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 근,현대 역사학의 흐름
2. 한국인의 생존능력, 한국인의 얼
3. 한국의 명저 중에서
4. 오늘의 한국학
5. 역사의 교훈
6. 통일을 향하여
2. 한국인의 생존능력, 한국인의 얼
3. 한국의 명저 중에서
4. 오늘의 한국학
5. 역사의 교훈
6. 통일을 향하여
본문내용
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 민족의 가장 큰 소망이라고 할 수 있는 통일, 그 무거운 주제에 대해서 필자는 몇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먼저 그는 통일이 되면 남북한이 어떠한 식으로 역사를 연구해야 할 것인지, 그 사학의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남북한은 그간 오래 떨어져 있으면서 역사학도 이질적으로 바뀌었다. 북한의 역사학은 한마디로 주체사관이고 우리의 역사학은 다양한 입장이 혼재된 가운데 신민족주의가 어느정도의 우위를 점하고 있다. 필자는 사학의 어느정도의 통일을 위해 북한 역사학이 어떻게 흘러왔는지를 먼저 살펴본다. 그러면서 무엇이 문제였고, 어떤 것을 바로잡아야 하는지 어느정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통일에 대해서 몇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즉 무승부와 중용의 통일 철학 등이다. 역사학도 결국 사람을 위한 것이라면, 역사학 역시 한국의 통일문제를 외면할 수는 없을 것이다. 통일은 무엇보다도 시급한 역사적 문제이며, 그를 위해 노력해 가야 하는 것이다.
역사학이란 결국 과거와 현재의 대화이다. 과거를 바라보면서 오늘날의 문제를 해결하는 지혜를 얻는 것이다. 서두에 언급한 중용의 사관을 유지하면서 우리의 문제를 해결할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국사학의 임무라고 했을 때, 이 책은 이러한 임무를 어느정도는 충실히 했다고 할 수 있다. 지금껏 일그러진 우리 역사를 바로잡는 것이 국사학의 화두였다면, 이제 통일과 2000년대를 대비한 새로운 사관의 정립이 국사학의 새로운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을 위해 우리 역사학도들은 한시도 쉬지 말고 힘을 다해야 할 것이다. 그것이 역사가 우리에게 준 과제인 것이다.
먼저 그는 통일이 되면 남북한이 어떠한 식으로 역사를 연구해야 할 것인지, 그 사학의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남북한은 그간 오래 떨어져 있으면서 역사학도 이질적으로 바뀌었다. 북한의 역사학은 한마디로 주체사관이고 우리의 역사학은 다양한 입장이 혼재된 가운데 신민족주의가 어느정도의 우위를 점하고 있다. 필자는 사학의 어느정도의 통일을 위해 북한 역사학이 어떻게 흘러왔는지를 먼저 살펴본다. 그러면서 무엇이 문제였고, 어떤 것을 바로잡아야 하는지 어느정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통일에 대해서 몇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즉 무승부와 중용의 통일 철학 등이다. 역사학도 결국 사람을 위한 것이라면, 역사학 역시 한국의 통일문제를 외면할 수는 없을 것이다. 통일은 무엇보다도 시급한 역사적 문제이며, 그를 위해 노력해 가야 하는 것이다.
역사학이란 결국 과거와 현재의 대화이다. 과거를 바라보면서 오늘날의 문제를 해결하는 지혜를 얻는 것이다. 서두에 언급한 중용의 사관을 유지하면서 우리의 문제를 해결할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국사학의 임무라고 했을 때, 이 책은 이러한 임무를 어느정도는 충실히 했다고 할 수 있다. 지금껏 일그러진 우리 역사를 바로잡는 것이 국사학의 화두였다면, 이제 통일과 2000년대를 대비한 새로운 사관의 정립이 국사학의 새로운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을 위해 우리 역사학도들은 한시도 쉬지 말고 힘을 다해야 할 것이다. 그것이 역사가 우리에게 준 과제인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