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흥선대원군의 쇄국정책
- 척사사상
- 개화운동
- 민족운동
- 척사사상
- 개화운동
- 민족운동
본문내용
10년 뒤인 1890년대에는 다수 국민의 적극적인 호응을 얻어 사회적으로 튼튼한 기반을 닦게 됨으로써 횡적으로 확산되는 대중화운동으로 발전되어 나아갔다. 이와 같이 1890년대의 개화운동이 이전과는 다른 차원으로 발전시킨 역할을 담당한 것이 독립신문(獨立新聞)이었다. 한성순보와 한성주보의 폐간 이후, 조선에는 기독교 계열의 신문과 일본 기관지만이 발흥하고 있었다. 그러한 상황 속에서 1896년 4월 7일의 독립신문 창간은 우리의 근대 언론사에 커다란 획을 긋는 것이었다. 갑오개혁 이후 집권한 온건개화파의 지원에 의해 서재필이 발행한 독립신문은 그 자체의 영향력뿐만이 아니라, 이후에 민간신문들의 발행을 자극하여, 제4부로서 작용하는 언론이 우리 사회에서 하나의 제도로 발전할 수 있는데 근간을 제공하였다.
③ 갑신정변
* 갑신정변의 원인
임오군란으로 청나라는 이 때부터 조선의 내정에 깊이 간섭하였다. 이에 불만을 가진 사람은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서재필 등 젊은 개화파들이었다. 이들은 청나라의 간섭을 물리치고 근대 문명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빨리 근대 국가를 이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갑신정변의 경과
급진 개화파는 빨리 근대화를 이룩하여 열강과 대등한 나라가 되기 위해서는 비상 수단을
쓸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고, 일본과 모의하여 정변을 일으켜 새로운 정부를 세우려 하였다. 1884년 10월에 새로 설치된 우정국 개설 축하연을 계기로 급진 개화파는 정변을 일으켜 반대 세력을 몰아내고, 새 내각을 조직하였다. 그리고 문벌 타파, 사민 평등, 재정의 일원화, 지조법의 개정, 경찰제 실시, 행정 기구 개편 등 14개조로 된 개혁안을 선포하였으나 청나라의 간섭으로 사흘만에 실패하고, 그 중심 인물들은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 갑신정변의 결과
김옥균 등은 일본에 망명하였으며, 우리 나라에 청나라의 세력만 강화시키는 결과가 되었다. 그리고 조선과 일본 간에는 정변의 뒤처리를 위한 한성 조약이 체결되었으며, 청나라와
일본 간에는 톈진 조약이 체결되어 다시 조선은 청나라와 일본의 세력 다툼장이 되었다.
④ 갑오개혁
* 갑오개혁의 배경
갑신정변의 실패로 세력이 꺾였던 개화 세력은 동학 운동을 계기로 다시금 개혁의 필요성을 주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때, 동학군의 진압을 위해 조선에 들어온 일본은 동학군의 진압에 성공하자 우리 나라 정부에 대해 내정 개혁을 요구하였다. 조선에서 청나라 세력을n몰아내고, 그들의 정치적 영향력을 강화하여 침략의 발판을 마련하자는 속셈이었다. 정부는 그들의 개혁 요구에 대해 이미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고 거절하며 일본 군대의 철수를 요구하였다. 그러자 일본은 군대를 출동시켜 경복궁을 포위하고, 개화파로 새로운 정부를 구성하여 개혁을 단행하였다.
* 갑오개혁의 내용
정치적개혁
정부조직을의정부와궁내부로나누고, 의정부아래에 8아문을
둔다.
과거제도를없애고관리를능력위주로뽑도록한다.
독자적인개국기원을쓰도록하여청나라에의지하지않고자주독립한다.
경제적개혁
재정을관리하는곳을한곳으로통일한다.
세금납세제도를새롭게한다.
근대식화폐 제도를채택한다.
도량형(길이, 부피, 무게를재는단위나기구)을통일한다.
사회적개혁
신분제도를없애양반과평민의계급을없앤다.
너무어린나이에결혼하는것을금지한다.
과부의재혼을허용한다.
교육의개혁
한성사범학교외국어학교를세운다.
각지방에지금의초등학교인소학교를세운다.
