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자
1) 한자의 개념
2) 한자의 특징과 구조
2. 한자의 발전과 한계
1) 한자의 기원과 발생
2) 한자의 발전
3) 한자의 전파
4) 한자의 한계
5) 문자개혁
Ⅲ. 결론
Ⅳ. 참고자료
Ⅱ. 본론
1. 한자
1) 한자의 개념
2) 한자의 특징과 구조
2. 한자의 발전과 한계
1) 한자의 기원과 발생
2) 한자의 발전
3) 한자의 전파
4) 한자의 한계
5) 문자개혁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걸릴 수밖에 없다.
5) 문자개혁
중국인들은 그들의 문자를 개혁하려는 노력을 해왔다. 1892년 노공장의 《중국제일쾌절음신자(中國第一快切音新字)》, 1900년 왕조(王照)의 《관활합성자모(官活合成字母)》, 1907년 노내선(勞乃宣)의 《간자전보(簡字全譜)》 등과 같이 정자(正字)를 간략화하여 표기하려는 시도가 계속되었다. 1935년 8월 중국의 국민정부는 약자 324자를 정식으로 승인하였는데, 이것은 종전부터 민간에 널리 쓰이던 1200자 중에서 제 1 회분으로 선정한 것이다.
제 2 차 세계대전 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수립되고 나서 52년 6월에 <상용자> 2000자가 정부에서 발표되어 학습의 기준이 되었고, 뒤이어 정부 직속의 중국문자개혁위원회에 의해 이 상용자에 대한 약자표(略字表;簡化表)가 만들어져서 55년 1월 <한자간화방안초안(漢字簡化方案草案)>이 발표되었다. 중국에서는 약자를 간자(簡字) 또는 간체자(簡體字)라고 하는데, 이 초안에는 798자의 <간화한자>와 폐지하려고 한 이체자(異體字) 400자, 붓으로 쓸 때 간략화하려 한 변(邊)과 방(旁)에 해당하는 251자가 들어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많은 비판이 따르자 56년 1월 수정안을 공표하였고 이것이 현재 사용되는 <한자간화방안>이다. 이것은 한자의 복잡한 획수를 간략화하여 쓰기에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64년에는 간화변방(簡化邊旁)의 사용범위에 관한 규정이 발표되었고 아울러 간화자 2252자가 수록된 《간화자총표(簡化字總表)》가 출간되었다.
Ⅲ. 결론
한자는 중국 자국의 문화형성과 더불어 아시아의 많은 나라에 문명을 전파하는 역할을 하고, 문자생활을 가능하게 하여 인류의 문명을 발전시켜오는데 큰 역할을 해온 전통을 가진 가치 있는 문자임은 분명하다. 이처럼 한자가 미친 영향은 결코 무시할 수 없으며, 이 문자는 역사와 함께 발전을 거듭해왔다. 따라서 이것에 집착하는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생각해 보자. 우리는 한복이 아름다운 줄 알지만 실생활에 있어서 번거롭고 불편하기 때문에 기성복을 입고 생활한다. 그렇다고 한복에 대한 가치를 잊었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문화의 가치와 소중함은 기억하되 보다 편리하고 합리적으로 살아가는 것이 현대인으로서 이 시대를 살아가는 방법일 것이다. 한자도 이와 같다. 그 번거로움은 계속해서 변화하는 시대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인들은 현재 간체자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지만 이 역시 1000자가 넘는 글자를 외워야하는 어려움이 있고, 병음표시에 로마자를 빌려 쓰고 있지만, 이것은 그들의 문자의 구조상 매우 합리적이지 못한 처사로 보인다. 오히려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한글의 사용이 그들에게는 더욱 쉽게 익힐 수 있고, 보다 완벽한 문자생활에 도움이 될 것이다.
과학과 정보화의 발전은 시간이 지날수록 가속도를 받고 있고, 그들의 불편과 문자사용의 어려움은 계속될 것이다. 따라서 한자의 소멸은 머지않았음이 예고된 것이다. 유구한 역사와 자신의 전통을 지키는 것도 중요한 일이지만, 이를 대체할 문자를 선택한다면 많은 사람들에게 문자생활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발전된 문화수준을 이룩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자료
- 민관동, 문병순, 『한자의 이해』, 학고방, 2003.
- Lindqvist, Cecilia, 『한자왕국 : 한자로 떠나는 중국 역사 문화 기행』, 청년사, 2002
- 복정문아, 『한자문화권의 사상과 불교』, 성운사, 1998.
- 배규범, 『한자로 읽는 한국문화』, 보고사, 2000.
- 네이버 백과사전
- 신윤덕기자, ‘한자(漢字)로 인한 중국과 일본의 고민’ ⓒ2002 OhmyNews.
