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민사회와 NPO/NGO의 발전
1. 지구촌 시민사회의 확대
2. 지구촌 시민사회의 확대 현황
2. 한국의 시민사회
2. 시민사회와 NGO: 이론적 개념
1. 시민사회 사상사
2. 시민사회와 NGO: 이론적 개념
3. UN, 글로벌 시민사회와 NGO
1. 글로벌 시민사회의 확대
2. 글로벌 시민사회의 역사 (주성수, NGO란 무엇인가, p54-)
3. UN과 NGO 파트너쉽
4. 국제 사회에서 NGO의 일반적인 역할(Simmons, 1998)
1. 지구촌 시민사회의 확대
2. 지구촌 시민사회의 확대 현황
2. 한국의 시민사회
2. 시민사회와 NGO: 이론적 개념
1. 시민사회 사상사
2. 시민사회와 NGO: 이론적 개념
3. UN, 글로벌 시민사회와 NGO
1. 글로벌 시민사회의 확대
2. 글로벌 시민사회의 역사 (주성수, NGO란 무엇인가, p54-)
3. UN과 NGO 파트너쉽
4. 국제 사회에서 NGO의 일반적인 역할(Simmons, 1998)
본문내용
이후 1939년까지 700개로 증가
배경: 중산층 시민영역의 확대, 각종 소사이어티 출현, 국제진출 활발
2) 전환기: 20세기 초와 국제연맹
- 최초의 국제 NGO 연합체 국제조직중앙사무국 창설 (1908), 세계총회 (1910)
-> 국제연맹연맹 (UIA)으로 발전, 국제연맹 창설 지원
- 국제제도연합 (FII) 창설 (1929) -> 국제연맹 관심범위 확대 기여
3) 발전기: 20세기 중반과 UN
- 2차세계대전중 역할 제한: UN 선언 및 조직과정에 참여 못해
- 1945년 4월 샌프란시스코 50개국 회담: UN 창설 회의에서 NGO 압력
- NGO 및 노조들의 꾸준한 압력-> UNESCO, ILO 등의 관심사에 집중;
결국 경제사회이사회 (ECOSOC)에 반영, “협의” (consultation) 자격으로 참여
(UN헌장 71조); 다만 NGO에 대한 정의 없이 포괄적 수용; 각 산하 기구들이
자체적으로 인정, 포함토록
3. UN과 NGO 파트너쉽
1) UN-NGO 관계의 역사
ECOSOC의 협의자격 NGO: 1948년 41개 -> 1968년 377개 -> 1998년 1,350개
UN NGO포럼 참가 수: 리우환경회의 (1992) 1,420개 -> 비엔나 인권회의 (1993) 841개
-> 코펜하겐 사회개발정상회의 (1995) 2,300개 -> 북경 여성회의
(1995) 4,000개 등
ECOSOC 산하에 CONGO (NGO위원회) 둠 - 19개국 회원국 조직;
(Conference On NGO) - ECOSOC과의 협의적 지위를 가진 NGO협의체
2) UN-NGO제도적 관계
(1) ECOSOC (경제사회이사회) - 1968년 결의안 채택; 아젠다 NGO에 사전 회람토록 조치
<1> 제1부류 (Category I) ‘일반적 협의’ 지위 (general consultation status)
- 1997년 현재 70개 NGO 가입
- 산하 11개 위원회 (인권, 여성지위, 사회개발 등)에 의제 제안, 회의 출석 발언,
- 국제로터리, 국제표준화기구- 한국의 굿네이버스 (1996) 가입
<2> 제2부류 (Category II): ‘특별협의’ 지위 (special consultation status)
- 1997년 현재 488개 가입
- 인권, 환경 등 특정분야에 관심; 의제 제출권은 없음, 그러나 출석 발언, 의견서
제출은 가능
- 엠네스티, YMCA,- 한국은 밝은사회국제본부 (1997), 경실련 등
<3> 제3부류 (Category III): 로스터 NGO
- 1997년 현재 아시아 태평양 청년연합 등 646개 NGO가 가입
- 명부 (roster)에 속하는 NGO - 소위 UN 등록 NGO
- UN 초청을 받아 회의 출석, 의견서 제출 가능
(2) UN-DPI (UN 공보국)
UN 조직: CONGO (ECOSOC 산하)/ NGO Unit (UN 사무국 산하)
/ UN-DPI (UN 산하)
- 1946년 신설; UN 정보를 전파 및 NGO 지원; 뉴스레터, 브리핑, 오리엔테이션 등등
- 1997년 현재 1,500개의 NGO가 DPI와 공식적 관계
4. 국제 사회에서 NGO의 일반적인 역할(Simmons, 1998)1) 의제설정역할- 국제사회의 주요 관심사가 되는 문제에 대한 국제여론의 조성 혹은 공론화의 과정. (ex> 대인지뢰금지활동)2) 국제적인 협력창출의 역할-새로운 국제조약이나 협약을 창출하는데 기여. (ex>인권협약)3) 정당성부여의 역할-공론화와 대중적인 지지동원을 통해 정부나 국제기구의 결정 및 활동에 정당성을 부여함으로써 그 실효성의 증대4) 문제해결의 역할- 난민, 기어, 빈곤퇴치, 개발원조, 환경 및 인권 감시 등의 역할
