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화의 이해와 평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아동화 발달단계

아동화 평가

본문내용

교 6학년 아이의 작품이다. 이 작품의 주제는 ‘학교에서 하고 싶은 일’ 이다. 이 아이는 밤에 폭죽놀이를 하는 것을 학교에서 하고 싶은 일로 정하였고, 이를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이 시기는 로웬펠드의 발달단계에 의하면 의사실기이다. 의사실기는 합리적인 묘사기로서, 실재와 자연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려는 경향이 짙게 나타난다. 따라서 관찰묘사에 의존하려 하고, 색에 있어서도 사물과 같게 표현하려고 한다.
이 그림에서도 의사실기의 특징이 잘 나타나고 있다. 먼저, 이 아동은 학교를 실제와 가깝게 묘사하였고, 색도 그와 비슷하게 칠했다. 밤하늘에서 터지는 불꽃의 색깔도 아동이 전에 경험했던 것을 바탕으로 여러 가지 색깔로 표현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의사실기 아동의 그림에는 원근법과 3차원적 공간표현이 나타나게 된다. 이 그림도 잘 들여다보면, 3차원적으로 공간이 표현됨을 알 수 있다. 이 아동은 큰 불꽃이 터지고 있는 곳에 회색 밑단을 그려서 입체적임을 나타내었다. 또한, 불꽃이 터지면서 학교를 가리고 있는 것을 볼 때, 아동이 중첩 표현을 했음을 알 수 있다.
원근감과 3차원적 공간을 표현한 것이 아동의 시각적 공간 개념을 표현화한 것이라면, 비시각적 공간 개념을 표현하는 것에도 두 가지 형태가 있다. 이는 시각형 그림과 비시각형 그림이다. 이 아동화는 아동이 학교에서 불꽃이 터지는 것을 보고 그린 것이 아니다. 따라서 비시각적 공간 개념을 표현한 그림이라고 볼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이 그림은 시각형 그림으로 볼 수 있다. 그림을 잘 보면, 아동이 앞에서 관람하고 있는 장면을 상상해서 그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불꽃이 학교 앞을 가리고 터지고 있는 모습이나 도화지 밑의 기저선(baseline)을 통해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그림은 자신의 느낌과 정서를 그림에 직접적으로 표현했다기보다, 사물의 배치와 다양한 색깔, 그 밖의 환경 등 시각적으로 지각할 수 있는 것들이 표현의 중요한 대상이 되고 있다.
이 아동화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이 불꽃의 색채이다. 검정색 바탕에 원색을 사용해서 불꽃이 터지고 있는 장면이 눈에 확 들어온다. 이를 통해, 이 아동에게 불꽃놀이의 장면이 의미 있는 기억으로 남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불꽃놀이의 전체적 장면을 묘사한 것으로 보아 폭넓은 시야를 가지고 그림을 그렸다고 볼 수 있다.
<고학년 아동>
월곡초등학교 6학년. 서 보람 (13)
이 그림은 6학년 아이의 그림이다. 이 그림을 살펴보자면, 한 전사가 용을 타고 적들과 싸우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전사는 칼을 들고 어딘가를 보고 있고, 하늘 에서는 화살이 날아오고 있다. 용은 이미 몇 개의 화살을 맞고 피를 흘리고 있고, 한 아이가 용의 꼬리에 간신히 매달려 있다. 이 아이가 그림을 어떻게 그렸는지 생각해보면, 전에 책에서 읽은 장면이나 영화로 본 장면을 그림으로 나타내었다고 예측할 수 있다. 이 그림에서 나타나는 일은 실제로 경험할 수 있는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 아동화의 가장 특징적인 점을 몇 가지 발견할 수 있다.
먼저, 사물의 묘사가 정밀하다는 점이다. 그림의 제일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용을 보면, 이 아동은 용의 이빨이나 뿔, 눈과 코에 난 뿔, 그리고 다리와 발가락 등을 자세하게 묘사하였다. 심지어 용에 꽂힌 화살과 떨어지는 피까지 묘사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의사실기 단계 아동의 그림에 나타나는 특징으로 이 시기의 아동은 사실적 표현 경향이 짙고, 관찰 묘사에 의존하려 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인물 표현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그림에 나타난 인물은 2명이다. 하지만 이 2명의 동작이 각각 다르다. 의사실기 단계 아동은 인물도 좀 더 사실적으로 그리려고 노력한다. 그래서 옷이나 장신구, 심지어는 주름까지도 그리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이 아이도 칼을 들고 있는 인물의 옷이나 모자, 그리고 칼을 차는 것까지 자세하게 묘사하였다. 이 아동화의 경우에 인물이 칼을 들고 있는 동작과 용의 꼬리에 매달려 있는 동작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그래서 인물의 신체 비례가 알맞고, 균형 있게 보인다.
이 그림을 돋보이게 하는 요인 중 한 가지로 색채를 뽑을 수 있다. 이 아동은 색채를 사실적으로 묘사하면서도 같은 사물에 두 가지 색깔을 혼합해서 사용하여 더욱 실제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예를 들어, 나무의 경우 검정색만 사용한 것이 아니라 갈색을 혼합해서 사용하였고, 용도 초록색으로만 색칠한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갈색을 칠하였다. 혼색을 사용하는 아동의 경우 적극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고, 자유롭게 자기의 감정을 표현하려는 경향이 짙다고 한다. 이 아동의 경우에도 그림에서 적극성이 느껴진다.
◆ 과제 후기 ◆
처음 과제를 할 때에, ‘그림을 보면서 어떻게 이 아동에 대해 알 수 있을까?’ ‘아동의 심리 상태가 그림에 반영되는 것이 사실일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그냥 보기에는 다 똑같은 아동의 그림처럼 보였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당연히 그림을 잘 그리는 것이기 때문에 이 과제를 하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하지만 유치원 아동에서 고학년 아동까지의 그림을 자세히 보고, 책과 비교하며 살펴볼수록, 신기한 점이 새록새록 튀어나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책에서 제시한 발달단계와 이 아동들의 그림이 완벽히 일치한 것은 아니었지만, 그림에서 그 흐름이 발견된다는 점을 알았을 때, 정말 뿌듯함과 성취감에 휩싸이게 되었다.
그러다 보니, 아이들 작품 하나하나를 대충대충 보고 넘어갈 수 없게 되었다. 자세히 보면 볼수록, 내가 미처 알지 못했던 점이 보였고, 아동의 예리한 관찰력이 그림 속에 담겨 있는 것 같았다. 책을 보며, 그리고 그림 한 장, 한 장을 꼼꼼하게 보면서 분석하려고 하였으나 부족한 점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과제를 하면서 그림을 그리는 동안의 아동의 기분이나, 상황 등을 충분히 이해하려고 노력하였고, 이것만으로도 과제의 의의가 크다고 생각한다.
이 과제를 통해 다른 아동의 그림을 보아도 아동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태도를 가지게 될 것 같다. 아동은 그림을 통해 자신을 표현한다는 것을 몸소 느낄 수 있게 해준 과제였다.
  • 가격1,2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12.13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20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