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20개월이 된 유아의 언어발달 특성
1) 수용 언어발달
2) 표현 언어발달
3) 어휘력
2. 언어발달 지체 유아의 특징
3. 20개월이 된 남아의 언어발달 지체를 위한 지도
1) 아이가 이해할 수 있는 낱말을 사용한다.
2) 실제적인 가정 생활과 연관된 낱말들을 활용한다.
3) 실질적인 동작이나 구체적인 사물을 활용한다.
4) 창조적인 활동을 통한 언어지도가 필요하다.
4. 20개월이 된 남아의 언어발달 지체를 위해 부모에게 조언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20개월이 된 유아의 언어발달 특성
1) 수용 언어발달
2) 표현 언어발달
3) 어휘력
2. 언어발달 지체 유아의 특징
3. 20개월이 된 남아의 언어발달 지체를 위한 지도
1) 아이가 이해할 수 있는 낱말을 사용한다.
2) 실제적인 가정 생활과 연관된 낱말들을 활용한다.
3) 실질적인 동작이나 구체적인 사물을 활용한다.
4) 창조적인 활동을 통한 언어지도가 필요하다.
4. 20개월이 된 남아의 언어발달 지체를 위해 부모에게 조언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그런데, 아동이 표현하고자 하는 것과 더불어 다른 사람의 생각이나 의도를 이해하는 능력은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곧 한계에 부딪히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동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서 언어능력이 자기 나이에 맞게 발달해 주지 않는다면 처음에는 말을 통하지 않고도 가능했던 사회적 관계형성이 점점 어려워지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처음에는 말의 문제만으로 아동의 문제를 단순하게 생각했던 많은 분들이 아동이 자라남에 따라 언어문제 때문에 야기된 2차적인 문제로 더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아동의 어려움을 부모님께서 충분히 이해하고, 아동이 심리적으로 겪고 있을 스트레스로부터 아동 스스로가 이겨낼 수 있도록 세심한 관심과 격려가 필요합니다. 몇 년에 걸친 각종 교육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유치원 생활에서도 일반 아동과는 다르게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을 보면서 때때로 부모님들은 지치기도 하고 실망하기도 하며, 심한 경우에는 더 이상의 교육을 포기하려 하기도 합니다. 혹은 반대로 부모님의 기대가 지나쳐서 너무나 많은 양의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찾아 아동을 거의 하루종일 이 기관에서 저 기관으로 데리고 다니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이런 경우, 아동들은 오히려 또래와의 관계를 적절히 형성하여 놀 수 있는 기회를 놓치는 수도 있으며, 계속되는 교육에 싫증이 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부모님들께서는 아동에게 꼭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현명하게 판단하여 아동을 도와주셔야 할 것입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언어발달이 늦은 20개월이 된 남아에 대한 교사의 역할 및 부모교육에 대해 이제껏 배운 이론을 토대로 나의 의견을 피력해 보았다. 아동이 가정이라는 사회로부터 또래집단이라는 더 큰 사회로 나아가게 됨에 따라 아동의 사회적 관계 형성에 대한 기술들은 매우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더우기 언어장애 아동에게는 또래집단에서 잘 어울린다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집단 안에서 선생님이 하시는 말씀을 듣고 이해한다는 것은 엄마와 일대일 관계에서 이해하던 언어의 세계와는 너무나 다르기 때문이다. 엄마와의 관계에서 언어를 통한 의사소통이란 늘 하는 일이나 이미 알고 있는 일의 반복이 거의 대부분인데다가, 엄마는 아동의 특성을 잘 알기 때문에 아동이 알아들을 수 있는 낱말과 문장 구조를 사용해서 아동만을 위한 표현을 하기 때문에 아동이 그것을 이해하는 데에는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더우기 일대일 대화라는 것은 아동이 그것을 잘 이해하고 있는지 아니면 엄마의 말이 너무 길거나 빠르거나 내용이 어려워서 아동이 그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지를 엄마가 이야기하는 동안에 금방 알아챌 수 있으므로, 이야기하는 동안에 아동의 반응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아무리 유능한 유치원 선생님이 말씀을 하신다고 해도 그것이 여러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이야기일 경우에는 언어의 이해와 표현이 또래 아동보다 떨어지는 언어지체 아동으로서는 계속되는 이야기의 내용을 이해하기가 어려울 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또한, 일대일의 대화에서보다 주의집중이 떨어지게 되며 아동은 점점 더 선생님의 말씀을 잘 알아듣지 못하게 되는 악순환을 겪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언어치료 부모교육 교재, 1996
