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천무 속의 민중과 역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비천무(飛天舞)의 줄거리와 역사적 배경
2. 비천무(飛天舞) 속의 민중의 모습들
2.1 한(漢)
2.2 고려(高麗)
2.3 여인들
3. 비천무(飛天舞) 속의 민중과 역사
3.1 민중을 무시한 자에겐 패권도 없으니...
3.2 민중이 일궈낸 역사

III.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배부르게 먹고 느긋해지며
붉은 디를 두른 이는 모두 고관들, 술에 취해 신명이 난다.
자주색 술을 단 이는 모두 장군.
올해 강남은 크게 가물어
당당히 군중에 가서 연회를 베풀려 구주에서는 사람이 사람을 먹는다네
말이 구름처럼 달려간다.
- 백거이의 경비-
이렇듯 민중의 고초는 심했다. 그러나 민중들은 이 어려움에 주저앉지 않고 항상 다시 일어설 기회를 찾았다. 홍건적의 난이 일고, 주원장이 명나라를 건립 할 수 있었던 것은 모두 그만큼 민중이 바라고 있었던 일이었기에 그들이 참여하고 지지해서 성공할 수 있는 일들이었다.
III. 결론
역사는 민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아무리 좋은 지도자가 나서서 역사를 이루어내려 한들 민중의 뒷받침이 없어서는 그들은 성공 할 수 없다. 많은 경우 역사는 한 명의 훌륭한 지도자로만 이루어진 듯 한 인상을 풍긴다. 고려의 왕건, 삼국지의 유비, 프랑스의 나폴레옹 등등. 사람들은 모두 그 역사적 사건 속의 한 중심 인물에 의해서만 역사는 이루어지고 있다는 듯 말한다. 이것은 아마 역사의 기록은 항상 학자들 또는 지식인들, 즉 한 사회 내의 지배층들에 의해 기록이 되었기 때문일 수도 있다. 지배층도 피지배층도 없는 평등 사회를 부르짖는 오늘 역사의 초점은 변해야 한다. 이제는 영웅이 아닌 민중의 관점에서 역사는 읽혀져야 한다.
<참고 문헌 및 Internet Site>
김혜린, 비천무, 서울: 추성사, 1993.
김희영, 이야기 중국사, 서울: 청아출판사, 1988.
http://kr.encycl.yahoo.com
http://kr.kordic.yahoo.com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12.10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37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