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단원명 : 5. 날씨와 우리생활 (3학년 1학기)
2. 단원의 개관
3. 학습내용의 계열성
4. 단원지도계획
5. 수업의 실제
2. 단원의 개관
3. 학습내용의 계열성
4. 단원지도계획
5. 수업의 실제
본문내용
7분
◎ 3모둠이 실험한 결과 발표하기 : 학습지를 프로젝션 TV로 비추어 보이면서 발표하게 한다.
실험1) 비의 양 재기
비의 양을 재는 실험을 어떻게 했는지 잘 들어봅시다.
- 여러 가지 모양의 그릇에 물조리개로 물을 뿌려보았어요.
- 그릇모양에 따라 물의 양이 달라요.
어떤 모양에 따라서 물의 양이 어떻게 다르게 측정되었나요?
- 주둥이가 좁고 바닥이 넓은 것은 물이 고인 높이가 낮아요.
- 주둥이가 넓고 바닥이 좁은 것은 물이 고인 높이가 낮아요.
-주둥이와 바닥의 넓이가 같은 것은 물이 고인 높이가 중간이예요.
모두 크기가 다른 그릇인데 물이 고인 높이가 같은 것도 있나요?
- 예, 주둥이와 바닥의 넓이가 같은 것은 물이 고인 높이가 같아요.
□ 프로젝션TV
학습
과정
시량
교수-학습 활동
자료 및 유의점
추가
자료
제시
및
관찰
탐색
7분
실험2) 바람의 방향 관찰하기
바람의 방향을 관찰하는 실험을 어떻게 했는지 잘 들어봅시다.
- 풍선(또는 리본)을 막대기 끝에 달아서 날리는 것을 보고 바람의 방향을 관찰했어요.
왜 풍선(또는 리본)을 매달아서 방향을 관찰할 생각이 들었나요?
- 바람이 불었을 때 머리카락(또는 빨래, 태극기)이 날렸던 것이 생각났어요.
방향을 어떻게 표현했는지 볼까요?
- 북쪽에서 부채를 부쳤을 때 남쪽으로 풍선이 날아갔어요. 그래서 학습지에 남풍을 화살표로 이렇게 표시를 했어요. (오개념 발생)
북쪽에서 부채를 부쳐서 북쪽에서 바람이 불었을 때를 남풍이라고 했어요. 바람은 불어오는 쪽의 방위로 표현하기로 사람들이 약속했어요. 산 위에서 부는 바람 시원한 바람이라는 노래가 있지요? 산에서 부는 바람은 산 바람(산풍), 바다에서 부는 바람은 해풍, 그러면 북쪽에서 바람이 불었으니까 어떻게 부르는 것이 맞을까요? 북풍이라고 합니다. (오개념 수정)
실험3) 바람의 세기 관찰하기
바람의 세기를 관찰하는 실험을 어떻게 했는지 잘 들어봅시다.
- 풍선(또는 리본)을 막대기 끝에 달아서 날리는 것을 보고 바람의 세기를 관찰했어요.
어떻게 약한 바람인지, 센 바람인지 알 수 있나요?
- 학습지 그림에서처럼 날리는 정도를 보고 알 수 있어요.
□ 프로젝션TV
규칙성 발견
및
개념
정리
3분
◎ 규칙성 발견하기
날씨에 관한 자료를 보여주고 학습지(오늘의 날씨)에 적어보게 한다.
오늘 실험을 통해 알게 된 사실이나 느낀 점을 발표하게 한다.
◎ 정리하기 : 파워포인트로 비의 양 측정, 바람의 세기, 바람의 방향에 대한 학습내용을 정리한다.
□ 컴퓨터, 프로젝션TV, PPT자료
학습
과정
시량
교수-학습 활동
자료 및 유의점
적용
및
응용
3분
◎ 적용 : 날씨를 알아볼 수 있는 상황 자료를 제시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날씨를 표현할 수 있게 한다.
- 옷자락이 많이 날리는 것을 보니 바람이 세게 불고, 비가 많이 와요.
- 머리카락이 조금 날리는 것을 보니 동풍이 약하게 불어요.
오늘의 날씨는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
◎ 과제제시 : 오늘 날씨와 관련한 내용의 일기쓰기
□ 컴퓨터, 프로젝션TV, PPT자료
◎ 3모둠이 실험한 결과 발표하기 : 학습지를 프로젝션 TV로 비추어 보이면서 발표하게 한다.
실험1) 비의 양 재기
비의 양을 재는 실험을 어떻게 했는지 잘 들어봅시다.
- 여러 가지 모양의 그릇에 물조리개로 물을 뿌려보았어요.
- 그릇모양에 따라 물의 양이 달라요.
어떤 모양에 따라서 물의 양이 어떻게 다르게 측정되었나요?
- 주둥이가 좁고 바닥이 넓은 것은 물이 고인 높이가 낮아요.
