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취 요약 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마취의 단계 (전신마취)

2.마취의 위험과 합병증 관찰

3.국소 마취에 사용되는 약물

4.회복실에서의 간호

본문내용

. 마취부위, 연령, 전신상태 등에 따라 투여량 결정
금기/주의
본제 또는 아마이드계 국소마취제에 대한 과민증자, 패혈증
경막외마취 : 중독한 출혈 또는 쇽상태의 환자,
⑨ Etidocaine
Etidocaine(Duranest)은 가장 최근(1972년)에 임상에 도입되었으며 lidocaine과 구조적으로 비슷하나 효력이 훨씬 강하고 작용시간이 길다. 표면마취, 침윤마취, 전달마취, 경막외 마취 등에 사용되며 척추 마취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⑩ epinephrine jeil (1mg/ml 1ml)
작용/종류
부신호르몬제
효능/효과
기관지 천식 발작의 완화, 혈청병, 두드러기, 맥관신경성 부종의 증상 완화
⑪ 약물에 의한 쇽. 심정지의 보조치료. 국소마취제 효력의 지속
용법/용량
국소마취제와 병용시는 마취제 10ml에 1-2방울의 비율을 첨가하여 사용
피하 및 근주: 1회 0.2-1ml, 정주: 심정지 등 긴급시 0.25ml 희석하여 주입
금기/주의
동맥경화증, 기질성 심질환, 고혈압, 기질성 뇌손상, 만선 코카인 중독, 정신신경증, 갑상선기능 항진증, 당뇨병, 폐쇄각 녹내장, 폐렴, 객혈 위험자, 분만중, 심인성/외상성/출혈성 쇽, 크롬친화세포종, 중증 신기능, 잔요 형성 수반 전립성선종, 폐성심
회복실에서의 간호
1. 수술 직후 회복실
① 환자의 기도 확인 및 체위 : 마취에서 깨기 전 체위는 머리를 옆으로, 턱은 앞으로 잡아당김
- Sim's lateral position
목적 : 연하반사가 없으므로 혀가 기도를 막는 것을 방지와 토물이나 점액의 배출 도모 및 기도로 흡인되는 것을 방지
② 활력증상, 흉곽 확장, 피부색, 드레싱, 배뇨관 점검 및 측정, 정맥 수액
2. 회복실에서의 간호
1) 환자 관찰 및 지시 시항의 수행
① 의식이 회복될 때까지 금식, 통증관리
② 활력증후 : 안정될 때까지 15분마다
③ 구강, 인두흡인 PRN
④ 수분/ 전해질/ 혈액 검사
⑤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
⑥ 체위변경, 기침, 심호흡
⑦ 하지 운동 수행
2) 위독한 상태를 의미하는 자료
① 수축기 압 : <90~100 or >150~160
② 이완기 압 ; <50 or >90, H.R. - <60 or >120
③ 수술 후 8시간 동안 무배뇨량
④ 심하게 흥분, 불안
3. 회복실 퇴실: 병실로 이전
조건 : 마취에서 회복됨, 활력증상의 안정성, 수술부위의 배액량 제한, 의식수준의 명료성,
소변량 최소 30 ml/hrs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1.07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61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