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목차
만 5세 20명 1학기와 2학기 유아관찰일지+해석
본문내용
흙이 진흙이 됐어요”라고 말한다. 손으로 살짝 만져본 뒤 “촉촉하고 말랑말랑해요. 햇빛 있으면 말라요”라고 흙의 상태 변화를 이야기한다. 다른 장소의 마른 흙을 비교하며 “이건 부서져요. 물 없으면 이렇게 돼요”라고 직접 관찰한 차이를 언어화한다.
종합해석
신체활동에서 자기 몸의 움직임을 인지하며 도전하고, 감각적인 반응도 언어로 구체화하려는 경향을 보입니다. 의사소통에서는 이야기 속 상황을 공감적으로 해석하고, 자신의 상상을 담아 창의적인 언어로 표현합니다. 사회관계 영역에서는 친구의 아이디어를 존중하고 자신이 할 수 있는 역할을 찾아 협력적인 놀이를 형성합니다. 예술경험에서는 시각적 요소와 상상을 결합하여 섬세하게 표현하고, 자신이 만든 표현물에 내러티브를 부여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2학기 유아 관찰일지
교사
원장
이름
000
성별
0
생년월일
년 월 일(만 5세)
표준보육과정
관련영역
관찰일
관찰내용
신체운동건강
/
계단형 평균대 위를 걸으며 양팔을 벌리고 천천히 이동한다. 중간에서 중심을 잃고 멈춘 뒤 “여기 바람이 불어서 그래요”라고 말하며 잠시 기다렸다가 다시 걷는다. 다리를 반쯤 내딛으며 “발끝으로 먼저 눌러야 돼요”라고 혼잣말을 하며 균형을 잡는다. 평균대에서 내려온 후 “이번에는 뒤로도 걸어볼래요”라고 말하며 도전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의사소통
/
동시 듣기 활동 중,“이 시는 바람이 노래 부르는 것 같아요”라고 말하며 자신의 감상을 이야기한다. 교사가 “어떤 부분에서 그렇게 느꼈나요?”라고 묻자 “바람이 ‘후우~’ 하는 소리랑 나뭇잎이 흔들리는 부분이요”라고 장면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활동이 끝난 뒤 친구에게 “나는 이런 시 들으면 기분이 조용해져”라고 말한다.
사회관계
/
자유선택활동 시간, 그림책 코너에서 책을 고르던 친구에게 “이거 재미있어. 동물이 많이 나와”라며 자신이 본 책을 추천한다. 친구가 그 책을 가져가자 “끝나면 나도 다시 보고 싶어”라고 말하며 웃는다. 옆에 앉아 함께 보기를 권하며 “이 장면은 내가 제일 좋아해”라고 공유하고, 친구가 질문하자 “응, 여긴 숲속이라서 곰이 나와요”라고 친절히 설명한다.
예술경험
/
음률 활동 중 유아는 실로폰을 들고 “나는 이거로 비 오는 소리를 낼 수 있어요”라고 말하며 높은 음과 낮은 음을 번갈아 연주한다. 친구가 “천둥 소리도 낼 수 있어?”라고 묻자 “이건 북으로 해야 해. 소리가 쿵쿵 나니까”라고 악기의 특징을 연결해 이야기한다. 활동이 끝난 뒤 자신이 만든 소리를 “비 이야기”라고 이름 짓는다.
자연탐구
/
텃밭에 있는 식물을 관찰하던 “이파리가 조금 말라 있어요. 물이 부족한 걸까요?”라고 말하며 스스로 질문을 던진다. 손으로 흙을 만져보고 “여기는 마른 흙 같아요. 어제 비가 안 왔으니까요”라고 자신의 경험과 연결한다. 교사가 “물을 줘볼까요?”라고 하자 “그러면 내일은 다시 초록색 될 수 있어요”라고 기대를 표현한다.
종합해석
신체활동에서 자신의 움직임을 섬세하게 조절하며, 균형 잡기나 방향 전환을 스스로 탐색하는 모습이 나타납니다. 의사소통에서는 시나 동화 등 언어적 자극을 감각적으로 해석하고, 감정과 생각을 구체적으로 표현합니다. 사회관계 영역에서는 또래와의 관계에서 배려심 있게 반응하며, 자신의 감정과 경험을 자연스럽게 공유하려는 태도를 보입니다. 예술경험에서는 소리와 이미지를 활용해 상상 속 장면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며, 각 표현에 이야기를 부여하려는 특징이 관찰됩니다.
2학기 유아 관찰일지
교사
원장
이름
000
성별
0
생년월일
년 월 일(만 5세)
표준보육과정
관련영역
관찰일
관찰내용
신체운동건강
/
바깥놀이 시간에 공을 벽에 던져 튕겨 나오는 공을 손으로 받아내는 놀이를 반복한다. “한 손으로 받아볼게요”라며 공을 놓치고도 다시 시도하고, 양손으로 성공했을 때는 “이건 더 쉬워요”라고 말한다. 여러 번 시도 후, 발로 차서 다시 던지는 방식으로 놀이를 변형하며 “이건 축구랑 야구 섞은 놀이예요”라고 새로운 규칙을 만든다.
