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불상의 전래와 발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불상의 양식
Ⅱ. 불상의 형태
Ⅲ. 불상의 전래와 삼국시대의 불상
Ⅳ. 통일신라시대와 그 이후의 불상

본문내용

사회적으로 공인되지 못함으로써 불상 역시 예배의 대상이라기보다 형식적 대상이 되고 말았다. 임진왜란 이후에 제작된 불상은 비례나 조각 등이 답습적이고 형식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다. 결국 조선의 불상은 이전시기에 비해 예술적인 면에서나 기술적인 면에서 모두 퇴보하였다.
※ 불상과 관련된 불교 용어
석가 : 인도의크 샤트리아 계급으로 왕의 가문을 말한다.
여래 : 수행완성자, 완벽한인격자, 부처를 높여 부르는 말
부처 : 대도를 깨친 불교 성직자
불(부타) : 부처
스님 : 스승님의 준말
나한(아라한의 준말) : 석가모니의 제자들인 16나한, 후에 나타나는 500나한 등이 있다. 나한은 부처가 되지는 못했으나 모든 고통과 번뇌를 끊고 해탈의 경지에 이른 성자로서, 미래불인 미륵불이 나타날 때까지 중생들을 제도하라는 부처의 수기를 받았다
사천왕 : 세상의 중심이라는 수미산중턱에서 불법(佛法)뿐 아니라, 불법에 귀의하는 사람 들을 수호하는 호법신이다. 동쪽의 지국천왕(持國天王), 남쪽의 증장천왕(增長天王), 서쪽의 광목천왕(廣目天王), 북쪽의 다문천왕(多聞天王:毘沙門天王)을 말한다.
성불 : 깨닫음에 이르러 부처가 되는것
보살 : 성도 이전의 모습, 깨달음을 구하는 사람을 뜻함
7불 : 석가모니 이전의 여섯부처와 석가모니를 이르는 말(석가는 진리를 깨달은 부처의 하나에 불과하다는 뜻으로 쓰임)
아미타불 : 서방정토 극락세계에 있다는 부처
약사여래 : 동방정토의 부처로 병과 재난에서 구원해 준다는 부처(왼손에 약, 오른손에 도 장을 들구있다.)
미륵불 : 미래에 올 부처를 뜻함
비로자나불 : 지덕의 빛으로 세상을 비춰준다는 부처
연등불 : 석가가 수행중인때 ‘너는 미래세에 석가모니불이라는 부처가 될 것이다 라는 수 기를 주셨다고 한다.
삼신불 : 영원불변의 진리를 몸으로 삼고 있는 법신불(法身佛), 수행에 의해 부처가 된 보신불(報身佛), 중생을 교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 형상으로 변하는 화신불(化身佛)을 이르 는 말이다.
대세지보살 : 지혜를 준다는 보살
관세음보살 : 자비의 부처
문수보살 : 지혜를 주는 보살
보현보살 : 수명연장과 만가지행동을 하는 보살
미륵보살 : 불교에 귀의하여 부처가 되기위해 도솔천에서 구원 설법중인 보살 그는 300 억명을 구원한다고 한다
※ 참고문헌
불상의 미소 - 정은우 지음
한국 불상의 원류를 찾아서 - 최완수 지음
한국의 불상 - 황수영 지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4.23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16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