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김치문화의 변화
3. 북한의 식생활정책 및 요리혁명
1) 식생활정책
2) 북한의 요리혁명
4. 북한의 요리와 김치
1) 북한 요리 남새의 특성
2) 김치
3) 김치의 공급
5. 탈북자를 대상으로 한 남북한 김치문화에 대한 설문조사
1) 북한의 김치문화에 대한 설문조사결과
2) 남한의 김치문화에 관한 설문조사결과
6. 남북한 김치에 대한 기호도 조사
1) 김치 담그기
2) 기호도 측정을 위한 관능검사
3) 결과 및 고찰
7. 결 론
8. 북한의 김치문화에 대한 설문지
참고문헌
2. 김치문화의 변화
3. 북한의 식생활정책 및 요리혁명
1) 식생활정책
2) 북한의 요리혁명
4. 북한의 요리와 김치
1) 북한 요리 남새의 특성
2) 김치
3) 김치의 공급
5. 탈북자를 대상으로 한 남북한 김치문화에 대한 설문조사
1) 북한의 김치문화에 대한 설문조사결과
2) 남한의 김치문화에 관한 설문조사결과
6. 남북한 김치에 대한 기호도 조사
1) 김치 담그기
2) 기호도 측정을 위한 관능검사
3) 결과 및 고찰
7. 결 론
8. 북한의 김치문화에 대한 설문지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편적으로 우리 민족의 입맛에 맞는 방향으로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출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반세기 이상의 분단으로 고착된 서로간 기호도의 차이가 단시일 내에 극복될 수는 없을 것이다. 서로의 입맛에 맞는 김치를 강구하는데는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현실로서 받아들이면서 식문화의 통합을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진지하게 추진해야 할 것이다.
8. 북한의 김치문화에 대한 설문지
A. 인적사항
1. 성별 : 여( 34 ) 남( 27 )
2. 연령 : 10대( ) 20대( 16 ) 30대( 30 ) 40대( 6 ) 50대( 7 ) 60대( 1 )
3. 출신지 :
① 평양( 6 ) ② 개성( 1 ) ③ 평안남도( 2 )
④ 평안북도( ) ⑤ 함경남도( 10 ) ⑥ 함경북도( 36 )
⑦ 황해남도( ) ⑧ 황해북도( ) ⑨ 자강도( )
⑩ 양강도( ) ⑪ 강원도( 3 )
B. 북한사회에서의 김치문화에 대해
1. 평소에 먹는 김치는 어떻게 준비하십니까?
① 직접 담근다( 58 ) ② 공장을 이용한다( 1 )
③ 친정에서 얻는다( 1 ) ④ 시집에서 얻는다( )
⑤ 기타 (평소 거의 김치를 담그지 않는다. 간혹 사먹기도 한다)
2. 귀하께서는 김장을 어떻게 준비하십니까?
① 직접 담근다( 61 ) ② 공장을 이용한다( )
③ 친정에서 얻는다( ) ④ 시집에서 얻는다( )
⑤ 기타( )
3. 북한의 공장김치의 맛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아주 맛있다( 2 ) ② 맛있는 편이다( 2 )
③ 그저 그렇다( 2 ) ④ 맛없다( 4 )
⑤ 기타 (김치공장의 김치를 먹어본 적이 없다 50, 김치공장을 들어보지 못했다)
4. 북한사회에서는 김치가 음식생활에서 어느 정도의 비중을 차지합니까?
