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오랑캐를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가?
3. 고대 중국의 오랑캐 인식
1)주왕조와 이민족
2)유가(儒家)와 오랑캐
3)관점의 차이? - ꡔ史記ꡕ의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4. 결론
2. 오랑캐를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가?
3. 고대 중국의 오랑캐 인식
1)주왕조와 이민족
2)유가(儒家)와 오랑캐
3)관점의 차이? - ꡔ史記ꡕ의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4. 결론
본문내용
사고방식으로 이민족에 대하여 폄하 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상의 흐름에 역행하는 사례들 사기에는 전국시대 조 무령왕(武寧王)과 앞서 언급했던 한족 출신인 중항열, 그리고 오랑캐로 분류된 오왕(吳王) 합려(闔慮)와 월왕(越王) 구천(勾踐)의 패업에 대한 예찬적 기록들이 서술되어 있다.
은 일부 보이긴 하지만, 사기를 비롯한 고대 중국의 기록들은 오랑캐라는 타자(他者)를 설정하여 자신들의 우월성을 강조하기 위한 하나의 정치적인 도구로 사용되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화이관은 중국의 중세에 이르면서 유교적 정치사상이 붕괴되면서 5호 16국 시대에 접어들게 되었고, 새 시대를 시작한 흉노의 유연(劉淵)이 한(漢)의 황제로 칭제(稱帝)하게 되면서 융적출신(戎狄出身)은 제왕(帝王)이 될 수 없다는 공식 강문호, 중국중세정치사연구, 국학자료원, 1999, p. 44~45.
은 깨지게 되었다.
하지만 고대부터 내려온 화이관이 완전히 없어졌다고 보기에는 어려운 면이 종종 있다. 송나라 주자의 경우와 명나라의 대외적 특성, 그리고 청 말에 이르면서 양이(洋夷)의 개념과 이에 대한 멸시는 꾸준히 근대까지 내려오게 되었고, 이는 중국의 민족주의로 연결되는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참고문헌】
사기(史記)
서경(書經)
강문호 , 중국중세정치사연구, 국학자료원, 1999.
이춘식,선진시대 공자와 유가의 화이관에 대하여 ,중국학논총v.15,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02.
니콜라 디코스모, 이재정 옮김,오랑캐의 탄생 - 중국이 만들어낸 변방의 역사, 황금가지, 2002.
이춘식,중화사상의 이해, 신서원, 2002.
이러한 사상의 흐름에 역행하는 사례들 사기에는 전국시대 조 무령왕(武寧王)과 앞서 언급했던 한족 출신인 중항열, 그리고 오랑캐로 분류된 오왕(吳王) 합려(闔慮)와 월왕(越王) 구천(勾踐)의 패업에 대한 예찬적 기록들이 서술되어 있다.
은 일부 보이긴 하지만, 사기를 비롯한 고대 중국의 기록들은 오랑캐라는 타자(他者)를 설정하여 자신들의 우월성을 강조하기 위한 하나의 정치적인 도구로 사용되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화이관은 중국의 중세에 이르면서 유교적 정치사상이 붕괴되면서 5호 16국 시대에 접어들게 되었고, 새 시대를 시작한 흉노의 유연(劉淵)이 한(漢)의 황제로 칭제(稱帝)하게 되면서 융적출신(戎狄出身)은 제왕(帝王)이 될 수 없다는 공식 강문호, 중국중세정치사연구, 국학자료원, 1999, p. 44~45.
은 깨지게 되었다.
하지만 고대부터 내려온 화이관이 완전히 없어졌다고 보기에는 어려운 면이 종종 있다. 송나라 주자의 경우와 명나라의 대외적 특성, 그리고 청 말에 이르면서 양이(洋夷)의 개념과 이에 대한 멸시는 꾸준히 근대까지 내려오게 되었고, 이는 중국의 민족주의로 연결되는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참고문헌】
사기(史記)
서경(書經)
강문호 , 중국중세정치사연구, 국학자료원, 1999.
이춘식,선진시대 공자와 유가의 화이관에 대하여 ,중국학논총v.15,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02.
니콜라 디코스모, 이재정 옮김,오랑캐의 탄생 - 중국이 만들어낸 변방의 역사, 황금가지, 2002.
이춘식,중화사상의 이해, 신서원,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