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정척사운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위정척사운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위정척사론의 대두
2. 위정척사 운동의 성격
3. 위정척사 운동의 전개
4. 1990년 이전의 연구상황
5. 최근의 연구상황
6. 위정척사 운동의 의의
7. 위정척사 운동의 한계

Ⅲ. 결론

본문내용

한주 이진상의 인물성동이론(인성물성론, 한국사상사연구회, 한길사, 1994) 참조.
왜냐하면 이들의 행동의 根인 사상은 반드시 척사운동과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위정척사운동에 적극성을 보인 인물들은 모두 주리론을 주장하고 있었는데, 주리론을 주장하는 학파는 기존의 주기적인 학문풍토를 주리론으로 바꾸는데 그들의 목표를 두었다. 이들은 당시 사회의 성리학의 기능이 ‘斥邪明理’에 있다고 여겨 천주교 등 모든 학설을 주기로 보아 배척하고 주리론이 주도되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이러한 척사파의 생각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척사운동에 반영되고 있는가가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위정척사운동의 사회경제적 기반에 대한 해명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들의 사회적 처지와 경제적 기반도 아울러 고려될 때 척사운동의 성격에 대한 보다 정확한 규정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제까지 우리는 조선말기 유생들의 의식에 지나치게 집착하여 척사운동을 해명하려고 하였다. 일찍이 이항로와 최익현이 지적한 바와 마찬가지로 척사의 근본동기는 서양과 일본의 문화적 침략과 경제적 침략의 두 측면을 배척하자는 것이었다. 이들은 문화적 침략으로부터 우리의 윤리를 보존하고 저들의 경제적 침략으로부터 우리의 농촌사회를 유지 보존하자는 것이었다. 저들의 경제적 침략이 직접적으로 자신들의 경제적 예속을 부른다고 파악하였기에 이들은 척사운동을 적극 전개하였던 것이다. 여기에 바로 이들의 생활이 의식을 지배하여 척사운동을 전개하게 한 측면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앞으로 이들에 관한 고문서를 발굴하여 연구한다면 척사운동의 이면이 드러나게 될 것이다. 위정척사운동에 대한 연구는 동학이나 의병운동과 개화론연구에 비하여 최근 매우 부진한 실정이다. 개화운동이 동학농민운동이나 의병운동과 대립갈등한데 비해서 척사운동은 동학과 의병운동의 ‘斥倭洋倡義’와 동조하면서 농민의병과 연대가 이루어졌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척사와 동학이 반봉건에 있어서는 엄청난 차이가 있었던 것이지만 척왜양에 공통적인 노선을 견지했다면 앞으로 이들이 19세기 후반기에 운동노선에 있어 갈등과 조화를 어떻게 극복해 나갔는지가 깊이 있게 밝혀져야 할 것이다. 더욱이 위정척사운동과 의병운동과의 관계가 보다 구체적으로 밝혀지고 나아가 독립운동으로 어떻게 연결 또는 단절되고 있는지가 해명되어야 할 것이다. 위정척사사상가 개인이나 한 학파가 끝까지 위정척사사상과 운동을 견지하였는가, 그렇지 않으면 초기에는 위정척사사상에 몸담았다가 동학농민운동과 의병운동 또는 온건개화론이나 애국개몽운동 나아가 독립운동이나 사회주의사상가나 운동에 투신하는 경우 등 다양한 양태로 드러날 수 있을 것이다.그 동안 위정척사운동을 지나치게 긍정적으로만 접근하는 것도 문제였지만 오늘날 UR협상에 직면하여 농민들이 농산물개방에 반대하는 투쟁을 전개하였다 하여 보수 반동적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없듯이 당시 위정척사운동에도 일본과 서양의 문화적경제적 예속을 감지하고 조선의 문화와 농산물을 지키기 위하여 위정척사운동을 전개하였다고 생각한다면 보다 객관적인 해석을 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앞으로 19세기의 각 유림의 사상적사회경제적 기반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나아가 유림이 외세의 침략에 대응하여 시기별로 어떻게 대응하여 나갔는가를 종합적으로 검토한다면 척사운동에 대한 정확한 평가는 가능할 것이다.
<참고문헌>
-인터넷 사이트
한국윤리사상 http://www.poori.net/ethics/
-참고서적
서양과 조선 / 강재언 / 학고재 / 2005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선비 / 정옥자 / 현암사 / 2005
우리 역사의 최전선 / 허동현 / 푸른역사 / 2006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11.24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62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