배경: 중산층 시민영역의 확대, 각종 소사이어티 출현, 국제진출 활발
2) 전환기: 20세기 초와 국제연맹
- 최초의 국제 NGO 연합체 국제조직중앙사무국 창설 (1908), 세계총회 (1910)
-> 국제연맹연맹 (UIA)으로 발전, 국제연맹 창설 지원
- 국제제도연합 (FII) 창설 (1929) -> 국제연맹 관심범위 확대 기여
3) 발전기: 20세기 중반과 UN
- 2차세계대전중 역할 제한: UN 선언 및 조직과정에 참여 못해
- 1945년 4월 샌프란시스코 50개국 회담: UN 창설 회의에서 NGO 압력
- NGO 및 노조들의 꾸준한 압력-> UNESCO, ILO 등의 관심사에 집중;
결국 경제사회이사회 (ECOSOC)에 반영, “협의” (consultation) 자격으로 참여
(UN헌장 71조); 다만 NGO에 대한 정의 없이 포괄적 수용; 각 산하 기구들이
자체적으로 인정, 포함토록
3. UN과 NGO 파트너쉽
1) UN-NGO 관계의 역사
ECOSOC의 협의자격 NGO: 1948년 41개 -> 1968년 377개 -> 1998년 1,350개
UN NGO포럼 참가 수: 리우환경회의 (1992) 1,420개 -> 비엔나 인권회의 (1993) 841개
-> 코펜하겐 사회개발정상회의 (1995) 2,300개 -> 북경 여성회의
(1995) 4,000개 등
ECOSOC 산하에 CONGO (NGO위원회) 둠 - 19개국 회원국 조직;
(Conference On NGO) - ECOSOC과의 협의적 지위를 가진 NGO협의체
2) UN-NGO제도적 관계
(1) ECOSOC (경제사회이사회) - 1968년 결의안 채택; 아젠다 NGO에 사전 회람토록 조치
<1> 제1부류 (Category I) ‘일반적 협의’ 지위 (general consultation status)
- 1997년 현재 70개 NGO 가입
- 산하 11개 위원회 (인권, 여성지위, 사회개발 등)에 의제 제안, 회의 출석 발언,
- 국제로터리, 국제표준화기구- 한국의 굿네이버스 (1996) 가입
<2> 제2부류 (Category II): ‘특별협의’ 지위 (special consultation status)
- 1997년 현재 488개 가입
- 인권, 환경 등 특정분야에 관심; 의제 제출권은 없음, 그러나 출석 발언, 의견서
제출은 가능
- 엠네스티, YMCA,- 한국은 밝은사회국제본부 (1997), 경실련 등
<3> 제3부류 (Category III): 로스터 NGO
- 1997년 현재 아시아 태평양 청년연합 등 646개 NGO가 가입
- 명부 (roster)에 속하는 NGO - 소위 UN 등록 NGO
- UN 초청을 받아 회의 출석, 의견서 제출 가능
(2) UN-DPI (UN 공보국)
UN 조직: CONGO (ECOSOC 산하)/ NGO Unit (UN 사무국 산하)
/ UN-DPI (UN 산하)
- 1946년 신설; UN 정보를 전파 및 NGO 지원; 뉴스레터, 브리핑, 오리엔테이션 등등
- 1997년 현재 1,500개의 NGO가 DPI와 공식적 관계
4. 국제 사회에서 NGO의 일반적인 역할(Simmons, 1998)1) 의제설정역할- 국제사회의 주요 관심사가 되는 문제에 대한 국제여론의 조성 혹은 공론화의 과정. (ex> 대인지뢰금지활동)2) 국제적인 협력창출의 역할-새로운 국제조약이나 협약을 창출하는데 기여. (ex>인권협약)3) 정당성부여의 역할-공론화와 대중적인 지지동원을 통해 정부나 국제기구의 결정 및 활동에 정당성을 부여함으로써 그 실효성의 증대4) 문제해결의 역할- 난민, 기어, 빈곤퇴치, 개발원조, 환경 및 인권 감시 등의 역할
추천자료
[사회복지][지역사회복지][영국][일본][한국]영국, 일본,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와 지역사회복...
시민단체의 정의와 역할
새행정학 요약
한국 시민사회와 서구 시민사회의 차이점
[재정자립과 상업화] 자우너섹터 실패론, 정부용역 경계론, 사적 민주주의론, 시민참여 부재론
[시민사회의 이념적 시각] 헤프너-재노스키, 월저-디킨, 하이든-반틸, 에드워즈-폴리의 분류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
국가, 시장, 시민사회) 제 3섹터로서의 시민사회, 3대 섹터 메카니즘 비교
다원주의와 사회운동, 시민사회의 이론적 논의의 다양성
사회발전 파트너십 전략) 지역사회 이해당사자 모델과 사회발전 파트너십
[주택][노인주택][주택정책][노인주택 개념][노인주택 현황][노인주택 문제점][노인주택 개선...
[시민사회론, 시민사회론 발전, 시민사회론 재등장, 시민사회론 공화주의]시민사회론의 발전,...
일본의 시민단체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