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방인재임용확대 정책의 의의
2. 지방인재임용확대 정책의 중요성
3. 참여정부의 지방인재임용확대 정책
- 견습직원(지역인재) 추천채용제
- 지방인재목표할당제
4. 지방인재임용확대 정책의 장점과 단점
5. 현직공무원의 의견
2. 지방인재임용확대 정책의 중요성
3. 참여정부의 지방인재임용확대 정책
- 견습직원(지역인재) 추천채용제
- 지방인재목표할당제
4. 지방인재임용확대 정책의 장점과 단점
5. 현직공무원의 의견
본문내용
것으로 본다. 오히려 개인적으로 고위직이나 기관장이 공채가 아닐 경우 생산성이 나 능률성 저하효과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 피설문자는 행정자치부에 소속의 행정고시 출신의 5급 사무관 신분의 5년차 공무원이다. 그런데 자신의 인적사항이 게재되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그래서 인적사항 은 기재하지 않았다.
설문을 통해 알아본 현직 공무원의 생각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현 정부의 지방인재 채용방안에 대해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면서도 확대시키는데 찬성하느냐는 질문에 ‘현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라는 항목을 선택하였다. 이는 공무원 채용에 있어서 사회적 형평성뿐만이 아니라 생산성과 효율성 측면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장기적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면이 많다고 대답해주었다. 즉 단기적 측면에서 지방인재 채용 확대정책을 시행해서는 안되며 장기적 관점에서 지방의 우수한 인재를 끌어들이는 방안을 선택하여야만 한다. 만약 두 제도 중 확대시켰으면 하는 제도를 묻는 질문에는 ‘지방인재 채용목표제’를 선택하였다. 추천채용제 보다는 공개경쟁제도를 선호한다고 보여진다. 조직 몰입도에 대한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는 ‘워낙 소수이기 때문에 부정적일 것은 없으나, 소외될 가능성이 있다.’고 대답하였다. 현 공무원 사회에 존재하는 그룹화를 무시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예를 들자면 5급 이상 공무원 사회에서의 고시파와 비고시파간의 경쟁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런데 재미있는 대답은 조직몰입도 측면에서 오히려 고위직이나 기관장이 공채 출신이 아닐 경우 조직의 응집도가 떨어진다고 답변해 주었다.
※ 피설문자는 행정자치부에 소속의 행정고시 출신의 5급 사무관 신분의 5년차 공무원이다. 그런데 자신의 인적사항이 게재되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그래서 인적사항 은 기재하지 않았다.
설문을 통해 알아본 현직 공무원의 생각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현 정부의 지방인재 채용방안에 대해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면서도 확대시키는데 찬성하느냐는 질문에 ‘현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라는 항목을 선택하였다. 이는 공무원 채용에 있어서 사회적 형평성뿐만이 아니라 생산성과 효율성 측면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장기적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면이 많다고 대답해주었다. 즉 단기적 측면에서 지방인재 채용 확대정책을 시행해서는 안되며 장기적 관점에서 지방의 우수한 인재를 끌어들이는 방안을 선택하여야만 한다. 만약 두 제도 중 확대시켰으면 하는 제도를 묻는 질문에는 ‘지방인재 채용목표제’를 선택하였다. 추천채용제 보다는 공개경쟁제도를 선호한다고 보여진다. 조직 몰입도에 대한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는 ‘워낙 소수이기 때문에 부정적일 것은 없으나, 소외될 가능성이 있다.’고 대답하였다. 현 공무원 사회에 존재하는 그룹화를 무시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예를 들자면 5급 이상 공무원 사회에서의 고시파와 비고시파간의 경쟁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런데 재미있는 대답은 조직몰입도 측면에서 오히려 고위직이나 기관장이 공채 출신이 아닐 경우 조직의 응집도가 떨어진다고 답변해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