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What is the U-Learning?
※ U-Learning 의 특징?
※ U-Learning 의 특징?
본문내용
떡잎 식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조사하고 차이점을 익히며 식물의 구조에 대해 학습한다.
☞ 참여 준비와 참여 시기를 자율적 으로 결정하게 하여 각자의 책임 의식과 참여도를 증진시키도록 한다.
☞ 속성 열거법(attribute listing) 을 통하여 관찰할 식물의 다양한 특징을 목록으로 작성하여 세 분된 각각의 특징에 주의를 돌리고 각각의 특징을 분석하 면서 그 특징에 대한 집중적 인 생각을 통하여 탐색 과정 을 거친다.
실무적 능력
직접 관찰할 식물들을 선정하고, 관찰시 어떠한 u기기들이 필요한지 결정한다. 체험장소에 가기위해 준비할 사항들을 점검하고 결정한 뒤에 피드백을 받는다.
독자적
학습능력
체험주제와 관련된 자료를 찾아서 커뮤니티에 올리고, 주제에 대한 자신의 주요 관심사를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현장 체험 준비과정에서 앞으로 직접 체험할 행동들에 대해서 개방적인 자세를 가지고, 편견을 가지지 않고 받아들이는 수용적인 태도를 가진다.
팀작업 및
의사소통능력
팀원들 각자 커뮤니티에 올라온 자료들을 검토하고 토의하여 주제와 연관된 자료들에 대해 공유한다.
관찰할 식물 선정 : 쌍떡잎 식물 => 명아주, 철쭉 등
외떡잎 식물 => 강아지 풀, 수선화 등
준비할 U기기 : PDA, TPC 등
현장체험
학습활동
전공능력
수집한 식물의 종류를 일정한 기준에 의해 분류하여 정보를 저장한다.
(외떡잎 식물과 쌍떡잎 식물의 비교)
분류된 식물의 잎, 줄기, 뿌리의 모양, 형성층의 유무를 각각 조사한다.
☞ 현장 체험학습 활동을 하면서 자 신의 주요 관심사를 스스로 파악 하여 학습하며, 본질적 의미를 구 하려고 노력한다.
☞ 시네틱스 기법을 통해 친숙한 것 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던 것을 친밀한 것으로 받아들이 는 경험을 통해서 사고에서의 민감성을 증진 시킨다.
실무적 능력
여러 가지 식물을 관찰하고 사진, 동영상으로 찍고 RFID에 저장된 정보 수집.
수집된 정보를 기준에 맞게 분류하여 정리한다.(Documentation 능력 함양)
독자적
학습능력
스스로 식물종류를 분류하여 정보를 저장하고 가상안내원을 통해 식물의 내부 구조와 기능을 학습한다.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체험 활동 도중 호기심이 생겼을 경우 아이디어에 대해 평가하기 보다는 그 아이디어를 존중하여 다른 팀원들과 토의 하거나, 교사에게 질문한다.
팀작업 및
의사소통능력
모둠원끼리 실시간 의견을 교환하면서, 해결되지 않는 부분은 메신저로 교사와 질의 응답한다.
체험정리 및 평가
전공능력
쌍떡잎 식물과 외떡잎 식물의 비교, 식물의 잎, 줄기, 뿌리의 기능을 관찰을 토대로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이해한다.
☞ 체험 정리 및 평가를 하면서 완 성된 e-포트폴리오를 직접적인 교 사 및 동료의 평가보다 다른 것과 비교하게 하여 스스로의 평가에 좀 더 비중을 두게 하여, 자율적인 사고와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고 취시키도록 한다.
실무적 능력
위의 정리한 것을 토대로 체계적으로 e-포트폴리오를 작성하고 커뮤니티에 올린다.
독자적
학습능력
e-포트폴리오를 작성하면서 자신이 독자적으로 학습한 것도 따로 공간을 만들어 작성하고, 다른 모둠의 e-포트폴리오 자료를 이용하면서 식물의 구조를 확인하고 개념을 정리한다.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학습자 스스로 평가하여 잘된 부분과 아쉬운 부분을 찾아내며, 아울러 자신감과 성취감을 고취시킨다.
팀작업 및
의사소통능력
다른 장소를 선택한 모둠끼리 e-포트폴리오를 바꾸어 서로 평가하면서 평가지를 기록한다. (다른 모둠의 e-포트폴리오를 통해 자신의 모둠 결과를 반성하고 잘못 이해한 부분은 수정하여 개념 정리 : 반영적 사고)
체험의 확장
전공능력
식물의 구조와 기능에 관해 학습한 내용을 일반화 및 적용시킨다.
☞ 직접 체험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완전히 자기 것으로 만들고 그 내용을 보다 차원이 높은 주제에 스스로 적용학습하며 도전해보도 록 한다.
실무적 능력
일반화 및 적용시킨 내용을 완전히 습득하여 실재에 적용하며 아울러 모둠원들에게 전달한다.
독자적
학습능력
개별적으로 증강현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신만의 학습내용을 일반화 시키고 보충할 내용을 찾아본다.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학습자로 하여금 다양한 팀 활동을 통해서 얻은 내용을 자기 나름대로 새롭고 독특하게 결합해본다.
팀작업 및
의사소통능력
모둠원끼리 메신저로 의견을 교환하며 개념을 일반화하고 의문점은 교사에게 질문하여 해결 방안을 얻는다.
- The End -
☞ 참여 준비와 참여 시기를 자율적 으로 결정하게 하여 각자의 책임 의식과 참여도를 증진시키도록 한다.
☞ 속성 열거법(attribute listing) 을 통하여 관찰할 식물의 다양한 특징을 목록으로 작성하여 세 분된 각각의 특징에 주의를 돌리고 각각의 특징을 분석하 면서 그 특징에 대한 집중적 인 생각을 통하여 탐색 과정 을 거친다.