의사소통
/
동화 듣기 활동 중 교사가 “다음에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요?”라고 질문하자 “곰이 길을 잃은 것 같아요. 그래서 울고 있어요”라고 자신의 해석을 말한다. 이야기 전개 중 등장인물의 대사에 따라 말투를 흉내 내며 “이건 화난 거예요. 목소리가 커요”라고 감정을 파악한다. 활동이 끝난 뒤 “이 책은 집에 가는 이야기라서 좀 슬퍼요”라고 감상을 말한다.
사회관계
/
블록 쌓기 활동 중 자신이 만든 높은 건물을 보고 “이건 전망대예요. 멀리까지 보여요”라고 이야기한다. 친구가 근처에 도로를 만들자 “그럼 여기에 차가 다니게 해요. 사고 안 나게 신호등도 만들어요”라고 제안한다. 함께 신호등을 구성하며 “초록불이면 출발, 빨간불이면 멈춰요”라고 놀이 규칙을 공유한다. 친구가 규칙을 잘 지키자 “잘했어요. 운전 잘하네요”라고 칭찬한다.
예술경험
/
음악활동 시간, 북과 탬버린을 번갈아 연주하며 “이건 사자가 나올 때 소리예요. 탁탁탁! 무서워요”라고 이야기한다. 곡의 리듬이 빨라지자 “이제 도망가는 소리예요”라고 이야기 흐름에 따라 연주 방법을 바꾼다. 연주가 끝난 뒤 친구에게 “이 소리 들으니까 진짜 숲에 간 것 같지 않아?”라고 표현한 느낌을 공유한다.
자연탐구
/
과일 관찰 활동에서 반으로 자른 사과를 보고 “씨가 안에 여러 개 있어요. 가운데에만 있어요”라고 말하며 돋보기를 들여다본다. 다른 친구가 배를 자른 것을 보고 “이건 사과랑 비슷한데, 색이 더 하얘요. 냄새도 다르고요”라고 비교한다. 관찰한 내용을 종이에 그림과 함께 기록하며 “사과 씨는 까맣고, 배 씨는 갈색 같아요”라고 말한다.
종합해석
신체활동에서 자신의 움직임을 다양한 방식으로 응용하며 놀이 규칙을 창의적으로 구성하는 특징을 보입니다. 의사소통에서는 이야기의 감정과 상황을 섬세하게 해석하고, 자신의 감상을 자연스럽게 언어로 표현합니다. 사회관계에서는 또래와의 놀이에서 규칙을 제안하고 배려하며,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놀이를 지속하려는 모습을 보입니다. 예술경험에서는 음악과 상상 이야기를 연결하여 감정의 흐름에 따라 표현을 조절하는 창의적인 태도가 나타납니다.
종합해석
신체활동에서 자기 몸의 움직임을 인지하며 도전하고, 감각적인 반응도 언어로 구체화하려는 경향을 보입니다. 의사소통에서는 이야기 속 상황을 공감적으로 해석하고, 자신의 상상을 담아 창의적인 언어로 표현합니다. 사회관계 영역에서는 친구의 아이디어를 존중하고 자신이 할 수 있는 역할을 찾아 협력적인 놀이를 형성합니다. 예술경험에서는 시각적 요소와 상상을 결합하여 섬세하게 표현하고, 자신이 만든 표현물에 내러티브를 부여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2학기 유아 관찰일지
교사
원장
이름
000
성별
0
생년월일
년 월 일(만 5세)
표준보육과정
관련영역
관찰일
관찰내용
신체운동건강
/
계단형 평균대 위를 걸으며 양팔을 벌리고 천천히 이동한다. 중간에서 중심을 잃고 멈춘 뒤 “여기 바람이 불어서 그래요”라고 말하며 잠시 기다렸다가 다시 걷는다. 다리를 반쯤 내딛으며 “발끝으로 먼저 눌러야 돼요”라고 혼잣말을 하며 균형을 잡는다. 평균대에서 내려온 후 “이번에는 뒤로도 걸어볼래요”라고 말하며 도전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의사소통
/
동시 듣기 활동 중,“이 시는 바람이 노래 부르는 것 같아요”라고 말하며 자신의 감상을 이야기한다. 교사가 “어떤 부분에서 그렇게 느꼈나요?”라고 묻자 “바람이 ‘후우~’ 하는 소리랑 나뭇잎이 흔들리는 부분이요”라고 장면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활동이 끝난 뒤 친구에게 “나는 이런 시 들으면 기분이 조용해져”라고 말한다.
사회관계
/
자유선택활동 시간, 그림책 코너에서 책을 고르던 친구에게 “이거 재미있어. 동물이 많이 나와”라며 자신이 본 책을 추천한다. 친구가 그 책을 가져가자 “끝나면 나도 다시 보고 싶어”라고 말하며 웃는다. 옆에 앉아 함께 보기를 권하며 “이 장면은 내가 제일 좋아해”라고 공유하고, 친구가 질문하자 “응, 여긴 숲속이라서 곰이 나와요”라고 친절히 설명한다.
