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업 멘토링(Mentoring) 프로그램
멘토링(Mentoring)의 유래
사회에서 멘토링의 필요성
오늘날 기업
21c 멘토링의 필요성에 관한 평가
멘토링의 효과
멘토링이 성공하기 위해 갖추어야할 조건
멘토링(Mentoring)의 유래
사회에서 멘토링의 필요성
오늘날 기업
21c 멘토링의 필요성에 관한 평가
멘토링의 효과
멘토링이 성공하기 위해 갖추어야할 조건
본문내용
파악할 수 있는 통찰력을 말한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멘토의 멘티에 대한 헌신이다. 좋은 멘토가 되기 위해서는 노력해야 한다. 먼저 자신의 멘티를 사랑하고, 조심스럽게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끔씩 사랑한다고 말하거나 아니면 카드에 그런 글을 써 보내는 것도 좋다. 또한 좋은 멘토는 격려하는 사람, 확신하는 사람, 인정해 주는 사람, 즐겁게 해 주는 사람이 돼야 한다. 당신이 멘티를 믿고 있다는 사실을 그들이 깨달을 수 있게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런 사실을 알면 그의 삶이 바뀔 수 있다. 그리고 솔직해야 한다. 멘티에게 당신의 성공뿐 아니라 실패도 말해야 한다. 그 이유는 현실적인 안목을 심어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멘토로서 멘티가 나아지도록 돕는 것이 최우선이라는 동기를 항상 점검해야한다. 자신의 목적이나 명예를 위해 이용하면 안 된다. 그리고 긴장을 풀고 편안한 마음으로 그들을 대해야 한다. 멘토는 그들을 사랑하고, 도전과제를 주고, 지도하고, 확신을 주고, 그들이 우리의 ‘평생친구’라는 자부심을 지닐 정도로 그들을 절친한 친구로 삼아야 한다는 사실을 기억해 두자.
훌륭한 멘토를 만드는 것은 역시 훌륭한 멘티
좋은 멘토를 두기 위해서는 멘티의 자세도 중요하다. 우선 멘토와 멘티는 서로 믿음과 신뢰를 바탕으로 관계를 맺어야 한다. 단순한 지식을 전달하는 관계가 아니라 인생 전반에 걸쳐 배움을 주고받는 관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멘티는 멘토의 전문지식을 칭찬하고, 자신의 일을 평가해 달라고 해야 한다. 또한 멘토가 한 일에 반응하고 공석에서 그를 높여 주고, 자기 문제를 해결해 달라고 부탁하는 등 적극적인 태도를 보여 주어야 한다. 이 밖에도 적절한 때를 기다릴 것, 그를 위해 기도할 것 등 좋은 멘토를 모시기 위한 방법을 찾아 익혀야 한다. 멘티에게 배우려는 자세, 겸손한 태도, 윗사람을 공경하는 사고는 더욱 중요하다. 자세가 제대로 된 멘티라면 어떠한 사람이라도 자신의 노하우를 하나라도 더 전수해 주고 싶어할 것이다.
● 멘티와 멘토가 동시 만족할 수 있어야 한다.
-2001년부터 멘토링을 도입한 시스템통합(SI)업체인 포스데이타는 10%가 넘던 퇴직률을 1.8%까지 낮췄다. 포스데이타의 멘토링은 멘토가 멘티의 스폰서 역할을 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신입사원 발령과 동시에 임명된 멘토는 업무는 물론 이성문제, 인생상담에 이르기까지 일대일로 밀착 지도한다. 멘토는 멘토링운영위원회에서 선발하며, 3년 이상의 회사 경력을 가져야 자격이 주어진다.
-지난해 7월 도입한 삼성테크윈은 14%(2002년)의 이직률이 6.3%(2003년)으로 뚝 떨어졌다. 멘토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전체의 70% 이상이 ‘긍정적’이라며 멘토링제도를 지지했다.
위의 결과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멘터링 제도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멘토와 멘티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제도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회사에서는 멘토에게 책임만을 안겨주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보상제도를 통하여 적절한 보상을 하여야 할 것이며 멘토와 멘티가 스스로 해결 할 수 없는 문제들을 해결 할 수 있게 도와주기 위한 TFT(TaskForce Team)를 구성하여 1-2명 정도는 멘토링 전문요원으로 양성해서 멘토링 적용 방법부터 활동에 이르는 과정을 관리하고 모니터링을 해야 할 것이다. 이렇듯 멘터링이 도입되어 성공적인 제도로서 안착되기까지는 많은 노력들이 필요하다. 이것은 비단 경영진만의 노력이 아니라 신입사원부터 최고경영자까지 모두의 노력이 합쳐져야만 가능한 것이다. 조직에서 필요로 하는 제도인만큼 구성원 모두가 멘터링에 대한 제반적 지식을 갖추고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마인드로서 참여해야 할 것이다.