① 아주 중요하다( 58 ) ② 어느 정도 중요하다( 1 )
③ 그저 그렇다( ) ④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
⑤ 전혀 중요하지 않다( )
⑥ 기타(반년식량이다, 100% 중요하다, 다른 반찬이 없으므로 식량이다, 절반식량이다, 1년 양식의 50%이다, 반년식량이라 할 정도로 겨울 부식물로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5. 북한에서 가장 즐겨 먹는 김치의 종류는? (복수답변 가능)
① 통배추김치( 56 ) ② 깍두기( 33 ) ③ 오이소박이( 3 )
④ 보쌈김치( 4 ) ⑤ 물김치( 14 ) ⑥ 풋김치( 15 )
⑦ 열무김치( 3 ) ⑧ 갓김치( 20 )
⑨ 기타 (염채김치 2, 삶은 무김치, 무를 납작하고 가게 썰어 해어와 섞은 김치, 통무김치)
6. 북한에서 김치에 주로 사용하는 젓갈은? (복수답변 가능)
① 멸치젓( 21 ) ② 새우젓( 24 ) ③ 조기젓( 2 )
④ 사용하지 않는다( 2 )
⑤ 기타의 젓갈(명태 32, 청어/정어리 7, 낙지 7, 오징어 4, 문어 3, 이면수
3, 가자미 1, 잡태 2, 닭고기 삶은 물 1, 돼지고기 2, 소고기 1, 젓갈은 가공되지 않은 실물을 많이 넣는다, 김치 2독에 콩기름 500g을 넣는다, 겨울 배추김치에는 명태를 여름김치에는 멸치젓을 넣는다)
C. 남한의 김치에 대해
7. 북한김치에 비해 남한김치의 매운 맛은 어느 정도 입니까?
① 너무 맵다( 12 ) ② 매운 편이다( 22 )
③ 적당하다( 14 ) ④ 맵지 않다( 13 ) ⑤ 기타( )
8. 북한사람들의 입맛에 맞추려면 남한의 김치는 어떤 점이 고려되어야 합니 까? (복수답변 가능)
① 고추가루의 양을 줄여야 한다( 23 )
② 젓갈의 양을 줄여야 한다( 8 )
③ 국물의 양을 늘여야 한다( 6 )
④ 마늘의 양을 줄여야 한다( 6 )
⑤ 기타 (시글해 쨍한 맛이 없다 혹은 시원하지 않다 16, 단맛이 많다 3, 맛이 없고 시다 3, 생큼한 맛이 없다, 고춧가루 맛이 너무 진해 김치고 유의 맛이 없다, 젓갈이 너무 많다, 고춧가루 양과 색에 비해 매운 맛이 없다 3, 명태나 낙지를 넣어야 한다)
9. 남한의 김치가 북한에 진출하였을 때 가장 인기 있을 것 같은 김치는?(복수답변 가능)
① 통배추김치( 21 ) ② 깍두기( 19 ) ③ 오이소박이( 7 )
④ 보쌈김치( 7 ) ⑤ 물김치( 10 ) ⑥ 풋김치( 5 )
⑦ 열무김치( 1 ) ⑧ 갓김치( 5 )
⑨ 기타 (총각김치 2 , 남한김치가 신선하고 생큼한 맛이 있다면 어떤 종류의 김치라도 인기가 있을 것이다, 북한김치에는 김치소에 들어가는 부산물(무 등)이 들어가지 않아 맛이 담백하다)
참고문헌
과학백과사전출판사, 「백과전서」 (평양, 1982)
김정일, "어머니다운 심정으로 인민생활을 책임적으로 돌봐야 한다.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조직지도부 및 평양시 일군들과 한 담화 1965년 2월 15일", 「김정일선집 1」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김정일, "당을 강화하고 그 령도적 역할을 더욱 높이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군 및 도당책임비서들과 한 담화 1989년 6월 9일", 「김정일선집 9」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7)
김정일, "경공업혁명을 철저히 수행할데 대하여. 전국경공업대회 참가자들에게 보낸 서한 1990년 6월 2일", 「김정일선집 10」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7)
김정일, "인민생활을 더욱 높일데 대하여.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군협의회에서 한 연설 1984년 2월 16일", 「김정일선집 8」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8)
김정일, "일심단결을 더욱 강화하며 조선민족 제일주의정신을 높이 발양시키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 일군들과 한 담화 1992년 2월 4일", 「김정일선집 13」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8)
김정일, "올해를 강성대국건설의 위대한 전환의 해로 빛내이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 「김정일선집 14」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2000)
사회과학원 민속학연구실 편, 「조선민족풍습」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0)
송주은, 「김치의 냉장 및 냉동저장에 따른 품질 변화」 (영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6)
「조선료리」, 1호 및 2호(평양: 조선료리협회 전국리사회 기관잡지, 1993)
주영하, 「김치. 한국인의 먹거리」 (서울: 도서출판 공간, 1994)
8. 북한의 김치문화에 대한 설문지
A. 인적사항
1. 성별 : 여( 34 ) 남( 27 )
2. 연령 : 10대( ) 20대( 16 ) 30대( 30 ) 40대( 6 ) 50대( 7 ) 60대( 1 )
3. 출신지 :
① 평양( 6 ) ② 개성( 1 ) ③ 평안남도( 2 )
④ 평안북도( ) ⑤ 함경남도( 10 ) ⑥ 함경북도( 36 )
⑦ 황해남도( ) ⑧ 황해북도( ) ⑨ 자강도( )
⑩ 양강도( ) ⑪ 강원도( 3 )
B. 북한사회에서의 김치문화에 대해
1. 평소에 먹는 김치는 어떻게 준비하십니까?
