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지 발달의 기본과정...1
1) 도식...1
2) 동화...1
3) 조절...1
4) 평형...1
2. 감각운동기...1
1) 감각운동기 하위단계...1
2) 대상개념발달...2
3. 전조작기...2
1) 그림...2
2) 언어...3
3) 자아중심성...3
4. 구체적 조작기...3
1) 보존개념...3
2) 분류조작...3
3) 서열조작...3
5. 형식적 조작기...4
6. 활동의 개념과 그 교육적 적용...4
1) 피아제 이론에서의 활동의 개념...4
2) 내재적 활동의 기제_ 반성적 추상...4
3) 교육적 적용면에서..4
7. piaget와 Vygotsky의 비교...5
1) 활동의 개념에서...5
2) 이론적 측면...5
3) 교육적 적용면...5
* 참고 문헌...6
1) 도식...1
2) 동화...1
3) 조절...1
4) 평형...1
2. 감각운동기...1
1) 감각운동기 하위단계...1
2) 대상개념발달...2
3. 전조작기...2
1) 그림...2
2) 언어...3
3) 자아중심성...3
4. 구체적 조작기...3
1) 보존개념...3
2) 분류조작...3
3) 서열조작...3
5. 형식적 조작기...4
6. 활동의 개념과 그 교육적 적용...4
1) 피아제 이론에서의 활동의 개념...4
2) 내재적 활동의 기제_ 반성적 추상...4
3) 교육적 적용면에서..4
7. piaget와 Vygotsky의 비교...5
1) 활동의 개념에서...5
2) 이론적 측면...5
3) 교육적 적용면...5
* 참고 문헌...6
본문내용
이며 정신적인 활동으로 구분하고 있다. 실제 지식획득의 기제로서의 중요성은 내재적인 의미적 활동에 있음을 강조한다.
(2) 피아제는 가역성의 논리적 법칙에 근거를 둔 사고의 조작적 특징을 강조하고 비고스키는 언어, 상징의 매개적 기호의 사용 기능을 강조했다.
(3) 피아제는 내재적 활동이 일어나는 양상으로서, 지식 획득의 주체인 아동과 대상간의 심리적 차원에서의 상호작용을 중시하는데 비고스키는 개인과 개인 간의 사회적 차원에서의 상호작용을 내재적 활동이 일어나는 주요 양상으로 간주한다.
(4) 피아제는 아동의 지식획득은 아동과 대상간의 심리적 상호작용으로서의 내적 활동으로 통하여 아동 스스로 구성해 가는 과정으로 설명하는데 반해, 비고스키는 이미 획득한 선험자로서의 성인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아동이 내적으로 재구성한다고 설명한다.
(5) 피아제는 반성적 추상, 비고스키는 내면화 과정이 내적 활동의 주요 기제가 된다.
2) 이론적 측면
(1) 피아제와 비고스키 두 이론 다 아동의 활동을 외적인 경험보다는 내재적인 정신활동에 중요성을 두고 있다.
(2) 피아제이론에서 아동의 활동은 아동과 대상간의 심리적 차원에서의 상호작용이 기초가 되지만 비고스키이론에서는 아동과 성인간의 사회적 차원에서의 상호작용이 기초가 된다.
(3) 내재적 활동의 특성에서 피아제는 반성적 추상을 통한 조작적 구조의 구성과정이 중심이 되지만 비고스키는 기존지식이 기호적 기능에 의해 매개되는 고등정신작용으로 내면화되는 과정이 중심이 된다.
3) 교육적 적용면
(1) 두 이론 모두 학습자로서의 아동의 적극적이며 구성적인 역할을 인정하나, 피아제 이론에서의 학습자는 학습활동을 계획, 통제하는 주관자로서의 역할을 지니는 반면, 비고스키의 이론은 성인에 비해 한정적이며 수동적이다.
(2) 피아제와 비고스키의 관점에서 학습자료와 교사의 역할의 중요성이 상반된다.