훌륭한 멘토를 만드는 것은 역시 훌륭한 멘티
좋은 멘토를 두기 위해서는 멘티의 자세도 중요하다. 우선 멘토와 멘티는 서로 믿음과 신뢰를 바탕으로 관계를 맺어야 한다. 단순한 지식을 전달하는 관계가 아니라 인생 전반에 걸쳐 배움을 주고받는 관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멘티는 멘토의 전문지식을 칭찬하고, 자신의 일을 평가해 달라고 해야 한다. 또한 멘토가 한 일에 반응하고 공석에서 그를 높여 주고, 자기 문제를 해결해 달라고 부탁하는 등 적극적인 태도를 보여 주어야 한다. 이 밖에도 적절한 때를 기다릴 것, 그를 위해 기도할 것 등 좋은 멘토를 모시기 위한 방법을 찾아 익혀야 한다. 멘티에게 배우려는 자세, 겸손한 태도, 윗사람을 공경하는 사고는 더욱 중요하다. 자세가 제대로 된 멘티라면 어떠한 사람이라도 자신의 노하우를 하나라도 더 전수해 주고 싶어할 것이다.
● 멘티와 멘토가 동시 만족할 수 있어야 한다.
-2001년부터 멘토링을 도입한 시스템통합(SI)업체인 포스데이타는 10%가 넘던 퇴직률을 1.8%까지 낮췄다. 포스데이타의 멘토링은 멘토가 멘티의 스폰서 역할을 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신입사원 발령과 동시에 임명된 멘토는 업무는 물론 이성문제, 인생상담에 이르기까지 일대일로 밀착 지도한다. 멘토는 멘토링운영위원회에서 선발하며, 3년 이상의 회사 경력을 가져야 자격이 주어진다.
-지난해 7월 도입한 삼성테크윈은 14%(2002년)의 이직률이 6.3%(2003년)으로 뚝 떨어졌다. 멘토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전체의 70% 이상이 ‘긍정적’이라며 멘토링제도를 지지했다.
위의 결과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멘터링 제도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멘토와 멘티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제도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회사에서는 멘토에게 책임만을 안겨주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보상제도를 통하여 적절한 보상을 하여야 할 것이며 멘토와 멘티가 스스로 해결 할 수 없는 문제들을 해결 할 수 있게 도와주기 위한 TFT(TaskForce Team)를 구성하여 1-2명 정도는 멘토링 전문요원으로 양성해서 멘토링 적용 방법부터 활동에 이르는 과정을 관리하고 모니터링을 해야 할 것이다. 이렇듯 멘터링이 도입되어 성공적인 제도로서 안착되기까지는 많은 노력들이 필요하다. 이것은 비단 경영진만의 노력이 아니라 신입사원부터 최고경영자까지 모두의 노력이 합쳐져야만 가능한 것이다. 조직에서 필요로 하는 제도인만큼 구성원 모두가 멘터링에 대한 제반적 지식을 갖추고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마인드로서 참여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싱가포르 경제성장주역 EDB와 투자유치전문가 양성과정
[교육마케팅]디자인 전문가 양성 사업 기획안
[교육마케팅]DMB 방송 인재아카데미 기획안
성과 창출형 R&D 인력 양성 방안
일본전산 이야기를 읽고나서 - 변화하는 인재개발의 패러다임
교육프로그램 평가계획안_A보험회사 법인전문가 양성과정을 중심으로
[인적자원관리] 에이텍보고서 - 에이텍(ATEC)의 HRM (사업분야, 비전, 평가·보상 체계인재 육...
인재경영의 배경과 국내 사례, 인재경영전략
포스코 경영 사례, 보상제도(내재적, 인재적), 시스템, 임금, 후생, 조직 문화
두바이 셰이크 모하메드 리더쉽, 소개, 리더의 필수요소, 비전, 영향력, 선택, 실행, 인재, ...
잭 웰치 리더쉽, 소개, 리더의 필수요소, 비전, 영향력, 선택, 실행, 인재, 제도, 문화, 풍토...
[사고와표현] 세종대왕이 융복합적 인재인 것에 대해서 : 될성부른 나무는 떡잎부터 알아 본...
LG화학과 GE비교 (엘지화학 핵심인재)
GE 인사교육 과 후계자 양성 프로그램 The Marking of a C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