- 주둥이가 넓고 바닥이 좁은 것은 물이 고인 높이가 낮아요.
-주둥이와 바닥의 넓이가 같은 것은 물이 고인 높이가 중간이예요.
모두 크기가 다른 그릇인데 물이 고인 높이가 같은 것도 있나요?
- 예, 주둥이와 바닥의 넓이가 같은 것은 물이 고인 높이가 같아요.
□ 프로젝션TV
학습
과정
시량
교수-학습 활동
자료 및 유의점
추가
자료
제시
및
관찰
탐색
7분
실험2) 바람의 방향 관찰하기
바람의 방향을 관찰하는 실험을 어떻게 했는지 잘 들어봅시다.
- 풍선(또는 리본)을 막대기 끝에 달아서 날리는 것을 보고 바람의 방향을 관찰했어요.
왜 풍선(또는 리본)을 매달아서 방향을 관찰할 생각이 들었나요?
- 바람이 불었을 때 머리카락(또는 빨래, 태극기)이 날렸던 것이 생각났어요.
방향을 어떻게 표현했는지 볼까요?
- 북쪽에서 부채를 부쳤을 때 남쪽으로 풍선이 날아갔어요. 그래서 학습지에 남풍을 화살표로 이렇게 표시를 했어요. (오개념 발생)
북쪽에서 부채를 부쳐서 북쪽에서 바람이 불었을 때를 남풍이라고 했어요. 바람은 불어오는 쪽의 방위로 표현하기로 사람들이 약속했어요. 산 위에서 부는 바람 시원한 바람이라는 노래가 있지요? 산에서 부는 바람은 산 바람(산풍), 바다에서 부는 바람은 해풍, 그러면 북쪽에서 바람이 불었으니까 어떻게 부르는 것이 맞을까요? 북풍이라고 합니다. (오개념 수정)
실험3) 바람의 세기 관찰하기
바람의 세기를 관찰하는 실험을 어떻게 했는지 잘 들어봅시다.
- 풍선(또는 리본)을 막대기 끝에 달아서 날리는 것을 보고 바람의 세기를 관찰했어요.
어떻게 약한 바람인지, 센 바람인지 알 수 있나요?
- 학습지 그림에서처럼 날리는 정도를 보고 알 수 있어요.
□ 프로젝션TV
규칙성 발견
및
개념
정리
3분
◎ 규칙성 발견하기
날씨에 관한 자료를 보여주고 학습지(오늘의 날씨)에 적어보게 한다.
오늘 실험을 통해 알게 된 사실이나 느낀 점을 발표하게 한다.
◎ 정리하기 : 파워포인트로 비의 양 측정, 바람의 세기, 바람의 방향에 대한 학습내용을 정리한다.
□ 컴퓨터, 프로젝션TV, PPT자료
학습
과정
시량
교수-학습 활동
자료 및 유의점
적용
및
응용
3분
◎ 적용 : 날씨를 알아볼 수 있는 상황 자료를 제시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날씨를 표현할 수 있게 한다.
- 옷자락이 많이 날리는 것을 보니 바람이 세게 불고, 비가 많이 와요.
- 머리카락이 조금 날리는 것을 보니 동풍이 약하게 불어요.
오늘의 날씨는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
◎ 과제제시 : 오늘 날씨와 관련한 내용의 일기쓰기
□ 컴퓨터, 프로젝션TV, PPT자료
추천자료
7 차 초등 실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 평가 및 6차교육과정과의 비교
과학과 일반 교수 학습 모형, 경험학습모형
[과학과교육]과학과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특징과 필요성, 과학과 ICT(정보통신기술)...
초등학교 5학년 국어과(국어교육) 목표, 초등학교 5학년 국어과(국어교육) 수준별학습과 글짓...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성격과 목표,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내용선정, 초등학교...
ICT활용교육자료(교수학습자료)의 의미, ICT활용교육자료(교수학습자료)의 필요성, ICT활용교...
초등학교 도덕과교육(도덕교육)의 수업원리와 내용, 초등학교 도덕과교육(도덕교육)의 통일교...
초등학교체육과교육(초등체육)의 성격과 목표, 초등학교체육과교육(초등체육)의 수업방향과 ...
국어과(국어교육) 특성과 교육중점,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 운소지도, 초등학교 국어과(...
음악과 단소연주, 미술과 서예 수업자료(교수학습자료), 체육과 줄넘기운동, 국어과 경필쓰기...
수학과(수학수업, 수학교육)의 특성과 목표, 수학과(수학수업, 수학교육)의 실태와 지도방법,...
유아 수과학지도에서 교사의 교수 행동 유형을 쓰고 설명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네가지 교수-학습방법을 정리하고 과정적 교수법에 기초한 수업과정 및 ...
[아동과학지도] 아동과학지도를 위한 교사의 교수방법 중 구성주의적 접근을 적용한 상호 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