5) 문자개혁
중국인들은 그들의 문자를 개혁하려는 노력을 해왔다. 1892년 노공장의 《중국제일쾌절음신자(中國第一快切音新字)》, 1900년 왕조(王照)의 《관활합성자모(官活合成字母)》, 1907년 노내선(勞乃宣)의 《간자전보(簡字全譜)》 등과 같이 정자(正字)를 간략화하여 표기하려는 시도가 계속되었다. 1935년 8월 중국의 국민정부는 약자 324자를 정식으로 승인하였는데, 이것은 종전부터 민간에 널리 쓰이던 1200자 중에서 제 1 회분으로 선정한 것이다.
제 2 차 세계대전 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수립되고 나서 52년 6월에 <상용자> 2000자가 정부에서 발표되어 학습의 기준이 되었고, 뒤이어 정부 직속의 중국문자개혁위원회에 의해 이 상용자에 대한 약자표(略字表;簡化表)가 만들어져서 55년 1월 <한자간화방안초안(漢字簡化方案草案)>이 발표되었다. 중국에서는 약자를 간자(簡字) 또는 간체자(簡體字)라고 하는데, 이 초안에는 798자의 <간화한자>와 폐지하려고 한 이체자(異體字) 400자, 붓으로 쓸 때 간략화하려 한 변(邊)과 방(旁)에 해당하는 251자가 들어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많은 비판이 따르자 56년 1월 수정안을 공표하였고 이것이 현재 사용되는 <한자간화방안>이다. 이것은 한자의 복잡한 획수를 간략화하여 쓰기에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64년에는 간화변방(簡化邊旁)의 사용범위에 관한 규정이 발표되었고 아울러 간화자 2252자가 수록된 《간화자총표(簡化字總表)》가 출간되었다.
Ⅲ. 결론
한자는 중국 자국의 문화형성과 더불어 아시아의 많은 나라에 문명을 전파하는 역할을 하고, 문자생활을 가능하게 하여 인류의 문명을 발전시켜오는데 큰 역할을 해온 전통을 가진 가치 있는 문자임은 분명하다. 이처럼 한자가 미친 영향은 결코 무시할 수 없으며, 이 문자는 역사와 함께 발전을 거듭해왔다. 따라서 이것에 집착하는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생각해 보자. 우리는 한복이 아름다운 줄 알지만 실생활에 있어서 번거롭고 불편하기 때문에 기성복을 입고 생활한다. 그렇다고 한복에 대한 가치를 잊었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문화의 가치와 소중함은 기억하되 보다 편리하고 합리적으로 살아가는 것이 현대인으로서 이 시대를 살아가는 방법일 것이다. 한자도 이와 같다. 그 번거로움은 계속해서 변화하는 시대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인들은 현재 간체자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지만 이 역시 1000자가 넘는 글자를 외워야하는 어려움이 있고, 병음표시에 로마자를 빌려 쓰고 있지만, 이것은 그들의 문자의 구조상 매우 합리적이지 못한 처사로 보인다. 오히려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한글의 사용이 그들에게는 더욱 쉽게 익힐 수 있고, 보다 완벽한 문자생활에 도움이 될 것이다.
과학과 정보화의 발전은 시간이 지날수록 가속도를 받고 있고, 그들의 불편과 문자사용의 어려움은 계속될 것이다. 따라서 한자의 소멸은 머지않았음이 예고된 것이다. 유구한 역사와 자신의 전통을 지키는 것도 중요한 일이지만, 이를 대체할 문자를 선택한다면 많은 사람들에게 문자생활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발전된 문화수준을 이룩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자료
- 민관동, 문병순, 『한자의 이해』, 학고방, 2003.
- Lindqvist, Cecilia, 『한자왕국 : 한자로 떠나는 중국 역사 문화 기행』, 청년사, 2002
- 복정문아, 『한자문화권의 사상과 불교』, 성운사, 1998.
- 배규범, 『한자로 읽는 한국문화』, 보고사, 2000.
- 네이버 백과사전
- 신윤덕기자, ‘한자(漢字)로 인한 중국과 일본의 고민’ ⓒ2002 OhmyNews.
추천자료
한글날을 맞이하여 한글사용에 있어서 한자사용의 의의에 대해 논술하시오.
(교과교육론) 초등학교 한자교육에 대하여
[과외]1-01 한자의 짜임
한글, 영어, 한자의 동음현상을 이용한 브랜드 네이밍
[언어이론] 한자 혼용에 대해서
2007년 1학기 맞춤법과표준어 A형(한자 차용 표기법의 원리와 이두,구결,향찰)
자동차 엠블럼을 통한 한자 활용 조사분석
사회복지의 개념에 대한 서술로 사회복지의 한자 및 영어의 과 국내외 학자들이 정의한 개념...
[문화 중국어]한자의 서체(書體) 변화 - 서체 변천 과정 개요
[제주대] <한자의 이해> 요약, 족보
(제주대) <한자의 이해> 요약, 족보
일본어 문자와 표기 [한자 문자]
실용한문,지하철역 및 철도역 한자노선도 만들기 - (경전선 노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