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객관식151~190
본문내용
풍기도록 설계하였다.
④ 정원을 인공적으로 손질하여 아담하였다.
⑤ 성문과 학교 건축 등이 중심이 되었다.
181. 사대부의 취향에 가장 알맞은 자기는 ?[자양고, 상문고]
① 순수 청자
② 상감 청자
③ 분청 사기
④ 백자
⑤ 청화 백자
182. 조선 초기의 그림에 대한 설명이 바르게 된 것은 ?[경동고, 보성고]
① 서민들의 생활을 주제로 한 풍속화가 성행하였다.
② 이정, 황집중, 어몽룡 등 화원들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③ 안평 대군은 화기(畵記)를 써서 소장품을 소개하였다.
④ 우리 나라의 자연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산수화가 유행하였다.
⑤ 이 시기의 그림은 일본 무로마치 시대의 화단에 큰 영향을 주었다.
183. 조선 시대의 건축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광남고, 현대고]
① 주위 환경과의 조화를 중시하였다.
② 경사진 지대에 층단식 건물을 세웠다.
③ 정원은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살렸다.
④ 규모가 작고 검소하면서도 위엄을 갖추었다.
⑤ 신분에 따라 건물의 규모를 법적으로 제한하였다.
184. 조선 전기에는 불교를 대신하여 유교가 지배 사상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러한 유불의 교체를 잘 보여 주는 건축(양식)은 ?[신목고, 청담고]
① 사원(寺院)
② 서원(書院)
③ 정자(亭子)
④ 개성 남대문
⑤ 해인사 경판고
185. 다음과 같은 학문적 입장을 가진 정치 세력이 가장 중요시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것은 ?[세화고, 강서고]
불우한 산림 처사들의 세계관을 이루었다.
경험적 현실 세계에 관심이 컸다.
당대를 변법 경장기(變法更張期)로 인식하였다.
① 봉건적 신분 제도의 확립
② 전통 문화와 외래 문화의 조화
③ 한국사의 독자적인 전통론의 수립
④ 단군 숭배를 통한 민족 의식의 고취
⑤ 제도적 모순의 시정과 부국 강병의 추진
186. 조선 시대 건축물의 크기를 법적으로 규제한 이유를 2개 고르면 ?[진명여고, 반포고]
① 주위 환경과의 조화 추구
② 인공미와 자연미의 조화
③ 실용성과 예술성의 조화
④ 사회 신분 질서의 유지
⑤ 불필요한 사치의 방지
187. 조선 초기(15세기) 문학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장충여고, 혜화여고]
① 사장을 존중하여 문예 발달
② 사림에 의한 패관 문학 발달
③ 한글의 창제로 시조 문학 발달
④ 문학적 유산을 자주적으로 정리
⑤ 설화 문학이 민족 문학으로 계승
188. 다음 건축물 중에서 건축 시기가 가장 늦은 것은 ?[장충여고, 수도여고]
① 도산 서원
② 서울의 숭례문
③ 창덕궁의 돈화문
④ 개성의 남대문
⑤ 해인사의 장경판고
189. 15세기의 문화, 예술이 16세기로 이어질 때 나타난 변화 내용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선화예고, 덕원예고]
① 미술 : 산수화 유행 → 풍속화 유행
② 자기 : 분청 사기 발달 → 백자 유행
③ 문학 : 가사 문학 유행 → 악장 문학 발달
④ 음악 : 서민 음악 발달 → 궁중 음악 정리
⑤ 건축 : 사원 건축 중심 → 서원 건축 중심
190. 조선 전기 예술의 특징을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서울여고, 경기여고]
① 고려 시대의 전통이 남아 있어 불교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② 지배층의 문화는 퇴조하고, 서민을 주체로 한 문화가 발달하였다.
③ 자기는 세련미를 가졌으나, 목공예나 화각 공예는 다소 뒤떨어졌다.
④ 자연스러운 면보다는 인공적인 면을 강조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⑤ 검소하고 실용적이면서도 문화 능력에 대한 자신이 넘쳐 흘렀다.
151. ③
사초와 실록은 당대가 아닌 후대를 위한 역사 정리 작업이었다.
152. ②
153. ②
154. ④
155. ②
156. ④
의방유취는 의학 서적이고 병장도설은 병법서적이다.
157. ③
성리학은 관학파(훈구파)의 관련됨.
158. ④
159. ⑤
16세기 사림들이 집권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① 15세기
② 조선 후기
③ 농업 생산력의 증가가 이루어졌지만 그 혜택은 소수의 지주에게 국한
④는 이기론의 발달
160. ⑤
15세기에 발달한 여러 가지 과학 기술은 모두 농업 생산력을 증가시켜 민생을 안정시키려는 국가의 의지로 이루어진 것들이다.