예술경험
/
음률 활동 중 유아는 실로폰을 들고 “나는 이거로 비 오는 소리를 낼 수 있어요”라고 말하며 높은 음과 낮은 음을 번갈아 연주한다. 친구가 “천둥 소리도 낼 수 있어?”라고 묻자 “이건 북으로 해야 해. 소리가 쿵쿵 나니까”라고 악기의 특징을 연결해 이야기한다. 활동이 끝난 뒤 자신이 만든 소리를 “비 이야기”라고 이름 짓는다.
자연탐구
/
텃밭에 있는 식물을 관찰하던 “이파리가 조금 말라 있어요. 물이 부족한 걸까요?”라고 말하며 스스로 질문을 던진다. 손으로 흙을 만져보고 “여기는 마른 흙 같아요. 어제 비가 안 왔으니까요”라고 자신의 경험과 연결한다. 교사가 “물을 줘볼까요?”라고 하자 “그러면 내일은 다시 초록색 될 수 있어요”라고 기대를 표현한다.
종합해석
신체활동에서 자신의 움직임을 섬세하게 조절하며, 균형 잡기나 방향 전환을 스스로 탐색하는 모습이 나타납니다. 의사소통에서는 시나 동화 등 언어적 자극을 감각적으로 해석하고, 감정과 생각을 구체적으로 표현합니다. 사회관계 영역에서는 또래와의 관계에서 배려심 있게 반응하며, 자신의 감정과 경험을 자연스럽게 공유하려는 태도를 보입니다. 예술경험에서는 소리와 이미지를 활용해 상상 속 장면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며, 각 표현에 이야기를 부여하려는 특징이 관찰됩니다.
2학기 유아 관찰일지
교사
원장
이름
000
성별
0
생년월일
년 월 일(만 5세)
표준보육과정
관련영역
관찰일
관찰내용
신체운동건강
/
바깥놀이 시간에 공을 벽에 던져 튕겨 나오는 공을 손으로 받아내는 놀이를 반복한다. “한 손으로 받아볼게요”라며 공을 놓치고도 다시 시도하고, 양손으로 성공했을 때는 “이건 더 쉬워요”라고 말한다. 여러 번 시도 후, 발로 차서 다시 던지는 방식으로 놀이를 변형하며 “이건 축구랑 야구 섞은 놀이예요”라고 새로운 규칙을 만든다.
의사소통
/
동화 듣기 활동 중 교사가 “다음에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요?”라고 질문하자 “곰이 길을 잃은 것 같아요. 그래서 울고 있어요”라고 자신의 해석을 말한다. 이야기 전개 중 등장인물의 대사에 따라 말투를 흉내 내며 “이건 화난 거예요. 목소리가 커요”라고 감정을 파악한다. 활동이 끝난 뒤 “이 책은 집에 가는 이야기라서 좀 슬퍼요”라고 감상을 말한다.
사회관계
/
블록 쌓기 활동 중 자신이 만든 높은 건물을 보고 “이건 전망대예요. 멀리까지 보여요”라고 이야기한다. 친구가 근처에 도로를 만들자 “그럼 여기에 차가 다니게 해요. 사고 안 나게 신호등도 만들어요”라고 제안한다. 함께 신호등을 구성하며 “초록불이면 출발, 빨간불이면 멈춰요”라고 놀이 규칙을 공유한다. 친구가 규칙을 잘 지키자 “잘했어요. 운전 잘하네요”라고 칭찬한다.
예술경험
/
음악활동 시간, 북과 탬버린을 번갈아 연주하며 “이건 사자가 나올 때 소리예요. 탁탁탁! 무서워요”라고 이야기한다. 곡의 리듬이 빨라지자 “이제 도망가는 소리예요”라고 이야기 흐름에 따라 연주 방법을 바꾼다. 연주가 끝난 뒤 친구에게 “이 소리 들으니까 진짜 숲에 간 것 같지 않아?”라고 표현한 느낌을 공유한다.
자연탐구
/
과일 관찰 활동에서 반으로 자른 사과를 보고 “씨가 안에 여러 개 있어요. 가운데에만 있어요”라고 말하며 돋보기를 들여다본다. 다른 친구가 배를 자른 것을 보고 “이건 사과랑 비슷한데, 색이 더 하얘요. 냄새도 다르고요”라고 비교한다. 관찰한 내용을 종이에 그림과 함께 기록하며 “사과 씨는 까맣고, 배 씨는 갈색 같아요”라고 말한다.
종합해석
신체활동에서 자신의 움직임을 다양한 방식으로 응용하며 놀이 규칙을 창의적으로 구성하는 특징을 보입니다. 의사소통에서는 이야기의 감정과 상황을 섬세하게 해석하고, 자신의 감상을 자연스럽게 언어로 표현합니다. 사회관계에서는 또래와의 놀이에서 규칙을 제안하고 배려하며,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놀이를 지속하려는 모습을 보입니다. 예술경험에서는 음악과 상상 이야기를 연결하여 감정의 흐름에 따라 표현을 조절하는 창의적인 태도가 나타납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