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R & D Management의 중요성
Ⅱ. 본 론
1. 국내 대기업간의 R & D Management Process의 분석 및 비교
1) 삼성전자
2) 현대자동차
3) LG생활건강
4) 태평양
5) 한솔제지
2. 외국기업의 R & D Management Process 분석 및 비교
1) 3M
1. R & D Management의 중요성
Ⅱ. 본 론
1. 국내 대기업간의 R & D Management Process의 분석 및 비교
1) 삼성전자
2) 현대자동차
3) LG생활건강
4) 태평양
5) 한솔제지
2. 외국기업의 R & D Management Process 분석 및 비교
1) 3M
본문내용
이러한 점에서 대기업 R&D는 단기기술 연구와 제품 개발 중심으로 진행 되는 중소기업 R&D와 구분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장기연구라 하더라도 시장 과 분리되어 연구실 안에서만 진행되는 것은 옳지 못하다. 아무리 미래를 보 고 투자하는 R&D라고 해도, 수익 창출에 대한 확률과 기대를 도외시하고, 언 제 올 지 모르는 장미빛 미래만 이야기해서는 곤란할 것이다.
ⅱ) 중간 점검의 내실화
효율성이 떨어지는 R&D 과제를 걸러내기 위해서는 R&D 과제가 진행되는 도 중에도 끊임없이 시장성을 검증하는 프로세스가 있어야 한다. 즉, 과제 선정 당 시에 제시되었던 R&D 과제의 시장성과 수익성이 시간이 지나면서 어떻게 변 화하고 있는지에 정기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물론 대부분의
Fig. 1. 상장법인 R&D 지출 현황
대기업은 R&D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 중간 점검 프로세스를 두고 있다. 그러 나 현실적으로 이러한 중간 점검은 계획 대비 진척 정도를 체크하는 일정 관리 나, 혹은 책정된 예산을 적절히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비용 감사 수준을 벗 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R&D 과제에 대한 중간 점검이 비용이나 일정 관 리 수준에 그친다면, 정해진 일정 내에 적정한 비용을 사용하여 R&D 과제를 완료했음에도 불구하고, 막상 이것을 상용화 하는 것에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 할 것이다.
ⅲ) 과감한 R&D 손절매
앞서 Canon의 R&D활동의 정리한 사례를 예로 든 것처럼 과감한 R&D 손절 매가 필요하다. 즉 매출과 수익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적은 과제라면 마치 주 식 투자에서 손절매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과감히 포기하고 수익성과 성공 확률이 놓은 과제에 배분하는 지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나라 R&D의 문제점은 정부 R&D 예산이 빠르게 증가하는 과정에서 중소기업 지원 비중 감소, 기업 R&D와의 중복이 나타난다는 점이다.
우리나라 전체 R&D 투자액 가운데 기업 비중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75%(2004년 기준)를 차지하고 있다. 미국(64%), 독일(67%), 영국(44%), 프랑스(51%) 등에 비해 기업 부문의 R&D 투자 비중이 높은 일본(74%)과 비슷한 수준이다.
국내민간 부분의 상위 20개 기업의 R&D 투자가 전체 기업 R&D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대기업 중심으로 이워지다 보니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R&D 투자의 양극화가 가속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자금력과 기술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선 정부의 역할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정부 R&D 예산 중 중소기업에게 투자되는 비중은 계속 감소하고 있다.
또한 기업들은 중장기적인 관점의 R&D 투자를 완전히 배제하지 않는다 해도 단기적인 성과 창출 부분에 자원을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R&D 투자의 대부분은 이미 시장성이 확인된 성장기 또는 성숙기에 있는 기술/제품 개발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 R&D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미래 유망 분야에 투자하여 미래의 높은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고 기업 경쟁력 또는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미래 준비 차원의 도입기보다는 성장기, 성숙기 부문의 기술 개발에 더 많은 정부 R&D 예산이 투입되고 있다.
결국 기업이 중점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R&D 분야와 중복될 가능성이 있다는데 문제가 있다. 지난 5년간(2001년~2005년) 차세대 성장동력 부문이나 미래 유망 기술(IT, BT, NT, ET, ST, CT)에 투자되고 있는 정부 R&D 가운데 60%~80%가 성장기/성숙기에 해당하는 곳에 사용하고 있다(참조). 도입기의 R&D 투자 비용은 규모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기업들이 감당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도입기의
Fig. 2. 기술수명주기별 차세대 성장동력/미래 유망 기술의 정부 R&D 투자 현황
미래 유망 기술들은 향후 우리 경제를 이끌 주력 산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정부 R&D 투자가 성장기, 성숙기 보다는 도입 단계의 미래 유망 기술 중심으로 바뀌어야 할 필요가 있다.