① 직접 담근다( 58 ) ② 공장을 이용한다( 1 )
③ 친정에서 얻는다( 1 ) ④ 시집에서 얻는다( )
⑤ 기타 (평소 거의 김치를 담그지 않는다. 간혹 사먹기도 한다)
2. 귀하께서는 김장을 어떻게 준비하십니까?
① 직접 담근다( 61 ) ② 공장을 이용한다( )
③ 친정에서 얻는다( ) ④ 시집에서 얻는다( )
⑤ 기타( )
3. 북한의 공장김치의 맛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아주 맛있다( 2 ) ② 맛있는 편이다( 2 )
③ 그저 그렇다( 2 ) ④ 맛없다( 4 )
⑤ 기타 (김치공장의 김치를 먹어본 적이 없다 50, 김치공장을 들어보지 못했다)
4. 북한사회에서는 김치가 음식생활에서 어느 정도의 비중을 차지합니까?
① 아주 중요하다( 58 ) ② 어느 정도 중요하다( 1 )
③ 그저 그렇다( ) ④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
⑤ 전혀 중요하지 않다( )
⑥ 기타(반년식량이다, 100% 중요하다, 다른 반찬이 없으므로 식량이다, 절반식량이다, 1년 양식의 50%이다, 반년식량이라 할 정도로 겨울 부식물로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5. 북한에서 가장 즐겨 먹는 김치의 종류는? (복수답변 가능)
① 통배추김치( 56 ) ② 깍두기( 33 ) ③ 오이소박이( 3 )
④ 보쌈김치( 4 ) ⑤ 물김치( 14 ) ⑥ 풋김치( 15 )
⑦ 열무김치( 3 ) ⑧ 갓김치( 20 )
⑨ 기타 (염채김치 2, 삶은 무김치, 무를 납작하고 가게 썰어 해어와 섞은 김치, 통무김치)
6. 북한에서 김치에 주로 사용하는 젓갈은? (복수답변 가능)
① 멸치젓( 21 ) ② 새우젓( 24 ) ③ 조기젓( 2 )
④ 사용하지 않는다( 2 )
⑤ 기타의 젓갈(명태 32, 청어/정어리 7, 낙지 7, 오징어 4, 문어 3, 이면수
3, 가자미 1, 잡태 2, 닭고기 삶은 물 1, 돼지고기 2, 소고기 1, 젓갈은 가공되지 않은 실물을 많이 넣는다, 김치 2독에 콩기름 500g을 넣는다, 겨울 배추김치에는 명태를 여름김치에는 멸치젓을 넣는다)
C. 남한의 김치에 대해
7. 북한김치에 비해 남한김치의 매운 맛은 어느 정도 입니까?
