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자신의 교육학적 관점을 우리에게 설득력 있게 주장한 것 같았다.제 책을 읽으면서 몇몇 수긍할 만한 부분이 많이 있었지만 의학이 인류에게 치면적인 해가 된다는 점을 주장하는 부분등에 있어서는 고개를 갸우뚱 하게 만들기도 했다.
내가 느낀점을 하나더 이야기 하자면 아이들을 처벌하는 방법에 루소는 내가 생각하기에 지나치다 할 정도로 아이를 엄격하게 다루는 것 같았다. 성질이 사나운 아이를 대하는 루소의 방법을 생각했을 때 지금과는 전혀 다른 방법으로 아이를 대했다. 현대 아이들은 집에서 너무나 소중한 존재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약간꾸지람에도 눈물을 보이곤 하기 때문에 에밀을 보면서 아이를 대하는 방법에 한번 더 생각하게 되었다.
하지만 나는 루소의 에밀을 읽으면서 나의 교사관 또는 나의 미래의 부모상에 대해 생각 할 수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던 것 같다. 적당히 아이들을 밀어주어야 할 때 밀어주고 그리고 호된 꾸지람이 필요할때는 호되게 꾸짖을 수 있는 그런 교사가 되어야겠다고 생각하였다. 나는 루소의 에밀이 비판을 왜 받는지 몰랐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왜 루소가의 에밀이 비판을 받는지 알 수 있었다.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었는데 몇 가지 적어보자면, 첫째 이유는 루소의 교육론은 자연적인 성장에 맡긴다는 것이다. 일정한 방향을 제시하지 않고 개인을 방치해둔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는 것 같다. 또한 교육에 있어서 사회의 영향을 배제하고 있음을 책을 통해 알 수 있다. 두 번째 이유로는 아동모델이 상류계급의 자제를 위한 귀족의 자제를 모델로 하고 하급계급의 아동이나 장애아동들의 교육에 대해 관심을 갖지 못했다는 점이다.
에밀을 읽으면 항상 아동 이야기는 하급계급의 아동이나 장애아동의 이야기는 전혀 나오지 않고 상류계급의 아동을 모델로 이야기하는 것을 나는 느낄 수 있었다. 세 번째 이유는 제1부에 보면 학교교육에 대해 비판적인이야기가 나오는데 루소는 훌륭한 교육이 왜 중요하며 당대의 학교교육이 어떻게 나빠 비판했는지 구체적으로 밝히 지 않았음을 나는 알 수 있었다. 네 번째 이유로는 루소의 에밀은 개인적 전체적 경험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와 좁은 의미의 교육을 밝히지 않았다는 것이다. 루소의 교육론이 일반론에 머물고 있을 뿐 구체적인 측면에 대해서는 심도 있는 논의를 전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마지막으로 제5부에서 내가 말했던 성차별 지적을 들 수 있다. 루소는 남녀의 차이를 당시의 사회 문화적 상황에 근거하여 과학적으로 분석하지 못하고 자신의 개인적 경험을 근거로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결국 양자 간의 차이를 시대와 사회에 따라서 그리고 교육의 양과 질에 의해서 변화될 수 있는 가변적인 속성을 파악하지 못하고 불변의 특징으로 고정화 시켜버렸다. 나는 요번 이 루소의 에밀이라는 책을 읽으며 많은 것을 느끼고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되었다. 만약이 과제가 아니었으면 나는 에밀을 읽어볼 엄두도 안냈을 것이다. 읽느냐고 너무 힘들었지만 이러한 과제를 내주셔서 한번 더 나의 교육관을 정비하게 해주신 교수님께 감사드린다.
내가 느낀점을 하나더 이야기 하자면 아이들을 처벌하는 방법에 루소는 내가 생각하기에 지나치다 할 정도로 아이를 엄격하게 다루는 것 같았다. 성질이 사나운 아이를 대하는 루소의 방법을 생각했을 때 지금과는 전혀 다른 방법으로 아이를 대했다. 현대 아이들은 집에서 너무나 소중한 존재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약간꾸지람에도 눈물을 보이곤 하기 때문에 에밀을 보면서 아이를 대하는 방법에 한번 더 생각하게 되었다.
하지만 나는 루소의 에밀을 읽으면서 나의 교사관 또는 나의 미래의 부모상에 대해 생각 할 수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던 것 같다. 적당히 아이들을 밀어주어야 할 때 밀어주고 그리고 호된 꾸지람이 필요할때는 호되게 꾸짖을 수 있는 그런 교사가 되어야겠다고 생각하였다. 나는 루소의 에밀이 비판을 왜 받는지 몰랐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왜 루소가의 에밀이 비판을 받는지 알 수 있었다.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었는데 몇 가지 적어보자면, 첫째 이유는 루소의 교육론은 자연적인 성장에 맡긴다는 것이다. 일정한 방향을 제시하지 않고 개인을 방치해둔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는 것 같다. 또한 교육에 있어서 사회의 영향을 배제하고 있음을 책을 통해 알 수 있다. 두 번째 이유로는 아동모델이 상류계급의 자제를 위한 귀족의 자제를 모델로 하고 하급계급의 아동이나 장애아동들의 교육에 대해 관심을 갖지 못했다는 점이다.
에밀을 읽으면 항상 아동 이야기는 하급계급의 아동이나 장애아동의 이야기는 전혀 나오지 않고 상류계급의 아동을 모델로 이야기하는 것을 나는 느낄 수 있었다. 세 번째 이유는 제1부에 보면 학교교육에 대해 비판적인이야기가 나오는데 루소는 훌륭한 교육이 왜 중요하며 당대의 학교교육이 어떻게 나빠 비판했는지 구체적으로 밝히 지 않았음을 나는 알 수 있었다. 네 번째 이유로는 루소의 에밀은 개인적 전체적 경험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와 좁은 의미의 교육을 밝히지 않았다는 것이다. 루소의 교육론이 일반론에 머물고 있을 뿐 구체적인 측면에 대해서는 심도 있는 논의를 전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마지막으로 제5부에서 내가 말했던 성차별 지적을 들 수 있다. 루소는 남녀의 차이를 당시의 사회 문화적 상황에 근거하여 과학적으로 분석하지 못하고 자신의 개인적 경험을 근거로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결국 양자 간의 차이를 시대와 사회에 따라서 그리고 교육의 양과 질에 의해서 변화될 수 있는 가변적인 속성을 파악하지 못하고 불변의 특징으로 고정화 시켜버렸다. 나는 요번 이 루소의 에밀이라는 책을 읽으며 많은 것을 느끼고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되었다. 만약이 과제가 아니었으면 나는 에밀을 읽어볼 엄두도 안냈을 것이다. 읽느냐고 너무 힘들었지만 이러한 과제를 내주셔서 한번 더 나의 교육관을 정비하게 해주신 교수님께 감사드린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