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조정의 개시와 조정기간
Ⅲ. 조정기관과 조정의 활동
Ⅳ. 조정의 효력
Ⅴ. 수락된 조정안의 유권해석
Ⅱ. 조정의 개시와 조정기간
Ⅲ. 조정기관과 조정의 활동
Ⅳ. 조정의 효력
Ⅴ. 수락된 조정안의 유권해석
본문내용
를 제시하여야 한다.
3. 유권해석의 효력
조정위원회 또는 단독조정인이 제시한 해석 또는 이행방법에 관한 견해는 중재재정과 동일한 효력을 가지며, 확정된 중재재정은 단체협약과 동일한 효력을 가진다.
4. 쟁의행위의 불가
조정안의 해석 또는 이행방법에 관한 견해가 제시될 때까지 관계당사자는 당해 조정안의 해석 또는 이행에 관하여 쟁의행위를 할 수 없다.
3. 유권해석의 효력
조정위원회 또는 단독조정인이 제시한 해석 또는 이행방법에 관한 견해는 중재재정과 동일한 효력을 가지며, 확정된 중재재정은 단체협약과 동일한 효력을 가진다.
4. 쟁의행위의 불가
조정안의 해석 또는 이행방법에 관한 견해가 제시될 때까지 관계당사자는 당해 조정안의 해석 또는 이행에 관하여 쟁의행위를 할 수 없다.
추천자료
프랑스의 행정정보화사업
[경제학원론]노동시장에 대한 가격 결정, 일반균형분석과 후생경제학 정리
사업이전시 노사간 협정의 효력에 대한 법적 검토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설립에 대한 연구
노조법상 단체협약의 효력확장제도에 대한 검토
근로기준법상 해고 전반에 대한 연구
장해급여 및 장해등급 전반에 대한 검토 (산재법)
최저임금제도 전반에 대한 검토
비정규직 근로자 보호방안 전반에 대한 검토
지배개입 및 경비원조 전반에 대한 법적 검토
징계해고 전반에 대한 법적 검토
조합활동의 정당성 전반에 대한 법적 검토
퇴직금제도 전반에 대한 법적 검토
모성보호 관련 법률 전반에 대한 검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