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순화를 위한 번역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순화를 위한 번역에 대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번역투의 개념

3. 번역투의 순기능과 역기능
(1)동사를 그대로 번역한 형식
(2) ‘-에 있어, -에 있어서’
(3)‘-에 관(關)해, -에 대(對)하여’
(4)‘-해 왔다, -되어 왔다, ~ 있어 왔다’
(5)피동문 형식

5. 맺음말

본문내용

것 자체가 민족사와 세계사에 남을 만한 뜻이 있다.
13)수상자가 정치적으로 스포츠적으로 세계적인 거물급으로 압축되었다.
→수상자가 정치인으로나 체육인으로서 세계에 알려진 거물급으로 압축되었다.
5. 맺음말
무분별한 번역투의 확산을 막으려면 무엇보다 모국어를 지키려는 번역가의 주체 의식이 확고하게 정립되어 있어야 한다. 단어와 문자를 있는 그대로 옮기는 ‘단어적 번역’을 지양하고, 문맥을 고려한 번역을 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독자도 불필요한 번역투가 넘쳐나는 텍스트를 엄중히 감시해야 하며 일상생활에서 번역투를 사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일제시대 일본이 조선의 민족의식을 약화시키기 위해 국어사용을 억압했듯이 언어는 그 민족의 정체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 그러므로 국어를 바르게 사용해야 민족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다. 더구나 한글처럼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뛰어난 언어를 우리가 자부심을 갖고 앞장서서 지켜나가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참고 문헌>
이오덕, 우리글 바로쓰기 2, 한길사, 1992.
연세대학교 번역문학 연구소, 번역문학,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0.
이근희, 이근희의 번역산책 - 번역투에서 번역의 전략까지, 한국문화사, 2005.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12.15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56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