161. ①
162. ③
①, ②, ④, ⑤는 사림파에 해당한다. 관학파는 성균관과 집현전 등을 통해서 양성되었으며, 수준 높은 근세 문화를 창조하였다.
163. ⑤
㉢은 14세기, ㉡은 15세기, ㉠은 16세기
164. ④
165. ②
칠정산은 중국와 아라비아 역법을 참고하여 한양을 기준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166. ③
군주는 예약 정치(禮藥政治)의 구현을 위해서는 예학과 음악에 대한 소양을 쌓고, 통치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천문학에 관한 소양을 쌓았다.
167. ④
과학 기술은 관념적 경향에서 벗어나 현실적실용적인 성격을 지닌다.
과학 기술은 관념적 경향에서 벗어나 현실적실용적인 성격을 지닌다.
168. ⑤
[국조오례의]는 국가적 행사와 의례를 종합, 정리한 서적이다.
169. ②
토지 측량 기구는 지도 제작에도 활용되었다.
170. ①
사림은 향촌 자치를 추구하였다. 한당 유학은 훈고학을 말한다. 이색은 온건파 사대부로 조선 개창에 반대하였다. 이언적은 주리파의 선구자이며 김시습서경덕이이는 주기파에 속한다.
171. ②
성리학의 발달 배경
대내적 - 사림 세력의 성장
대외적 - 국제적 평화 지속
172. ①
주리론과 주기론
주리론 - 이언적 → 이황 → 영남 학파 형성, 원리적 문제 중시, 일본 성리학에 영향
주기론 - 서경덕 → 이이 → 기호 학파 형성, 경험적 세계 중시, 실학(북학파)에 영향
173. ②
174. ③
예학은 유교 도덕의 현실적인 형식 논리를 정립한 것이고, 보학은 종족 간의 혈연 관계를 확인하는 데 기여하였다.
175. ③
족보는 사회 변동 속에서 종족의 사회적 위상을 지키려는 양반들에 의해 더욱 성행하였다.
176. ①
177. ③
178. ⑤
179. ③
180. ④
181. ④
182. ⑤
183. ②
184. ②
185. ⑤
186. ④, ⑤
187. ②
188. ①
189. ②
190. ⑤내신문제연구소
④ 정원을 인공적으로 손질하여 아담하였다.
⑤ 성문과 학교 건축 등이 중심이 되었다.
181. 사대부의 취향에 가장 알맞은 자기는 ?[자양고, 상문고]
① 순수 청자
② 상감 청자
③ 분청 사기
④ 백자
⑤ 청화 백자
182. 조선 초기의 그림에 대한 설명이 바르게 된 것은 ?[경동고, 보성고]
① 서민들의 생활을 주제로 한 풍속화가 성행하였다.
② 이정, 황집중, 어몽룡 등 화원들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③ 안평 대군은 화기(畵記)를 써서 소장품을 소개하였다.
④ 우리 나라의 자연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산수화가 유행하였다.
⑤ 이 시기의 그림은 일본 무로마치 시대의 화단에 큰 영향을 주었다.
183. 조선 시대의 건축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광남고, 현대고]
① 주위 환경과의 조화를 중시하였다.
② 경사진 지대에 층단식 건물을 세웠다.
③ 정원은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살렸다.
④ 규모가 작고 검소하면서도 위엄을 갖추었다.
⑤ 신분에 따라 건물의 규모를 법적으로 제한하였다.
184. 조선 전기에는 불교를 대신하여 유교가 지배 사상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러한 유불의 교체를 잘 보여 주는 건축(양식)은 ?[신목고, 청담고]
① 사원(寺院)
② 서원(書院)
③ 정자(亭子)
④ 개성 남대문
⑤ 해인사 경판고
185. 다음과 같은 학문적 입장을 가진 정치 세력이 가장 중요시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것은 ?[세화고, 강서고]
불우한 산림 처사들의 세계관을 이루었다.
경험적 현실 세계에 관심이 컸다.
당대를 변법 경장기(變法更張期)로 인식하였다.