미래는 눈을 감고 있어도 언젠가는 현실로 실현된다. 현재의 경쟁 구도를 타파할 돌파구를 찾지 못하는 기업이라면 금새 현실로 다가올 미래에 눈을 돌려보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지금 당장 처리해야 하는 문제에 급급해 미래 변화에 신경을 쓰지 못한다면 끝이 없이 쳇바퀴를 돌려야 하는 다람쥐와 같은 신세에서 벗
어날 수 없다.
미래 예측의 필요성을 인식하기 위해서 10년 전으로 돌아가라는 얘기가 있다. 10년 전의 기술 수준과 지금을 비교해보고 기업의 경쟁구도 변화를 떠올리게 되면 앞으로 10년 후의 급격한 변화와 대응의 필요성을 깊이 절감하게 될 것이다.
비즈니스 환경에서 시간 여행은 충분히 가능하다. 남들과 다른 시간대를 사전에공략함으로써 이른바 블루오션을 형성시킬 수 있다. 미래를 바로 눈 앞의 현실로 인식하는 기업만이 미래를 선점하고 지속적인 경쟁 우위를 확보하게 될 것이다.
Ⅳ. Reference
1. 채수훈, (1999), “기업의 지식관리시스템 구현 전략에 관한 사례연구.”,석사학위 논문, 한 국과학기술원
2. 장성근, “R&D 경영의 황금률,” (2002), 도서출판 새로운제안
3. Davenport T. H., and Prusak L., (1998), Working Knowledge, Boston, Messachusetts,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4. Spender J.C. and Grant R.M., (1996), "Knowledge and The Firm."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7, 5-9
5.
http://news.hankooki.com.Ipage/economy/200610/h2006102319382821540.htm
6. http://www.changemanagement.co.kr/bbs/zboard.php?id=qna
7. http://kosef.nextdata.co.kr
8. http://www.seri.org
9. http://www.lgeri.com
ⅱ) 중간 점검의 내실화
효율성이 떨어지는 R&D 과제를 걸러내기 위해서는 R&D 과제가 진행되는 도 중에도 끊임없이 시장성을 검증하는 프로세스가 있어야 한다. 즉, 과제 선정 당 시에 제시되었던 R&D 과제의 시장성과 수익성이 시간이 지나면서 어떻게 변 화하고 있는지에 정기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물론 대부분의
Fig. 1. 상장법인 R&D 지출 현황
대기업은 R&D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 중간 점검 프로세스를 두고 있다. 그러 나 현실적으로 이러한 중간 점검은 계획 대비 진척 정도를 체크하는 일정 관리 나, 혹은 책정된 예산을 적절히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비용 감사 수준을 벗 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R&D 과제에 대한 중간 점검이 비용이나 일정 관 리 수준에 그친다면, 정해진 일정 내에 적정한 비용을 사용하여 R&D 과제를 완료했음에도 불구하고, 막상 이것을 상용화 하는 것에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 할 것이다.
ⅲ) 과감한 R&D 손절매
앞서 Canon의 R&D활동의 정리한 사례를 예로 든 것처럼 과감한 R&D 손절 매가 필요하다. 즉 매출과 수익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적은 과제라면 마치 주 식 투자에서 손절매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과감히 포기하고 수익성과 성공 확률이 놓은 과제에 배분하는 지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나라 R&D의 문제점은 정부 R&D 예산이 빠르게 증가하는 과정에서 중소기업 지원 비중 감소, 기업 R&D와의 중복이 나타난다는 점이다.
우리나라 전체 R&D 투자액 가운데 기업 비중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75%(2004년 기준)를 차지하고 있다. 미국(64%), 독일(67%), 영국(44%), 프랑스(51%) 등에 비해 기업 부문의 R&D 투자 비중이 높은 일본(74%)과 비슷한 수준이다.
