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
서론
2.
본론
1) 의미장과 어휘장
2) 성분분석
3) 동의관계와 반의관계
4) 상하관계와 부분관계
5) 다의어와 동음어
3.
결론
4.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1) 의미장과 어휘장
2) 성분분석
3) 동의관계와 반의관계
4) 상하관계와 부분관계
5) 다의어와 동음어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 동음어, 부분 동음어, 동철자 동음어, 이철자 동음어로 나타난다. 절대 동음어는 의미에서 연관이 아예 없고 어형은 모두 동일해야 한다. 또한 문법적으로 대등해야 한다. 이는 먹는 것과 타는 것으로 나타나는 ‘배’라는 단어로 예시를 들 수 있다. 부분 동음어는 위의 절대 동음어에서 첫 번째만 해당하는 경우를 이야기한다. 사람을 땅에 묻는 것과 물어보는 ‘묻다’로 예를 들 수 있다. 동철자 동음어는 표기까지 동일한 동음이의어이며 ‘결정’이라는 단어를 예시로 들 수 있다. 이철자 동음어는 표기는 다르지만 소리가 같은 동음이의어로 ‘가치’와 ‘같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다의어와 동음어를 구분하는 기준은 동일한 어원인지, 의미가 유사한지로 따질 수 있다. 어원적으로 같으면 다의어이고 그렇지 않으면 동음어이다. 또한 의미가 유사하면 다의어이고 현재 의미가 다르면 동음어이다.
3. 결론
본고에서는 3주차에 배운 한국어 어휘의 의미’ 중 의미장과 어휘장, 성분분석, 동의관계와 반의관계, 상하관계와 부분관계, 다의어와 동음어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리하여 의미장과 어휘장의 차이에 대해서 알 수 있었고 어휘장을 성분분석하는 방법 또한 알아보았다. 이어서 상하관계와 부분관계의 차이, 다의어와 동음어의 차이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또한 강의안에 제시되지 않은 예시 또한 같이 살펴보면서 각 개념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었다. 앞으로 실생활에서 단어를 접할 때 직접 구분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4. 참고문헌
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어휘교육론 교안
2) 신현숙, 김영란. (2013). 『의미와 의미분석』. 푸른사상.
3. 결론
본고에서는 3주차에 배운 한국어 어휘의 의미’ 중 의미장과 어휘장, 성분분석, 동의관계와 반의관계, 상하관계와 부분관계, 다의어와 동음어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리하여 의미장과 어휘장의 차이에 대해서 알 수 있었고 어휘장을 성분분석하는 방법 또한 알아보았다. 이어서 상하관계와 부분관계의 차이, 다의어와 동음어의 차이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또한 강의안에 제시되지 않은 예시 또한 같이 살펴보면서 각 개념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었다. 앞으로 실생활에서 단어를 접할 때 직접 구분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4. 참고문헌
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어휘교육론 교안
2) 신현숙, 김영란. (2013). 『의미와 의미분석』. 푸른사상.
추천자료
[어휘학습]초등영어교육 어휘학습의 기능, 초등영어교육 어휘학습의 분류, 초등영어교육 어휘...
[한국어쓰기교육론] 한국어 쓰기 교수법 - 쓰기 교육의 목표, 쓰기 교육의 내용과 방법, 쓰기...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개론)제4주 2차시 수업에서 다룬 교재의 분석과 평가 기준에 대해 정...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2급] V -아도 -어도 되다 안돼요 돼요 - 문법을 이용하여 50분짜리 강의...
한국어 ) 외국어 습득에서 읽기 듣기 말하기 쓰기의 효율적인 지도 원리와 이를 수행할 수 있...
한국어표현교육론 ) 말하기 수업의 단계와 말하기 활동의 유형을 참고하여 초급과 중급 말하...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 반영된 중심 교수법의 특징을 자세히 설명하고, 효율적인 말하기 교육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능력평가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어휘 교육론 ) 3주 학습 내용인 한국어 어휘의 의미를 요약 정리하되 강...
[ 말하기 과제의 유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초, 중, 고급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과제를 각 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