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 론
2.본 론
1)退溪哲學의 방향
2)退溪의 敬
3)退溪의 理와 氣
4)退溪의 四端七情說
3.결 론
2.본 론
1)退溪哲學의 방향
2)退溪의 敬
3)退溪의 理와 氣
4)退溪의 四端七情說
3.결 론
본문내용
때 四端七情에 대한 분명한 지식에 도달할 수 있다고 믿고 있는 것이라고 하겠다. 그것을 종합해서 본다면 그것은 실제적인 四端, 실제적인 七情의 측면에 서서 四端七情을 파악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실제적인 영역에서는 四端이나 七情이나 다 理氣의 묘합의 결과로써 주어지는 정서가 되는 것이다.
3.결 론
退溪哲學은 朱子的인 특성을 강하게 띤다. 그리고 유학자들이 기본적으로 다 그러하듯이 退溪도 중국 정신 쪽으로 경사된 일면을 보인다. 이러한 점들은 退溪哲學의 한계이고 결함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退溪에 있어서 유학은 순수한 학문에 지나지 않는 것이 아니다. 退溪에 있어서 유학은 이념화된 학문, 구체적으로 성리학이다. 이 이념화된 학문이란 이것을 통하여 인간을 교화하고 사회를 완성시켜 나갈 수 있는 유일한 도구라는 의식을 退溪가 갖추고 있음을 의미한다. 退溪는 심성의 구성요소들로서의 理氣를 情으로의 전개에 연결시킴으로써 理에 능동적을 부여하고, 氣가 理에 의해 실제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그리하여 退溪는 四端이나 七情이나를 막론하고 다 理에 의해 발용되고, 理에 의해 통제되는 상황을 꿈꾸었다. 심성의 발용으로서의 情을 총체적으로 善에 연결시키고자 하였던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심성 속의 氣의 요소가 理에 의해 장악되지 않으면 안된다고 退溪는 보았다. 그렇게 심성 속의 氣가 자신의 편향성을 드러내지 않고 理의 영향권 아래 놓여지게 하기 위해서 退溪는 생활의 전 영역을 敬의 감독을 통하여 통제하려 하였다. 敬은 바로 氣의 편향성, 자기의식, 개별성 같은 것이 실제적인 작용력을 행사할 수 없게 하는 것이다. 退溪는 그러한 敬을 통한 자기억제로 말미암아 理의 권위가 언제 어디에서나 총체적으로 시현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는 것이다. 그러니까 退溪의 수양론에 있어서 氣는 다스림을 받아야 하는 수양론적인 문제의 주체이고, 理는 궁극적으로 구현하여 내야만 하는 목적이고, 敬은 그러한 목적실현을 위해 요구되는 수양론적 도구인 셈이다. 이것은 또한 그내로 도덕적인 측면에서도 의미를 지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어쨌든 退溪哲學은 본체론적인 차원에 있어서는 理氣의 문제를 근간으로 하고 심성론적인 차원에서는 本然之性과 氣質之性을 축으로 하며, 도덕론적인 차원에서는 理發을 중심으로 하고, 행위론적 차원에서는 四端七情을 관절로 하고, 수양론적인 차원에서는 敬을 핵심으로 하는 학문체계라고 하겠다.
3.결 론
退溪哲學은 朱子的인 특성을 강하게 띤다. 그리고 유학자들이 기본적으로 다 그러하듯이 退溪도 중국 정신 쪽으로 경사된 일면을 보인다. 이러한 점들은 退溪哲學의 한계이고 결함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退溪에 있어서 유학은 순수한 학문에 지나지 않는 것이 아니다. 退溪에 있어서 유학은 이념화된 학문, 구체적으로 성리학이다. 이 이념화된 학문이란 이것을 통하여 인간을 교화하고 사회를 완성시켜 나갈 수 있는 유일한 도구라는 의식을 退溪가 갖추고 있음을 의미한다. 退溪는 심성의 구성요소들로서의 理氣를 情으로의 전개에 연결시킴으로써 理에 능동적을 부여하고, 氣가 理에 의해 실제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그리하여 退溪는 四端이나 七情이나를 막론하고 다 理에 의해 발용되고, 理에 의해 통제되는 상황을 꿈꾸었다. 심성의 발용으로서의 情을 총체적으로 善에 연결시키고자 하였던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심성 속의 氣의 요소가 理에 의해 장악되지 않으면 안된다고 退溪는 보았다. 그렇게 심성 속의 氣가 자신의 편향성을 드러내지 않고 理의 영향권 아래 놓여지게 하기 위해서 退溪는 생활의 전 영역을 敬의 감독을 통하여 통제하려 하였다. 敬은 바로 氣의 편향성, 자기의식, 개별성 같은 것이 실제적인 작용력을 행사할 수 없게 하는 것이다. 退溪는 그러한 敬을 통한 자기억제로 말미암아 理의 권위가 언제 어디에서나 총체적으로 시현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는 것이다. 그러니까 退溪의 수양론에 있어서 氣는 다스림을 받아야 하는 수양론적인 문제의 주체이고, 理는 궁극적으로 구현하여 내야만 하는 목적이고, 敬은 그러한 목적실현을 위해 요구되는 수양론적 도구인 셈이다. 이것은 또한 그내로 도덕적인 측면에서도 의미를 지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어쨌든 退溪哲學은 본체론적인 차원에 있어서는 理氣의 문제를 근간으로 하고 심성론적인 차원에서는 本然之性과 氣質之性을 축으로 하며, 도덕론적인 차원에서는 理發을 중심으로 하고, 행위론적 차원에서는 四端七情을 관절로 하고, 수양론적인 차원에서는 敬을 핵심으로 하는 학문체계라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