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교육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응 및 직업적응에 미치는 효과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환교육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응 및 직업적응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 론

Ⅱ. 전환교육의 개념과 관련법규
1. 전환교육의 개념 및 의의
2. 전환교육 개념의 발전과 관련법규

Ⅲ.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 설계
3. 연구 도구
4. 연구 절차
5. 자료 처리

Ⅳ. 연구결과 분석
1. 대인관계 및 사회적 기술
2. 경제활동 및 사회적 기술
3. 일상생활 능력

Ⅴ.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리고, 사전보다는 중간, 중간보다는 사후의 평균이 높다. 이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15> 일상생활 능력에 대한 이원 변량 분석 결과
구 분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검정통계량
유의도
전환교육 프로그램 실시 여부(A)
2121.25
2
1060.62
3.49
.035*
성별(B)
1130.58
1
1130.58
3.72
.057†
A*B
20.19
2
10.09
.03
.967
오차
25467.39
84
303.18
합계
28995.65
89
* p < .05
분석 결과, 전환교육 프로그램 실시 여부와 성별간 단계에 따른 주효과는 5%수준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성별에는 유의차가 없다. 그리고 프로그램과 성별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전환교육 프로그램 실시 단계에 따라 일상생활능력에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대한 사후 검증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표 16> 일상생활 능력에 대한 사후 검증
Turkey\'s HSD
(I) 구분
(J) 구분
평균 차 (I-J)
유의도
사전
중간
사후
중간
사후
사전
-4.5333
-7.9000
12.4333
.574
.190
.019*
* p < .05
전환교육 프로그램실시에 따른 사후 검증 Turky\'s HSD를 실시한 결과, 사후의 점수가 높았으며, 사전의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전과 중간, 중간과 사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즉, 전환교육 프로그램은 일정한 기간이 경과되었을 때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상생활에 대한 하위 요인인 기능적인 기술과 지역사회 자원, 이동기술에 대한 분석 결과, 대체적으로 사전의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사후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어 전환교육 프로그램이 일상생활 능력에 대해서 효과를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남자의 이동기술에 대해서는 사전의 점수보다 중간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나, 사후의 점수가 사전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여자는 사전과 중간의 점수차이가 중간과 사후의 점수 차이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어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초기에 일상생활 능력이 효과가 있다 할 수 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생활중심전환교육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직업적응능력(대인관계 및 사회적 기술, 경제활동 및 사회적 기술, 일상생활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아에게 전환교육훈련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대인관계 및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는 매우 높다. 정신지체아 여자가 남자보다 성취수준이 더 높다. 프로그램 실시 시기별 비교에서는 전환교육을 일정기간 이상 실행하였을 때 사후에 가장 높은 성취수준을 보인다.
둘째, 전환교육훈련프로그램은 정신지체아의 경제활동 및 사회적 기술 향상에 매우 효과적이다. 정신지체아 성별비교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성취수준이 더 높다. 그리고 사전, 중간, 사후 시기별 비교에서는 대인관계 및 사회적 기술과 마찬가지로 사후에 가장 높은 성취수준을 보인다. 이는 전환교육프로그램은 초기단계에서는 효과를 보이지 않다가 적용기간이 길면 길수록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전환교육훈련프로그램의 정신지체아 일상생활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다. 성별비교에서 성취수준에 차이가 없고, 프로그램 적용 실시 시기별 비교에서는 사후에 가장 높은 성취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는 장기간 동안 전환교육프로그램이 실행되었을 때, 일상생활기능 즉, 기능적인 기술과 지역사회자원, 이동기술 등에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생활중심전환교육활동이 정신지체아의 직업적응능력향상에 효과적임을 입증해 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론은 생활중심 전환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를 비롯해 발달지체인들의 직업진로교육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조인수(2000). 장애인의 전환교육. 대구 : 대구대학교출판부.
조인수(2001). 전환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인의 직업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연구 제 35권
이상춘, 조인수 (1998). 정신지체아 교육. 전주: 신아출판사.
조인수 외 (1992). 장애인 직업적응을 위한 재활방법. 서울: 성원사.
조인수 (1996). 발달지체아 생활중심진로교육프로그램. 대구: 동아문화사.
조인수 (1997). 발달지체인의 직업지도. 대구: 도서출판 명성사.
조인수 (1998). 발달지체인 생활·직업재활훈련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조인수 (2000). 장애인의 전환교육. 대구: 대구대학교출판부.
조인수 (2000). 전환교육의 계획과 실행에 관한 고찰. 정신지체연구 제2집.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33-58.
Brolin, D. E. (1997). Life-Centered Career Education: A Competency-Based Approach. Reston, VA: The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Levinson, E. M. (1998). Transition: Facilitating the Post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sview Press.
McLaughlin, P. J. & Wehman, P. (1996).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exas: PRO-ED, Inc.
Sitling, P. L., Clark. G. M., & Kolstoe O. P. (2000). Transition Education: Services for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Allyn & Bacon: A Pearson Education Company.
Wehman, P. (1996). Life Beyond the classroom: Transition Strategies for Young People with Disability. Baltimore: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 가격2,7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8.12.17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76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