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사업장 단위의 효력확장제도의 취지
Ⅲ. 효력확장의 요건
Ⅳ. 효력확장의 효과
Ⅱ. 사업장 단위의 효력확장제도의 취지
Ⅲ. 효력확장의 요건
Ⅳ. 효력확장의 효과
본문내용
분에 한해서는 단협의 적용을 계속 받게 된다(1996.7.30, 노조 01254-784).
확장 적용되는 단체협약은 규범적 부분에 국한된다. 따라서 단체협약으로 정해진 성과급 지급, 택시회사의 전액관리제, 새로 나온 차량에 대한 승무조건 등은 근로조건에 관한 부분으로서 효력확장의 대상이 된다(2001.4.28, 노조 68107-511등).
유리원칙의 적용여부와 관련하여서는 효력의 확장에 있어서는 소수 근로자보호를 위하여 법이 특별히 인정한 제도로서 근로조건을 획일화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므로 유리원칙의 적용이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 경우 확장되는 단협상의 근로조건은 최저기준으로 작용한다고 보아야 한다. 유효기간 만료 또는 요건의 상실의 경우 확장은 종료는 단협 종료 후의 법리에 따라야 한다.
확장 적용되는 단체협약은 규범적 부분에 국한된다. 따라서 단체협약으로 정해진 성과급 지급, 택시회사의 전액관리제, 새로 나온 차량에 대한 승무조건 등은 근로조건에 관한 부분으로서 효력확장의 대상이 된다(2001.4.28, 노조 68107-511등).
유리원칙의 적용여부와 관련하여서는 효력의 확장에 있어서는 소수 근로자보호를 위하여 법이 특별히 인정한 제도로서 근로조건을 획일화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므로 유리원칙의 적용이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 경우 확장되는 단협상의 근로조건은 최저기준으로 작용한다고 보아야 한다. 유효기간 만료 또는 요건의 상실의 경우 확장은 종료는 단협 종료 후의 법리에 따라야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단체교섭의 당사자와 대상
노조 대표자의 단체협약 체결권한에 대하여 논하라
단체협약의 해석 및 위반 (실효성 확보)
단체협약의 개념과 성격 및 성질과 기능
단체 교섭과 단체협약
단체협약의 해석요청제도에 대하여
단체협약의 개정에 의한 구 단체협약상 근로조건의 불이익변경과 단체협약·취업규칙 사이의 ...
단체협약의 해석에 대한 법적 문제
단체협약․취업규칙 및 근로계약의 공통점과 차이점
단체협약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형사처벌조항의 필요성과 유의점
M&A와 단체협약 관련 법적 검토
[한국교총]한국교총(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의 성격, 한국교총(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의 단체...
노사관계_단체협약이론
제과업계의 기업 간 단체협약서 비교 분석 “빙그레 VS 해태제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