(3) 성인의 활동이 아동활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피아제 이론에서는 무시되나 비고스키 이론에서는 매우 중시되고 있다.
* 참고문헌
ㆍ발달 심리학. 송명자. 학지사 (2005) - 89~91P, 95~102P, 104~106P, 125~130P
ㆍ‘삐아제’의 인지적정의적 발달. Barry J. Wordsworth. 중앙적성출판사 (1998)
- 29~36P, 122~125P, 233~235P
ㆍ인간 발달 연구. 송명자. 학지사 (2001) - 39~41P, 43~47P, 50~57P
(2) 피아제는 가역성의 논리적 법칙에 근거를 둔 사고의 조작적 특징을 강조하고 비고스키는 언어, 상징의 매개적 기호의 사용 기능을 강조했다.
(3) 피아제는 내재적 활동이 일어나는 양상으로서, 지식 획득의 주체인 아동과 대상간의 심리적 차원에서의 상호작용을 중시하는데 비고스키는 개인과 개인 간의 사회적 차원에서의 상호작용을 내재적 활동이 일어나는 주요 양상으로 간주한다.
(4) 피아제는 아동의 지식획득은 아동과 대상간의 심리적 상호작용으로서의 내적 활동으로 통하여 아동 스스로 구성해 가는 과정으로 설명하는데 반해, 비고스키는 이미 획득한 선험자로서의 성인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아동이 내적으로 재구성한다고 설명한다.
(5) 피아제는 반성적 추상, 비고스키는 내면화 과정이 내적 활동의 주요 기제가 된다.
2) 이론적 측면
(1) 피아제와 비고스키 두 이론 다 아동의 활동을 외적인 경험보다는 내재적인 정신활동에 중요성을 두고 있다.
(2) 피아제이론에서 아동의 활동은 아동과 대상간의 심리적 차원에서의 상호작용이 기초가 되지만 비고스키이론에서는 아동과 성인간의 사회적 차원에서의 상호작용이 기초가 된다.
(3) 내재적 활동의 특성에서 피아제는 반성적 추상을 통한 조작적 구조의 구성과정이 중심이 되지만 비고스키는 기존지식이 기호적 기능에 의해 매개되는 고등정신작용으로 내면화되는 과정이 중심이 된다.
3) 교육적 적용면
(1) 두 이론 모두 학습자로서의 아동의 적극적이며 구성적인 역할을 인정하나, 피아제 이론에서의 학습자는 학습활동을 계획, 통제하는 주관자로서의 역할을 지니는 반면, 비고스키의 이론은 성인에 비해 한정적이며 수동적이다.
(2) 피아제와 비고스키의 관점에서 학습자료와 교사의 역할의 중요성이 상반된다.
(3) 성인의 활동이 아동활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피아제 이론에서는 무시되나 비고스키 이론에서는 매우 중시되고 있다.
* 참고문헌
ㆍ발달 심리학. 송명자. 학지사 (2005) - 89~91P, 95~102P, 104~106P, 125~130P
ㆍ‘삐아제’의 인지적정의적 발달. Barry J. Wordsworth. 중앙적성출판사 (1998)
- 29~36P, 122~125P, 233~235P
ㆍ인간 발달 연구. 송명자. 학지사 (2001) - 39~41P, 43~47P, 50~57P
키워드
추천자료
피아제와 비고츠키 이론의 비교분석
[아동발달]피아제(Piaget)이론과 아동의 교육적 시사점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이론에 대한 비교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이론 비교분석
[아동발달론] 피아제 이론과 비고츠키 이론의 비교
피아제와 비고츠키 이론에 대한 비교
피아제와 비고츠키 이론에 대한 비교
아동발달A)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에 대한 비교(A+완성)
아동발달A+완성)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의 비교논의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 이론 비교분석
피아제와 비고츠키 이론 비교
[아동발달]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 이론을 비교하여 설명한 후 공통점과 차이점 및 시...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이론을 비교하고 그 차이점에 대하여 논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