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심으로 하고, 행위론적 차원에서는 四端七情을 관절로 하고, 수양론적인 차원에서는 敬을 핵심으로 하는 학문체계라고 하겠다. 1.서 론
2.본 론
1)退溪哲學의 방향
2)退溪의 敬
3)退溪의 理와 氣
4)退溪의 四端七情說
3.결 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5.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1. 1.1. 1.1. 도학과 이기설
1.1.1. 1.1.1. 1.1.1. 사단이발칠정기발설(四端理發七情氣發說)
1.1.1. 1.1.1. 1.1.1. 지행합일설(知行合一說)에 대한 논변1. 1. 1. 기대승
1.1. 1.1. 1.1. 시대상
1.1. 1.1. 1.1. 퇴계와의 관계
1.1. 1.1. 1.1. 곧음으로 보낸 일생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5.0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說 四端七情說 42枚 右-左, 影799面
라고 쓴 것 역시 이런 뜻을 가진 말일 것이다. 다만 퇴계가 딴 자리에서 「기가 이에 순종할 수 있을 때, 이는 스스로 나타나지만 기가 약해서가 아니라 곧 순종하기 때문이요, 기가 만약에 이에 반항할 때면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四端七情說’을 지었다. 53살에 딸 李氏婦가 죽었고, 모친상을 당했다. 55살에 복을 벗고 삼주로 돌아왔다. 57살에 外兄 李濡의 이웃인 鹿川에 머물다가 道峰을 찾고, 水落山 玉流洞, 妙寂寺 등에 놀았다. 58살에 형과 함께 前江에서 배를 타고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1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四端七情說’을 지었다. 53살에 딸 李氏婦가 죽었고, 모친상을 당했다. 55살에 복을 벗고 삼주로 돌아왔다. 57살에 外兄 李濡의 이웃인 鹿川에 머물다가 道峰을 찾고, 水落山 玉流洞, 妙寂寺 등에 놀았다. 58살에 형과 함께 前江에서 배를 타고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1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