국내민간 부분의 상위 20개 기업의 R&D 투자가 전체 기업 R&D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대기업 중심으로 이워지다 보니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R&D 투자의 양극화가 가속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자금력과 기술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선 정부의 역할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정부 R&D 예산 중 중소기업에게 투자되는 비중은 계속 감소하고 있다.
또한 기업들은 중장기적인 관점의 R&D 투자를 완전히 배제하지 않는다 해도 단기적인 성과 창출 부분에 자원을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R&D 투자의 대부분은 이미 시장성이 확인된 성장기 또는 성숙기에 있는 기술/제품 개발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 R&D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미래 유망 분야에 투자하여 미래의 높은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고 기업 경쟁력 또는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미래 준비 차원의 도입기보다는 성장기, 성숙기 부문의 기술 개발에 더 많은 정부 R&D 예산이 투입되고 있다.
결국 기업이 중점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R&D 분야와 중복될 가능성이 있다는데 문제가 있다. 지난 5년간(2001년~2005년) 차세대 성장동력 부문이나 미래 유망 기술(IT, BT, NT, ET, ST, CT)에 투자되고 있는 정부 R&D 가운데 60%~80%가 성장기/성숙기에 해당하는 곳에 사용하고 있다(
Fig. 2. 기술수명주기별 차세대 성장동력/미래 유망 기술의 정부 R&D 투자 현황
미래 유망 기술들은 향후 우리 경제를 이끌 주력 산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정부 R&D 투자가 성장기, 성숙기 보다는 도입 단계의 미래 유망 기술 중심으로 바뀌어야 할 필요가 있다.
미래는 눈을 감고 있어도 언젠가는 현실로 실현된다. 현재의 경쟁 구도를 타파할 돌파구를 찾지 못하는 기업이라면 금새 현실로 다가올 미래에 눈을 돌려보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지금 당장 처리해야 하는 문제에 급급해 미래 변화에 신경을 쓰지 못한다면 끝이 없이 쳇바퀴를 돌려야 하는 다람쥐와 같은 신세에서 벗
어날 수 없다.
미래 예측의 필요성을 인식하기 위해서 10년 전으로 돌아가라는 얘기가 있다. 10년 전의 기술 수준과 지금을 비교해보고 기업의 경쟁구도 변화를 떠올리게 되면 앞으로 10년 후의 급격한 변화와 대응의 필요성을 깊이 절감하게 될 것이다.
비즈니스 환경에서 시간 여행은 충분히 가능하다. 남들과 다른 시간대를 사전에공략함으로써 이른바 블루오션을 형성시킬 수 있다. 미래를 바로 눈 앞의 현실로 인식하는 기업만이 미래를 선점하고 지속적인 경쟁 우위를 확보하게 될 것이다.
Ⅳ. Reference
1. 채수훈, (1999), “기업의 지식관리시스템 구현 전략에 관한 사례연구.”,석사학위 논문, 한 국과학기술원
2. 장성근, “R&D 경영의 황금률,” (2002), 도서출판 새로운제안
3. Davenport T. H., and Prusak L., (1998), Working Knowledge, Boston, Messachusetts,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4. Spender J.C. and Grant R.M., (1996), "Knowledge and The Firm."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7, 5-9
5.
http://news.hankooki.com.Ipage/economy/200610/h2006102319382821540.htm
6. http://www.changemanagement.co.kr/bbs/zboard.php?id=qna
7. http://kosef.nextdata.co.kr
8. http://www.seri.org
9. http://www.lgeri.com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보험 관리체계 연구
성과관리체제 연구
도시행정 관리체계 연구
인적자원관리와 직무연구(직무분석,직무평가)
인사조직관리 사례연구-게임업체
SK의 인사관리 특징, 관행, 문제점 및 사례연구 / 비교연구
사례관리의 사례연구
호남석유화학의 변화관리 사례연구
국제 인적자원관리 연구
연구개발인력의 관리
[결핵, 감염검사, 면역, 동물결핵, 재발방지연구]결핵의 의미, 결핵의 감염검사, 결핵과 면역...
[PR][홍보][PR 정의][PR 선행연구][PR 마케팅]PR(홍보)의 정의, PR(홍보)의 선행연구, PR(홍...
사회복지 실천 중에서 실제 사례관리를 적용하여 실습해본 후 본인이 연구한 내용을 기술.(사...
★ 호스피탈리티 재무관리 (호텔 재무관리) - 호텔Brand Equity의 결정요인과 구매자의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