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삼국사기(三國史記)
2. 고려사(高麗史)
3. 경국대전
4. 읍성과 관아에 관한 지명
2. 고려사(高麗史)
3. 경국대전
4. 읍성과 관아에 관한 지명
본문내용
성에 관한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다.
세종실록지리지 149권 영동현조 : 邑城 周圍398步內有川二
신증동국여지승랍 16권 영동현 산천 : 城隍山 在縣北-里鎭山城廓邑城石築2410尺高七尺 內有二井
대동지지 6권 충청도 : 永同城址古城-在城隍山-在錦城山舊有有持
증보문헌비고 26권 : 永同邑城石築周2410尺今廢
경국대전이나 세종실록 지리지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신라 경덕왕때부터 ‘영동(永同)’이란 이름으로 불려졌던 것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영동군지(2004), pp.67~139
2. 김기빈(1994), 한국의 지명 유래, 지식산업사, pp.210∼211
3. 배우리(1996), 지명 유래의 조사 방법, 연세대학교 사회교육원, pp.1∼3
4.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2001), 고등학교 국어(하), (주)두산, pp.18∼23
5. 김부식 지음, 최호 옮김(1997), 삼국사기, 홍신문화사
6. 동아대학교 고전연구실(1982), (역주)고려사, 동아대학교 출판사
7.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2001), 고등학교 국어(1학년)
8. 오한석, 영동신문, 1990/04/30
9. 강길부(1985), 향토와 지명, 정음사, pp.64, 66∼74
세종실록지리지 149권 영동현조 : 邑城 周圍398步內有川二
신증동국여지승랍 16권 영동현 산천 : 城隍山 在縣北-里鎭山城廓邑城石築2410尺高七尺 內有二井
대동지지 6권 충청도 : 永同城址古城-在城隍山-在錦城山舊有有持
증보문헌비고 26권 : 永同邑城石築周2410尺今廢
경국대전이나 세종실록 지리지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신라 경덕왕때부터 ‘영동(永同)’이란 이름으로 불려졌던 것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영동군지(2004), pp.67~139
2. 김기빈(1994), 한국의 지명 유래, 지식산업사, pp.210∼211
3. 배우리(1996), 지명 유래의 조사 방법, 연세대학교 사회교육원, pp.1∼3
4.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2001), 고등학교 국어(하), (주)두산, pp.18∼23
5. 김부식 지음, 최호 옮김(1997), 삼국사기, 홍신문화사
6. 동아대학교 고전연구실(1982), (역주)고려사, 동아대학교 출판사
7.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2001), 고등학교 국어(1학년)
8. 오한석, 영동신문, 1990/04/30
9. 강길부(1985), 향토와 지명, 정음사, pp.64, 66∼74
소개글