한국언어병리학회, 언어장애 아동의 가정지도, 군자출판사, 1994
장혜성, 부모를 위한 평가, 언어치료 부모교실,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0
김영태, 언어지도의 실제(의사소통 지도 및 초기 언어지도),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1992
김말경,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영아 발달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따라서 아동의 어려움을 부모님께서 충분히 이해하고, 아동이 심리적으로 겪고 있을 스트레스로부터 아동 스스로가 이겨낼 수 있도록 세심한 관심과 격려가 필요합니다. 몇 년에 걸친 각종 교육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유치원 생활에서도 일반 아동과는 다르게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을 보면서 때때로 부모님들은 지치기도 하고 실망하기도 하며, 심한 경우에는 더 이상의 교육을 포기하려 하기도 합니다. 혹은 반대로 부모님의 기대가 지나쳐서 너무나 많은 양의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찾아 아동을 거의 하루종일 이 기관에서 저 기관으로 데리고 다니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이런 경우, 아동들은 오히려 또래와의 관계를 적절히 형성하여 놀 수 있는 기회를 놓치는 수도 있으며, 계속되는 교육에 싫증이 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부모님들께서는 아동에게 꼭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현명하게 판단하여 아동을 도와주셔야 할 것입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언어발달이 늦은 20개월이 된 남아에 대한 교사의 역할 및 부모교육에 대해 이제껏 배운 이론을 토대로 나의 의견을 피력해 보았다. 아동이 가정이라는 사회로부터 또래집단이라는 더 큰 사회로 나아가게 됨에 따라 아동의 사회적 관계 형성에 대한 기술들은 매우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더우기 언어장애 아동에게는 또래집단에서 잘 어울린다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집단 안에서 선생님이 하시는 말씀을 듣고 이해한다는 것은 엄마와 일대일 관계에서 이해하던 언어의 세계와는 너무나 다르기 때문이다. 엄마와의 관계에서 언어를 통한 의사소통이란 늘 하는 일이나 이미 알고 있는 일의 반복이 거의 대부분인데다가, 엄마는 아동의 특성을 잘 알기 때문에 아동이 알아들을 수 있는 낱말과 문장 구조를 사용해서 아동만을 위한 표현을 하기 때문에 아동이 그것을 이해하는 데에는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더우기 일대일 대화라는 것은 아동이 그것을 잘 이해하고 있는지 아니면 엄마의 말이 너무 길거나 빠르거나 내용이 어려워서 아동이 그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지를 엄마가 이야기하는 동안에 금방 알아챌 수 있으므로, 이야기하는 동안에 아동의 반응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아무리 유능한 유치원 선생님이 말씀을 하신다고 해도 그것이 여러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이야기일 경우에는 언어의 이해와 표현이 또래 아동보다 떨어지는 언어지체 아동으로서는 계속되는 이야기의 내용을 이해하기가 어려울 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또한, 일대일의 대화에서보다 주의집중이 떨어지게 되며 아동은 점점 더 선생님의 말씀을 잘 알아듣지 못하게 되는 악순환을 겪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언어치료 부모교육 교재, 1996
한국언어병리학회, 언어장애 아동의 가정지도, 군자출판사, 1994
장혜성, 부모를 위한 평가, 언어치료 부모교실,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0
김영태, 언어지도의 실제(의사소통 지도 및 초기 언어지도),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1992
김말경,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영아 발달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