출처: 파란지식바다(http://ksea.paran.com/sknow/queview.php?que=703260)
에듀피아
(http://primary.edupia.com/schoolbook/society/sub.asp?p_nIndex=&p_nYear=6&p_subcode=SO&p_nTerm=1&p_nCategoryID=949&nConID=2533)
엠파스 열린지식
(http://search.empas.com/search/ok_pvw.html?pt=0&dd=1&ft=2&i=4689217&sn=1233095256&q2=%B0%B3%C8%AD+%BF%EE%B5%BF+%BD%C5%B9%AE&dv=a&w=234c4d4e4c4e&dw=4c&vl=A&vn=0&q=%B0%B3%C8%AD%BF%EE%B5%BF+%BD%C5%B9%AE&ou=k.daum.net%2Fqna%2Fkin%2Fhome%2Fqdetail_view.html%3Fqid%3D0ELok%26boardid%3DM)
- 민족운동
① 애국계몽운동
출처: 네이버블로그(http://blog.naver.com/jiai3454/80024146576)
③ 갑신정변
* 갑신정변의 원인
임오군란으로 청나라는 이 때부터 조선의 내정에 깊이 간섭하였다. 이에 불만을 가진 사람은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서재필 등 젊은 개화파들이었다. 이들은 청나라의 간섭을 물리치고 근대 문명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빨리 근대 국가를 이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갑신정변의 경과
급진 개화파는 빨리 근대화를 이룩하여 열강과 대등한 나라가 되기 위해서는 비상 수단을
쓸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고, 일본과 모의하여 정변을 일으켜 새로운 정부를 세우려 하였다. 1884년 10월에 새로 설치된 우정국 개설 축하연을 계기로 급진 개화파는 정변을 일으켜 반대 세력을 몰아내고, 새 내각을 조직하였다. 그리고 문벌 타파, 사민 평등, 재정의 일원화, 지조법의 개정, 경찰제 실시, 행정 기구 개편 등 14개조로 된 개혁안을 선포하였으나 청나라의 간섭으로 사흘만에 실패하고, 그 중심 인물들은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 갑신정변의 결과
김옥균 등은 일본에 망명하였으며, 우리 나라에 청나라의 세력만 강화시키는 결과가 되었다. 그리고 조선과 일본 간에는 정변의 뒤처리를 위한 한성 조약이 체결되었으며, 청나라와
일본 간에는 톈진 조약이 체결되어 다시 조선은 청나라와 일본의 세력 다툼장이 되었다.
④ 갑오개혁
* 갑오개혁의 배경
갑신정변의 실패로 세력이 꺾였던 개화 세력은 동학 운동을 계기로 다시금 개혁의 필요성을 주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때, 동학군의 진압을 위해 조선에 들어온 일본은 동학군의 진압에 성공하자 우리 나라 정부에 대해 내정 개혁을 요구하였다. 조선에서 청나라 세력을n몰아내고, 그들의 정치적 영향력을 강화하여 침략의 발판을 마련하자는 속셈이었다. 정부는 그들의 개혁 요구에 대해 이미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고 거절하며 일본 군대의 철수를 요구하였다. 그러자 일본은 군대를 출동시켜 경복궁을 포위하고, 개화파로 새로운 정부를 구성하여 개혁을 단행하였다.
* 갑오개혁의 내용
정치적개혁
정부조직을의정부와궁내부로나누고, 의정부아래에 8아문을
둔다.
과거제도를없애고관리를능력위주로뽑도록한다.
독자적인개국기원을쓰도록하여청나라에의지하지않고자주독립한다.
경제적개혁
재정을관리하는곳을한곳으로통일한다.
세금납세제도를새롭게한다.
근대식화폐 제도를채택한다.
도량형(길이, 부피, 무게를재는단위나기구)을통일한다.
사회적개혁
신분제도를없애양반과평민의계급을없앤다.
너무어린나이에결혼하는것을금지한다.
과부의재혼을허용한다.
교육의개혁
한성사범학교외국어학교를세운다.
각지방에지금의초등학교인소학교를세운다.
출처: 파란지식바다(http://ksea.paran.com/sknow/queview.php?que=703260)
에듀피아
(http://primary.edupia.com/schoolbook/society/sub.asp?p_nIndex=&p_nYear=6&p_subcode=SO&p_nTerm=1&p_nCategoryID=949&nConID=2533)
엠파스 열린지식
(http://search.empas.com/search/ok_pvw.html?pt=0&dd=1&ft=2&i=4689217&sn=1233095256&q2=%B0%B3%C8%AD+%BF%EE%B5%BF+%BD%C5%B9%AE&dv=a&w=234c4d4e4c4e&dw=4c&vl=A&vn=0&q=%B0%B3%C8%AD%BF%EE%B5%BF+%BD%C5%B9%AE&ou=k.daum.net%2Fqna%2Fkin%2Fhome%2Fqdetail_view.html%3Fqid%3D0ELok%26boardid%3DM)
- 민족운동
① 애국계몽운동
출처: 네이버블로그(http://blog.naver.com/jiai3454/80024146576)
추천자료
문학사적 의의와 그 특성(여성운동,페미니즘,문학,시)
사회 속 민중가요의 역사와 음악운동
한국 불교의 역사와 흐름 -불교의 전래부터 조계종불교정화운동까지-
[과외]중학 국사 3-2학기 중간 주권수호 운동의 전개
[과외]중학 국사 3-2학기 중간1 주권수호 운동의 전개(교사용)
(중국현대사)중국(청)의 양무운동과 일본의 메이지유신 비교분석
20세기 전반에 나타난 한국기독교 사회운동의 특징
근대 정치․민족운동의 전개과정 및 결론
음악과 단소연주, 미술과 서예 수업자료(교수학습자료), 체육과 줄넘기운동, 국어과 경필쓰기...
한국과 일본의 시민사회 운동의 비교 및 과제
[한국근현대사]한국근현대사와 조선후기, 한국근현대사와 서원철폐, 한국근현대사와 갑신정변...
23.조선의 근대 개혁 운동
문학에 나타난 동학 - 동학(東學)의 사상과 민족운동, 근대 초기의 동학 소설, 해방 후의 문...
일본 메이지유신과 중국 변법자강운동의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