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전제왕권의 쇠퇴와 골품제의 모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전제왕권의 쇠퇴

Ⅱ. 골품제의 모순

본문내용

사회의 근본이었던 신분체제 골품제와 마찰하지 않는 선에서 성립되고 전개되었다. 관료조직의 最上層의 관직은 오직 진골 귀족만으로 한정되었고, 그들이 複數制, 相互兼職制와 장관 合議制의 방식으로 정치를 운영하여 결국 정책의 결정권은 진골 귀족들의 手中에 있었던 것이다. 六頭品 이하의 관료들에게 특진제도인 重位題가 있었지만 그 신분에 규정된 관등과 관직의 상한선을 초월할 수 없었다. 즉, 골품제의 기본 특징처럼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승진이 가능하였던 것이다. 이런 것들이 신라의 관료제가 골품제를 기반을 하고 있다는 보여준다. 전제왕권을 지향하였던 중대의 왕들에게 관료제는 개혁의 대상이었으나, 진골들에게만 유리한 골품제는 관료제에 걸림돌이 되어 더 이상 발전하지 못하고 결국 진골 세력들의 연합으로 인해 혜공왕이 죽고 중대 왕계가 끝나고 말았다. 이기동, 위의 책, pp.142~143.
참고문헌
박해현, 「신라중대정치사연구」, 국학자료원, 2003.
이기동,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한국사」 11 :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국사편찬위원회, 1996.
李基東, 「新羅骨品制社會와 花郞徒」, 일조각, 1997.
김수태, 「신라중대정치사연구」, 일조각, 1996.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07.07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31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