실무적 능력
직접 관찰할 식물들을 선정하고, 관찰시 어떠한 u기기들이 필요한지 결정한다. 체험장소에 가기위해 준비할 사항들을 점검하고 결정한 뒤에 피드백을 받는다.
독자적
학습능력
체험주제와 관련된 자료를 찾아서 커뮤니티에 올리고, 주제에 대한 자신의 주요 관심사를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현장 체험 준비과정에서 앞으로 직접 체험할 행동들에 대해서 개방적인 자세를 가지고, 편견을 가지지 않고 받아들이는 수용적인 태도를 가진다.
팀작업 및
의사소통능력
팀원들 각자 커뮤니티에 올라온 자료들을 검토하고 토의하여 주제와 연관된 자료들에 대해 공유한다.
관찰할 식물 선정 : 쌍떡잎 식물 => 명아주, 철쭉 등
외떡잎 식물 => 강아지 풀, 수선화 등
준비할 U기기 : PDA, TPC 등
현장체험
학습활동
전공능력
수집한 식물의 종류를 일정한 기준에 의해 분류하여 정보를 저장한다.
(외떡잎 식물과 쌍떡잎 식물의 비교)
분류된 식물의 잎, 줄기, 뿌리의 모양, 형성층의 유무를 각각 조사한다.
☞ 현장 체험학습 활동을 하면서 자 신의 주요 관심사를 스스로 파악 하여 학습하며, 본질적 의미를 구 하려고 노력한다.
☞ 시네틱스 기법을 통해 친숙한 것 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던 것을 친밀한 것으로 받아들이 는 경험을 통해서 사고에서의 민감성을 증진 시킨다.
실무적 능력
여러 가지 식물을 관찰하고 사진, 동영상으로 찍고 RFID에 저장된 정보 수집.
수집된 정보를 기준에 맞게 분류하여 정리한다.(Documentation 능력 함양)
독자적
학습능력
스스로 식물종류를 분류하여 정보를 저장하고 가상안내원을 통해 식물의 내부 구조와 기능을 학습한다.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체험 활동 도중 호기심이 생겼을 경우 아이디어에 대해 평가하기 보다는 그 아이디어를 존중하여 다른 팀원들과 토의 하거나, 교사에게 질문한다.
팀작업 및
의사소통능력
모둠원끼리 실시간 의견을 교환하면서, 해결되지 않는 부분은 메신저로 교사와 질의 응답한다.
체험정리 및 평가
전공능력
쌍떡잎 식물과 외떡잎 식물의 비교, 식물의 잎, 줄기, 뿌리의 기능을 관찰을 토대로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이해한다.
☞ 체험 정리 및 평가를 하면서 완 성된 e-포트폴리오를 직접적인 교 사 및 동료의 평가보다 다른 것과 비교하게 하여 스스로의 평가에 좀 더 비중을 두게 하여, 자율적인 사고와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고 취시키도록 한다.
실무적 능력
위의 정리한 것을 토대로 체계적으로 e-포트폴리오를 작성하고 커뮤니티에 올린다.
독자적
학습능력
e-포트폴리오를 작성하면서 자신이 독자적으로 학습한 것도 따로 공간을 만들어 작성하고, 다른 모둠의 e-포트폴리오 자료를 이용하면서 식물의 구조를 확인하고 개념을 정리한다.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학습자 스스로 평가하여 잘된 부분과 아쉬운 부분을 찾아내며, 아울러 자신감과 성취감을 고취시킨다.
팀작업 및
의사소통능력
다른 장소를 선택한 모둠끼리 e-포트폴리오를 바꾸어 서로 평가하면서 평가지를 기록한다. (다른 모둠의 e-포트폴리오를 통해 자신의 모둠 결과를 반성하고 잘못 이해한 부분은 수정하여 개념 정리 : 반영적 사고)
체험의 확장
전공능력
식물의 구조와 기능에 관해 학습한 내용을 일반화 및 적용시킨다.
☞ 직접 체험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완전히 자기 것으로 만들고 그 내용을 보다 차원이 높은 주제에 스스로 적용학습하며 도전해보도 록 한다.
실무적 능력
일반화 및 적용시킨 내용을 완전히 습득하여 실재에 적용하며 아울러 모둠원들에게 전달한다.
독자적
학습능력
개별적으로 증강현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신만의 학습내용을 일반화 시키고 보충할 내용을 찾아본다.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학습자로 하여금 다양한 팀 활동을 통해서 얻은 내용을 자기 나름대로 새롭고 독특하게 결합해본다.
팀작업 및
의사소통능력
모둠원끼리 메신저로 의견을 교환하며 개념을 일반화하고 의문점은 교사에게 질문하여 해결 방안을 얻는다.
- The End -
키워드
추천자료
의사소통장애(communication disorder)
의사소통 가족치료이론
의사소통 가족치료이론
의사소통에 대한 총체적 분석
의사소통 장애아 교육에 대한 ppt 자료
의사소통원칙과 과정의 중요성에 대해서 서술
의사소통장애
의사소통장애 정의, 분류, 특성, 원인, 진단, 치료, 교육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 (아랍어 교육에의 적용) [7차 교육과정에서 생활 외국어]
의사소통에 방해를 가져오는 언어적, 비언어적 요소는 어떤 것이 있는지 토론.
의사소통에 실패한 경우 혹은 본인이 아니어도 둘 간의 대화에서 실패한 장면의 사례를 축어...
의사소통 장애 - 유아특수교육특론
의사소통 유형 개념과 그 유형(회피형, 초이성형, 산만형, 일치형)에 대해 각각 설명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