지 15만8628명이 금강산을 관광했다. 1999년에는 금강.봉래.풍악호가 매일 운항하면서 월평균 1만2000여 명이 금강산을 다녀와, 관광편의 시설 등이 확충되면 남한 사람의 금강산 관광은 계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꾸준하게 북한 관광 산업이 성장하고 이익을 낼 수 있는 것은 오염되지 않는 자연환경을 그대로 잘 보존하고 있으며, 모든 것이 질서 정연화 되어있기 때문이다.
4.앞으로의 전망
북한에서는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자금원의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므로 금강산 관광이 위태로워지는 것을 원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관광사업에서 시작하여 남한과의 협력 가능성을 시험할 것으로 보이고 금강산 관광사업이 성공할 경우 다른 산업으로의 확대 가능성이 예상된다.
그러나 북한이 금강산 관광사업을 정치적으로 이용할 경우 북한은 영원히 고립될 위험이 있고, 가장 열심을 가진 현대그룹에서 실패할 경우 북한은 더 이상 적극적인 경협파트너를 전 세계에서 구할 수 없을 것임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일단 양 지역간의 경제적 거래가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되면 정치적인 긴장관계가 유발될 가능성이 줄어들 것이로 보인다.
금강산 관광은 통일에 있어서도 큰 영향을 미치게된다. 서로가 협력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대되면 실질적인 공존체제로 전환될 수 있으므로 남북한간의 관계가 새로운 패러다임에 의해 운영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정치적 통합보다는 실질적 통합의 진행으로 민족공동체 형성에 기여한다.
1) 다양한 관광상품 개발/운영
현재까지는 위와 같은 문제점들 때문에 구룡연, 만물상, 삼일포/해금강, 동석동코스 관광을 하고 평양모란봉 교예단 공연, 금강산 온천장 온천욕, 온정각 쇼핑 및 식음료 등의 서비스를 제한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나, 향후에는 세계 무역업자들의 "상담거래의 장"으로서 현재 중국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임가공 무역을 금강산 현지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개무역소를 설치하여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하여 남북간의 교역의 핵으로서 더욱 발전시킬 것이고, 한편으로는 남북이산 가족의 "만남의 장"으로서, 약 2 백만명의 남북측의 이산가족들을 위해 금강산 현지에 이산가족 면회소를 설치하여 이산가족이 금강산 관광을 가서 북녘의 땅만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헤어진 가족을 상봉 할 수 있도록 하여, 민족의 아픔을 달래주는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북한의 금강산만을 관광하는 상품이 아니고 금강산과 평양, 백두산,묘향산, 칠보산 등 유명관광지를 잇는 연계 상품도 개발하여 본격적인 북한 관광 시대를 열어 세계시장에서 인정받는 상품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이외에도 육상 교통(철도 및 자동차)을 통한 금강산 관광실현, 통천, 총석정 및 내금강 관광코스 개발 등 다양한 관광상품을 계획, 준비하고 있어, 향후에는 좀 더 다양하고, 북측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세계적인 관광상품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2) 시설 개발 계획
2004년까지 2단계에 걸쳐 4억불을 투자하여 호텔, 콘도미니엄, 골프장, 스키장 등의 위락시설을 건설하고 해상호텔, 금강산여관 등을 이용한 현지 숙박의 파생상품을 구성하여 운영할 계획이며, 관광 기념품 생산을 위주로 하는 통천 경공업 단지를 조성하여 특색있는 금강산 관광 기념품을 생산 판매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고, 이외에도 남북 경협 사업인 영농사업은 이미 금강산 현지에서 운영하고 있고, 양돈과 양어 사업도 추진 중에 있어 향후 금강산 관광과 연계하여 현지 방문이 가능하도록 추진하고 있다.
3) 기타
현지의 숙박시설이 확보되는 시점에 맞추어 유람선이 아닌, 수송선을 이용하여 좀 더 많은 관광객이 금강산 관광을 즐길 수 있게 할 것이고, 금강산 지역과 인접한 강원도 설악권과의 연계 관광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역 관광벨트를 구성하고 세계 유수의 관광지와 연계한 관광상품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이와 동시에 외국인을 위한 제반요건을 보완하여, 공격적인 외국인 관광객의 유치로 세계 관광시장에서 한국의 자연과 문화를 널리 알리는 중요한 한국의 관광상품으로 발전시켜,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자유롭게 남북을 동시에 관광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로써 명실상부한 남북 연계 관광이 실현된다면, 이는 세계관광시장에서 한국관광상품의 품질이 획기적으로 향상되어 관광한국 진흥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믿는다.
참고자료
http://www.traple.net/main.php?web=tourgold
http://www.townvill21.com/kumgang_location.htm
http://kref.naver.com/doc.naver?docid=105151
http://community.etourkorea.com/travelnorthkorea/
http://www.hdasan.com/
한국관광공사 http://www.knto.or.kr/
문화관광부 http://www.mct.go.kr/index.jsp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6.10.21
  • 저작시기2005.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80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