① 봉건적 신분 제도의 확립
② 전통 문화와 외래 문화의 조화
③ 한국사의 독자적인 전통론의 수립
④ 단군 숭배를 통한 민족 의식의 고취
⑤ 제도적 모순의 시정과 부국 강병의 추진
186. 조선 시대 건축물의 크기를 법적으로 규제한 이유를 2개 고르면 ?[진명여고, 반포고]
① 주위 환경과의 조화 추구
② 인공미와 자연미의 조화
③ 실용성과 예술성의 조화
④ 사회 신분 질서의 유지
⑤ 불필요한 사치의 방지
187. 조선 초기(15세기) 문학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장충여고, 혜화여고]
① 사장을 존중하여 문예 발달
② 사림에 의한 패관 문학 발달
③ 한글의 창제로 시조 문학 발달
④ 문학적 유산을 자주적으로 정리
⑤ 설화 문학이 민족 문학으로 계승
188. 다음 건축물 중에서 건축 시기가 가장 늦은 것은 ?[장충여고, 수도여고]
① 도산 서원
② 서울의 숭례문
③ 창덕궁의 돈화문
④ 개성의 남대문
⑤ 해인사의 장경판고
189. 15세기의 문화, 예술이 16세기로 이어질 때 나타난 변화 내용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선화예고, 덕원예고]
① 미술 : 산수화 유행 → 풍속화 유행
② 자기 : 분청 사기 발달 → 백자 유행
③ 문학 : 가사 문학 유행 → 악장 문학 발달
④ 음악 : 서민 음악 발달 → 궁중 음악 정리
⑤ 건축 : 사원 건축 중심 → 서원 건축 중심
190. 조선 전기 예술의 특징을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서울여고, 경기여고]
① 고려 시대의 전통이 남아 있어 불교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② 지배층의 문화는 퇴조하고, 서민을 주체로 한 문화가 발달하였다.
③ 자기는 세련미를 가졌으나, 목공예나 화각 공예는 다소 뒤떨어졌다.
④ 자연스러운 면보다는 인공적인 면을 강조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⑤ 검소하고 실용적이면서도 문화 능력에 대한 자신이 넘쳐 흘렀다.
151. ③
사초와 실록은 당대가 아닌 후대를 위한 역사 정리 작업이었다.
152. ②
153. ②
154. ④
155. ②
156. ④
의방유취는 의학 서적이고 병장도설은 병법서적이다.
157. ③
성리학은 관학파(훈구파)의 관련됨.
158. ④
159. ⑤
16세기 사림들이 집권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① 15세기
② 조선 후기
③ 농업 생산력의 증가가 이루어졌지만 그 혜택은 소수의 지주에게 국한
④는 이기론의 발달
160. ⑤
15세기에 발달한 여러 가지 과학 기술은 모두 농업 생산력을 증가시켜 민생을 안정시키려는 국가의 의지로 이루어진 것들이다.
161. ①
162. ③
①, ②, ④, ⑤는 사림파에 해당한다. 관학파는 성균관과 집현전 등을 통해서 양성되었으며, 수준 높은 근세 문화를 창조하였다.
163. ⑤
㉢은 14세기, ㉡은 15세기, ㉠은 16세기
164. ④
165. ②
칠정산은 중국와 아라비아 역법을 참고하여 한양을 기준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166. ③
군주는 예약 정치(禮藥政治)의 구현을 위해서는 예학과 음악에 대한 소양을 쌓고, 통치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천문학에 관한 소양을 쌓았다.
167. ④
과학 기술은 관념적 경향에서 벗어나 현실적실용적인 성격을 지닌다.
과학 기술은 관념적 경향에서 벗어나 현실적실용적인 성격을 지닌다.
168. ⑤
[국조오례의]는 국가적 행사와 의례를 종합, 정리한 서적이다.
169. ②
토지 측량 기구는 지도 제작에도 활용되었다.
170. ①
사림은 향촌 자치를 추구하였다. 한당 유학은 훈고학을 말한다. 이색은 온건파 사대부로 조선 개창에 반대하였다. 이언적은 주리파의 선구자이며 김시습서경덕이이는 주기파에 속한다.
171. ②
성리학의 발달 배경
대내적 - 사림 세력의 성장
대외적 - 국제적 평화 지속
172. ①
주리론과 주기론
주리론 - 이언적 → 이황 → 영남 학파 형성, 원리적 문제 중시, 일본 성리학에 영향
주기론 - 서경덕 → 이이 → 기호 학파 형성, 경험적 세계 중시, 실학(북학파)에 영향
173. ②
174. ③
예학은 유교 도덕의 현실적인 형식 논리를 정립한 것이고, 보학은 종족 간의 혈연 관계를 확인하는 데 기여하였다.
175. ③
족보는 사회 변동 속에서 종족의 사회적 위상을 지키려는 양반들에 의해 더욱 성행하였다.
176. ①
177. ③
178. ⑤
179. ③
180. ④
181. ④
182. ⑤
183. ②
184. ②
185. ⑤
186. ④, ⑤
187. ②
188. ①
189. ②
190. ⑤내신문제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