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테일러 게토의 ‘바보 만들기’ 독후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저자의 문제의식
2) 나의 견해
- 한국의 교육현실, 이상적 교육사회

3. 결론

본문내용

.
또한 그가 외치는 대로 누구에게나 교육의 권리를 주고, 교육이 자유경쟁의 원리에 따라야 한다는 입장은 보다 깊이 생각해볼 수 있다. 이것은 그 당시 일어난 ‘수정자유주의’이념의 등장과 맥락을 함께한 것이다. 신자유주의가 일어나기까지는 1774년 아담스미스의 국부론에서 처음 언급된 ‘자유주의’ 이후 등장한 대공항과 불평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정자본주의’가 있었고, 오일쇼크로 나타난 정부실패를 해결하고자 다시 작지만 강한 정부를 강조하는 ‘신자유주의’가 일어나게 되었다.
들어간다면, 경제력이 있는 가정의 아이들은 보다 질 좋은 교육을 받게 되고, 그렇지 않은 가정의 아이들은 보장도 되지 않은 교사로부터 교육을 받게 되어 문화적 재생산은 더욱 심각해지게 될 것이다.
그가 모든 사회적 문제의 원인을 학교 교육에 두고 있는 것 역시 학교에 모든 책임을 떠넘기는 듯하다.
3. 결론
교사들의 일곱 가지 죄에 대한 글을 읽는 동안 나의 머릿속은 멍해졌다. 지금까지 내가 신뢰하고, (이 저자의 관점에서 말하자면) 복종해왔던 학교제도 자체가 불합리하며 비상식적인 것들로 가득 차 있는 미치광이 원리로 돌아가는 것이었다는 것을 도저히 인정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교사를 준비하고 있는 나에게 ‘철밥통이 되어버린 교사의 직업’을 선택한 것이 순수한 의미에서 아이들을 가르치기 위한 것일까? 라고 스스로에게 던진 질문에 자신 있게 대답할 수 없는 것이 너무도 부끄러웠고, 단지 교사를 위한 학교, 교사라는 직업의 존속을 위해 존재하는 학교에서 일곱 가지의 죄를 지을 준비를 하고 있다는 것에 엄청난 회의감이 밀려들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12.13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20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