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지도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지도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 절 지도성의 의의

제 2 절 지도성 연구의 제접근

제 3 절 지도성 상황이론

제 4 절 새로운 형태의 지도성 이론

제 5 절 지도성과 권위

본문내용

하들이 성취가능한 목표에 도전할 필요 가 있을 때 적합
참고 : [그림 7-11] 경로-목표이론의 가설적 관계모형
4. 허시와 블랜차드의 지도성 상황론
융통성 있고 적응성 있는 지도자 행동을 강조
문제점 : 상황변수로 구성원의 성숙도만을 다루고 있다
: 구성원의 성숙도를 각기 다른 상황에서 측정하기 어렵다-
1) 지도자의 행동
(1) 과업해동(task behavior)
- 지도자가 집단의 구성원들의 역할을 조직화하고 그 역할들의 범위나 한계를 정하는 정도
(2) 관계성 행동(relationship behavior)
- 자도자 자신과 구성원간의 개인적 관계를 유지하려고 하는 지도자의 행동
2) 상황변수
구성원의 성숙성
- 성숙성 : 높지만 달성 가능한 목표를 설정하는 능력, 기꺼이 책임을 맡거나 책임을 맡을 수 있는 능력 및 개인이나 집단의 교육수준과 경험
3) 지도성 효과성
구성원의 성숙수준에 따라 효과적인 지도성 유형이 결정
참고 : [그림 7-12] 지도성 생활주기 모형
4) 구성원의 성숙수준과 지도성 유형과의 관계
(1) 지시적 지도성(telling leadership) : 의사소통이 일방적
(2) 설득적 지도성(selling leadership) : 구성원들의 심리적 참가를 유도
(3) 참가적 지도성(participating leadership) :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행동 조장
(4) 위양적 지도성(delegating leadership) : 구성원들로 하여금 자신이 자신의 일에는 지도 자가 되는 것을 허용
제 4 절 새로운 형태의 지도성 이론
1. 변혁적 지도성 이론
1) 변혁적 지도성의 의미
변혁적 지도성 : 지도자와 구성원이 서로의 동기유발 수준을 높여주며 보다 원대한 복 표를 달성해야 한다는 의식을 제고 시켜준다.
<표 7-2> 지도성 이론의 발전과정
<표 7-3> 거래적 지도성과 변혁적지도성의 비교
2) 변혁적 지도성의 구성요인
배스(Bass)의 변혁적 지도성 이론
① 카리스마
② 영감
③ 지적 자극
④ 개인적 배려
2. 카리스마적 지도성
1) 카리스마적 지도성의 개념
학교장면에서 교장의 카리스마적 지도성
① 현상유지적인 기존 관행과 체제에 도전하는 변화지향적
② 구성원에게 미래의 비전을 제시해 줄 수 잇는 미래지향적, 혁신적
③ 긴급상황이나 위기상황에서 조직을 안정시킬 수 있는 헌신적이고 발전지향적
④ 초자연적, 초인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어 위기에 대처할 수 있다고 구성원들이 신뢰 하여 수용하는 교장의 지도성
2) 카리스마적 지도성의 특성
(1)지도자의 특성
① 비전
② 이미지와 신뢰형성
③ 개인화된 지도성
(2)구성원의 특성
① 지도자와 비전에 대한 일체화
② 정서적 수준의 고양
③ 지도자에 대한 자율적 복종
④ 기대감의 증대
(3) 상황적 특성
① 위기
② 과업의 상호의존성
3. 수퍼리더십 이론
1) 수퍼리더십(superleadership theory)의 개념
수퍼리더쉽 : 지도자가 구성원들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며 그 결과도 책임지는 자율 적 지도자로 만드는 지도성
2) 맨즈(Manz)와 심즈(Sims Jr.)의 지도자 유형
(1) 강력한 지도자(strong man)
: 합법적, 강제적, 신체적 권력을 기초로 조직내에서 자기중심적으로 행동하는 지도자
(2) 계약지도자(transactor)
: 구성원과 조직의 계약에 의해 조직목표를 성취하기 때문에 구성원의 노력의 대가에 대한 조직의 보상이라는 유인-공헌의 관계를 이끌어나가는 지도성
(3) 비전지도자(visionary)
: 카리스마, 영감, 비전 등을 동원하여 구성원들에게 지도성을 행사
(4) 수퍼지도자(supper leader)
: 구성원들이 스스로 지도성을 발휘하도록 하는 기술
3) 수퍼리더십의 전략
(1)형태중심 전략
① 자기관찰자(self observation)
② 자발적인 목표설정(self set goal)
③ 단서의 관리(management of cues)
④ 연습(rehearsal)
⑤ 자기보상(self reward)
⑥ 자기처벌 및 비판(self-punishment and criticism)
(2) 인지중심 전략
① 과업의 내재적 보상 확립 :
② 내재적 보상에 초점 :
③ 효과적인 사고방식의 확립
제 5 절 지도성과 권위
1. 권위 및 권력의 의의
권력 : 명령을 받아들이게 하는 능력
권위 : 복종의 자발성에 근거하는 심리적인 권력
= 권위의 중요성 - 지배의 근거가 된다
- 지도성과 조정의 배경이 된다
- 의사결정과 명형의 효력의 근거가 된다.
2. 권위 및 권력의 유형
1) 베버(M. Weber)의 분류
① 전통적 권위(traditional authority)
: 신분, 전통 및 관습 등 전통의 신성성에 근거한 권위
② 카리스마적 권위(charismatic authority)
: 어떤 인물이 지니는 초인적 인격성이 신앙에 근거를 두는 권위
③ 합법적 권위(legal authority)
: 규범과 법칙의 우월성에 기초를 둔 공식적인 신념에 근거한 권위
2) 사이먼(H. A. Simon)등의 분류
① 신뢰의 권위(authority of confidence)
② 동일화의 권위(authority of identification)
③ 제재의 권위(authority of sanctions)
④ 정당성의 권위(authority of legitimacy)
3) 에치오니(Etzioni))의 분류
① 행정적 권위(administrative authority)
② 전문적 권위(professional authority)
- 강제적 권위
- 공리적 권위
- 규범적 권위
4) 프렌치(French)와 레이번(Raven)의 권력의 분류
① 보상적 권력(reward power)
② 강제적 권력(coercive power)
③ 합법적 권력(legitimate power)
④ 준거적 권력(referent power)
⑤ 전문적 권력(expert power)
3. 권위와 권력의 기능
권위의 기능
(1) 집단 또는 개인의 책임을 강제하는 기능
(2) 의사결정의 전문화 기능
(3) 조직단위를 조성하는 기능
(4) 의사결정기능의 집중화 기능
(5) 지도성의 강화 기능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12.22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41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