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 구어체 아랍어의 개념과 특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아랍세계의 양층언어현상
1. 양층언어현상의 역사적 배경
2. 양층언어현상의 정의
3. 양층언어현상과 관련한 학설
Ⅲ. 양층언어현상과 교양 구어체 아랍어
1. 양층언어현상 이론과 교양 구어체
아랍어 연구
⑴ 바다위
⑵ 주굴
2. 교양 구어체 아랍어의 개념 정의
3. 교양 구어체 아랍어의 특징

Ⅴ. 결론

본문내용

am-uu
사. 과거시제의 쌍수 동사에 붙는 불완전 접미사를 하나로 통일한다. 예: Habb-ee-t, HaTT-ee-naa
아. 관계대명사의 형태를 하나로 통일한다. : illii
자. 부정관사의 nunation을 장모음으로 전환한다. 예: karaasii, layalii
차. 간접목적어를 가지는 동사는 전치사 li-를 접사로 사용하여 동사 앞에 붙인다. 예: qaal-uu-luh, uqaddim-lak, talfan-lik
6) 통사론
통사론적으로 교양 구어체 아랍어의 가장 큰 특징은 종속접속사 없이 동사를 연이어서 사용한다는 것이다. 예: aHibb aruuH ashuuf-uh(나는 그를 보러 가고 싶다.); heek taqdar tuqarrir eesh tashtirii(무엇을 살지 네가 결정할 수 있다.); xallii-nii ahuuf eesh mumkin a9mal(내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알아.)
7) 수의 일치
비인칭사의 수 일치는 본질적으로 여성단수이며 이것은 현대 표준 아랍어와 일치한다. 인칭명사의 여성복수는 여성복수와 남성복수 모두 쓰일 수 있다. 쌍수의 수일치는 쌍수, 복수 또는 이 두 가지 모두 함께 쓰이지만 이것은 명확하지 않다.
Ⅳ. 결론
아랍사회에서 나타나는 양층언어현상의 가장 큰 원인은 종교와 관련이 있다. 퍼거슨이 분류한 상층어와 하층어 개념에서 상층어는 꾸란에 입각한 고전 아랍어와 현대 표준 아랍어, 즉 문어체 아랍어를 가리키며 하층어는 구어체 아랍어를 가리킨다. 아랍인들은 상층어에 해당하는 문어체 아랍어를 신이 계시한 신성한 언어로 간주한다. 그들은 꾸란을 읽을 때 반드시 문어체 아랍어를 사용하며 많은 문학작품에서도 문어체 아랍어를 사용하는데 그 언어가 아랍문화의 본질적 가치를 반영해 준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고전 아랍어는 종교적 목적으로만 쓰이고 현대 표준 아랍어는 주로 방송, 뉴스, 공문서 등 공식적 목적으로 쓰일 뿐이며 실제로 아랍인들이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는 구어체 아랍어이다. 구어체 아랍어는 모든 아랍인들이 태어나면서 자연스럽게 배우는 언어이다. 반면 문어체 아랍어는 교육받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는 언어이다. 문어체 아랍어를 생활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음에도 이슬람이 존재하는 한 아랍어가 문어체와 구어체로 나누어지는 현상은 계속 존재할 것이다.
오늘날 아랍사회에서 가르치는 아랍어는 현대 표준 아랍어라고 한다. 그러나 많은 학자들은 아랍어 교육에 있어 고전아랍어를 가르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말한다. 고전 아랍어가 꾸란의 언어이며 구어체 방언이 가지지 못한 어휘의 풍부함, 아름다움을 가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랍인들과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아랍어를 배울 때 우리는 어느 종류의 아랍어를 배워야 하는지, 문어체 아랍어인지 구어체 아랍어인지, 구어체 아랍어를 배운다면 어느 지역의 구어체 아랍어를 배워야 하는지 고민에 빠질 것이다. 문제는 고전 아랍어와 현대 표준 아랍어는 원화자(Native Speaker)가 존재하지 않으며 사용 지역도 규정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고전 아랍어와 현대 표준 아랍어, 그리고 각 지역의 구어체 아랍어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나타나는 중간적 언어 형태인 교양 구어체 아랍어는 자연스럽게 여러 지역 구어체 아랍어에 비해 자연스럽게 우세한 요소를 갖는다. 그러나 각 언어 층위간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고 서로 중첩되는 부분이 있는 연속체이기 때문에 교양 구어체 아랍어의 성격이 모호하다 볼 수 있다. 교양 구어체 아랍어는 고전 아랍어 사용을 요구하는 공식적인 상황과 준 공식적인 상황에서 사용되는데, 많은 학자들이 언급한 교양 구어체 아랍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구어체의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을 가진다.
2) 구어체 아랍어의 영향으로 격변화를 하지 않는다.
3) 일상 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어휘들을 제외하고 교양 구어체 아랍어의 어휘는 현대 표 준 아랍어의 어휘와 거의 같다.
4) 형태론적으로는 현대 표준 아랍어와 거의 일치하며, 음운론적으로는 구어체 아랍어와 거의 일치한다.
5) 외래어 사용에 관대하며 주로 영어와 불어 사이에 말씨 바꿈 현상이 일어난다.
비록 교양 구어체 아랍어가 문어체 아랍어와 구어체 아랍어의 혼합된 형태의 중간어로서 두 가지 요소들을 동시에 가지고 있지만 교양 구어체 아랍어를 학습하는 것만이 아랍어를 배우는 데 있어 절대적인 길은 아님을 알아야한다. 실제로 FSI에서 아랍어 발음을 가르칠 때 교양 구어체 아랍어에서 사용하는 발음이 아닌 현대 표준 아랍어에서 사용하는 발음을 가르치는 데, 여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현대 표준 아랍어와 교양 구어체 아랍어를 가르칠 때 동시에 두 가지 발음을 가르쳐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서이며 또한 현대 표준 아랍어의 발음이 조금 더 기록된 단어와 일치하기 때문이다. 현대 표준 아랍어의 발음을 사용하는 것이 어느 아랍지역을 가든지 유용하며 그렇게 아랍어를 배우는 것이 아랍어 수준을 더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외국인으로서 아랍어를 배우고 아랍인들과 능숙하게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현대 표준 아랍어, 교양 구어체 아랍어, 지역 방언 이 세 가지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 세 가지 종류의 아랍어를 통해 아랍사회의 전반적인 언어 상황을 이해한다면 상황에 따라 능숙한 아랍어를 구사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문어체 아랍어 중심의 교육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구어체 아랍어의 교육을 위해 교양 구어체 아랍어와 지역 방언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오명근. 『아랍어 구문어체 비교론』, 1996,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윤은경. “교양구어체아랍어에 대한 연구”, 『중동연구』제 21권 169page/19page, 2002,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동연구소
윤은경. “교양구어체 아랍어의 개념과 특징연구 - 이집트 방송 아랍어를 중심으로-”, 『아랍어와 아랍문학』, 7권 1호, 2003,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Ryding, K. C. "Proficiency despite Diglossia : A New Approach for Arabic", The Modern Language Journal. 1991.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9.06.08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99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