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비가 많고 번거롭기 때문에 반찬의 가지수보다 영양면에 치중하여 보통식사 때는 3첩 정도로 하거나 일품요리로 한다.부식을 한 그릇에 담아 공동으로 먹지않고 개인용 접시, 음식을 더는 수저, 필요한 그릇 등을 이용하면 음식을 버리는 일이 없고 위생적이어서 좋다. 또한 외상 및 겸상보다는 온가족이 한자리에 함께 식사할 수 있는 두레상(두리반)을 이용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전통음식의 브랜드화
유아교육계획안 우리나라 전통음식
우리나라 전통음식
[중국요리][중국음식][중국][요리][음식]중국요리(중국음식)의 특징 고찰(중국요리(중국음식)...
전통음식 김치 학습지도안
[스위스][전통복장][정부형태][정치][경제][노후보장][전통음식 퐁듀][언어]스위스의 전통복...
일본의 전통음식, 전통요리 및 지역별 음식의 특징, 향토요리, 대중요리, 퓨전요리
일본의 전통음식(역사, 분류, 종류, 특징)
영국의 음식문화, 지역별 전통음식,기념일 음식
칵테일과 술문화 - 한국전통의 술 문화를 계승 발전시켜 개인의 인격과 국가의 품격을 제고할...
일본전통문화 - 가부키 , 분라쿠, 전통음식, 기모노, 유카타
아동영양학-전통음식의 특징과 장점을 쓰시오
일본 긴키지방의 전통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