① 너무 맵다( 12 ) ② 매운 편이다( 22 )
③ 적당하다( 14 ) ④ 맵지 않다( 13 ) ⑤ 기타( )
8. 북한사람들의 입맛에 맞추려면 남한의 김치는 어떤 점이 고려되어야 합니 까? (복수답변 가능)
① 고추가루의 양을 줄여야 한다( 23 )
② 젓갈의 양을 줄여야 한다( 8 )
③ 국물의 양을 늘여야 한다( 6 )
④ 마늘의 양을 줄여야 한다( 6 )
⑤ 기타 (시글해 쨍한 맛이 없다 혹은 시원하지 않다 16, 단맛이 많다 3, 맛이 없고 시다 3, 생큼한 맛이 없다, 고춧가루 맛이 너무 진해 김치고 유의 맛이 없다, 젓갈이 너무 많다, 고춧가루 양과 색에 비해 매운 맛이 없다 3, 명태나 낙지를 넣어야 한다)
9. 남한의 김치가 북한에 진출하였을 때 가장 인기 있을 것 같은 김치는?(복수답변 가능)
① 통배추김치( 21 ) ② 깍두기( 19 ) ③ 오이소박이( 7 )
④ 보쌈김치( 7 ) ⑤ 물김치( 10 ) ⑥ 풋김치( 5 )
⑦ 열무김치( 1 ) ⑧ 갓김치( 5 )
⑨ 기타 (총각김치 2 , 남한김치가 신선하고 생큼한 맛이 있다면 어떤 종류의 김치라도 인기가 있을 것이다, 북한김치에는 김치소에 들어가는 부산물(무 등)이 들어가지 않아 맛이 담백하다)
참고문헌
과학백과사전출판사, 「백과전서」 (평양, 1982)
김정일, "어머니다운 심정으로 인민생활을 책임적으로 돌봐야 한다.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조직지도부 및 평양시 일군들과 한 담화 1965년 2월 15일", 「김정일선집 1」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김정일, "당을 강화하고 그 령도적 역할을 더욱 높이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군 및 도당책임비서들과 한 담화 1989년 6월 9일", 「김정일선집 9」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7)
김정일, "경공업혁명을 철저히 수행할데 대하여. 전국경공업대회 참가자들에게 보낸 서한 1990년 6월 2일", 「김정일선집 10」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7)
김정일, "인민생활을 더욱 높일데 대하여.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군협의회에서 한 연설 1984년 2월 16일", 「김정일선집 8」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8)
김정일, "일심단결을 더욱 강화하며 조선민족 제일주의정신을 높이 발양시키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 일군들과 한 담화 1992년 2월 4일", 「김정일선집 13」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8)
김정일, "올해를 강성대국건설의 위대한 전환의 해로 빛내이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 「김정일선집 14」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2000)
사회과학원 민속학연구실 편, 「조선민족풍습」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0)
송주은, 「김치의 냉장 및 냉동저장에 따른 품질 변화」 (영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6)
「조선료리」, 1호 및 2호(평양: 조선료리협회 전국리사회 기관잡지, 1993)
주영하, 「김치. 한국인의 먹거리」 (서울: 도서출판 공간, 1994)
추천자료
[북한핵문제][북핵문제][한반도정책][대북정책][대남전략]북한핵문제(북핵문제)에 따른 한반...
[정책변동][정책변화][정책변동(정책변화) 사례][정책혁신]정책변동(정책변화)의 개념정립, ...
[북한의 관혼상제][북한의 교육제도][북한의 교사양성][북한의 금융제도(은행체계)][북한의 ...
[북한][북한의 노동정책][북한의 환경정책][북한의 화폐][북한의 금융제도][북한의 사회복지...
[북한경제개혁][북한경제][북한의 경제][북한경제정책][북한개방화]북한경제개혁의 배경과 의...
[문화행정][문화정책][문화행정 사례]문화행정(문화정책)의 특징, 문화행정(문화정책)의 중요...
정보화와 한국인의 의식변화
북한어(북한말, 북한언어, 문화어) 의의, 북한어(북한말, 북한언어, 문화어) 발달, 북한어(북...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 역사와 정의,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 특징, 북...
[대학생,대학생인식,대학문화]대학생의 노화에 대한 인식, 대학생의 취업의식, 대학생의 전자...
[북한 문학예술][북한 문학예술의 이론][문학중심문예]북한 문학예술의 개념, 북한 문학예술...
역사적 과정에서 우리의 사회의식은 어떤 변화를 겪어 왔는지를 ‘철학의 빈곤’과 ‘정체성의 ...
[관료, 관료 사회의식, 관료 조직문화, 관료 대응행태, 관료 부패, 관료 병리현상]관료의 사...
[북한IT(정보기술), 북한IT(정보기술) 육성, 북한IT(정보기술) 인프라, 북한IT(정보기술)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